사용자 기여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22년 10월 22일 (토) 11:03 (차이 | 역사) . . (+4) . . 도내기시장 (→Definition)
- 2022년 10월 22일 (토) 11:03 (차이 | 역사) . . (+464) . . 새글 도내기시장 (새 문서: ==Definition== *도내기시장은 1965년 광주광역시 조선대학교 주변에 형성된 시장이다. *1987년 조선대 입구 쪽으로 순환도로가 개설되면서 시...)
- 2022년 10월 22일 (토) 10:53 (차이 | 역사) . . (+190) . . 창억떡 (→Web Resource)
- 2022년 10월 22일 (토) 10:53 (차이 | 역사) . . (+39) . . 새글 파일:창억떡.jpg (창억떡 본점) (최신)
- 2022년 10월 20일 (목) 22:56 (차이 | 역사) . . (+20) . . 어등산 등용정 (최신)
- 2022년 10월 20일 (목) 22:56 (차이 | 역사) . . (+267) . . 새글 어등산 등용정 (새 문서: ==Definition== *2007년 광산구에서 어등산에 세운 정자이다. *등용정(登龍亭)은 용이 되어 올라간다는 뜻으로, 용에 대한 전설이 많이 전...)
- 2022년 10월 20일 (목) 22:42 (차이 | 역사) . . (+298) . . 새글 광산8경 (새 문서: ==Definition== *광산8경은 광주광역시 광산구가 자랑하는 관광자원 여덟 가지를 말한다. *광산8경은 용진충만·어등낙조·용강어화·낙수야...)
- 2022년 10월 20일 (목) 22:40 (차이 | 역사) . . (+177) . . 새글 어등낙조 (새 문서: ==Definition== *어등낙조(漁登落照)는 어등산 너머로 지는 해를 말한다. *광산8경 중 하나이다. 분류:문맥항목분류:김민성) (최신)
- 2022년 10월 20일 (목) 13:33 (차이 | 역사) . . (+481) . . 새글 김태원 (새 문서: ==Definition== *죽봉(竹峰) 김태원(金泰元, 1870~1908)은 구한말, 의병을 일으켜 전라도 일대에서 혁혁한 전과를 올렸던 호남 의병의 대표 의...)
- 2022년 10월 20일 (목) 13:28 (차이 | 역사) . . (+896) . . 새글 어등산 전설 (새 문서: ==Definition== *박산마을에 살았던 조선시대 판관 박중윤이 황룡강변에 정원을 조성하면서 연못을 만들어 작은 잉어 한 마리를 길렀는데, 1년...) (최신)
- 2022년 10월 20일 (목) 13:08 (차이 | 역사) . . (-12) . . 스터디카페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10월 20일 (목) 13:07 (차이 | 역사) . . (+406) . . 새글 백색소음 (새 문서: ==Definition== *백색소음은 음의 폭이 넓어 공해에 해당하지 않는 소음을 말한다. *TV와 라디오에서 나오는 잡음, 파도 소리, 숲에서 나는...) (최신)
- 2022년 10월 20일 (목) 12:58 (차이 | 역사) . . (+336) . . 새글 커피하우스 이펙트 (새 문서: ==Definition== *커피하우스 이펙트는 카페에서 공부나 일을 하면 능률이 더욱 상승하는 효과를 말한다. *자신이 관찰되...) (최신)
- 2022년 10월 20일 (목) 12:48 (차이 | 역사) . . (+332) . . 새글 카공족 (새 문서: ==Definition== *카공족은 카페에서 커피나 간식 등을 구매하고 장시간 머무르며 공부하는 사람들을 일컫는 신조어이다. *낮은 회전율, 자...) (최신)
- 2022년 10월 20일 (목) 08:03 (차이 | 역사) . . (0) . . 스터디카페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10월 20일 (목) 08:02 (차이 | 역사) . . (+419) . . 소촌아트팩토리 (→Web Resource)
- 2022년 10월 20일 (목) 08:01 (차이 | 역사) . . (+44) . . 새글 파일:소촌아트팩토리02.jpg (소촌아트팩토리) (최신)
- 2022년 10월 20일 (목) 08:00 (차이 | 역사) . . (+44) . . 새글 파일:소촌아트팩토리01.jpg (소촌아트팩토리) (최신)
- 2022년 10월 20일 (목) 07:58 (차이 | 역사) . . (+5) . . 아시아문화마루 (→Definition) (최신)
- 2022년 10월 20일 (목) 07:58 (차이 | 역사) . . (+805) . . 새글 아시아문화마루 (새 문서: ==Definition== *건축면적 520㎡(158평)에 연면적 1,019㎡(309평)의 수출용 컨테이너 박스로 만든 공간이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쇼 케이스 기...)
- 2022년 10월 20일 (목) 07:45 (차이 | 역사) . . (+743) . . 새글 광산아르코공연연습센터 (새 문서: ==Definition== *광산아르코공연연습센터는 지역 예술인들이 연극, 무용 등의 공연작품을 자유롭게 연습하고 리허설을 할 수 있는 공간이...) (최신)
- 2022년 10월 20일 (목) 07:45 (차이 | 역사) . . (+78) . . 새글 파일:소촌아트팩토리-광산아르코공연연습센터.jpg (소촌아트팩토리-광산아르코공연연습센터) (최신)
- 2022년 10월 20일 (목) 07:40 (차이 | 역사) . . (+662) . . 새글 유노윤호 작은도서관 (새 문서: ==Definition== *유노윤호 작은도서관은 2018년 7월 유노윤호의 외국 팬들이 지어준 도서관이다. *중국, 대만, 일본 등...) (최신)
- 2022년 10월 20일 (목) 07:38 (차이 | 역사) . . (+72) . . 새글 파일:소촌아트팩토리-유노윤호작은도서관.jpg (소촌아트팩토리-유노윤호작은도서관) (최신)
- 2022년 10월 19일 (수) 22:33 (차이 | 역사) . . (+4) . . 로봇 바리스타 (→Definition) (최신)
- 2022년 10월 19일 (수) 22:33 (차이 | 역사) . . (+332) . . 새글 로봇 바리스타 (새 문서: ==Definition== *로봇 바리스타는 커피를 내리는 인공지능 로봇을 말한다. *시중에 나온 제품은 대부분 사람의 팔 모양을...)
- 2022년 10월 19일 (수) 22:32 (차이 | 역사) . . (+1) . . 로봇카페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10월 19일 (수) 22:02 (차이 | 역사) . . (+356) . . 새글 함평군 (새 문서: ==Definition== *함평군은 전라남도 북서부 해안에 위치한 군이다. *전형적인 농업지역으로서 2013년 기준으로 총경지면적 1만 3894㏊ 중 논...) (최신)
- 2022년 10월 17일 (월) 17:27 (차이 | 역사) . . (+4) . . 생고기 (→Node Description)
- 2022년 10월 17일 (월) 08:01 (차이 | 역사) . . (+291) . . 새글 광주 8대 주력산업 (새 문서: ==Definition== *광주광역시엔 8대 주력산업이 있다. *미래전략산업으로 미래모빌리티, 인공지능, 반도체, 메디케어, 에너지산업 기반산업...)
- 2022년 10월 17일 (월) 07:50 (차이 | 역사) . . (+428) . . 새글 인공지능 (새 문서: ==Definition== *인공지능은 인간의 학습능력, 추론능력, 지각능력이 필요한 작업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실현한 기술을 말한다. *광주광역...) (최신)
- 2022년 10월 17일 (월) 07:31 (차이 | 역사) . . (+1) . . 로봇카페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10월 17일 (월) 07:30 (차이 | 역사) . . (+376) . . 새글 달빛내륙철도 (새 문서: ==Definition== *달빛내륙철도는 노선 길이 198.8㎞, 총사업비 4조 5천 158억 원의 철도 건설사업이다. *광주와 대구를 1시간 대로 연결할 것으...) (최신)
- 2022년 10월 17일 (월) 07:22 (차이 | 역사) . . (+475) . . 새글 광주대구고속도로 (새 문서: ==Definition== *광주대구고속도로(光州大邱高速道路)는 광주광역시 북구 문흥동을 기점으로,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을 잇는 대한민국...) (최신)
- 2022년 10월 17일 (월) 07:11 (차이 | 역사) . . (+267) . . 새글 빛고을 (새 문서: ==Definition== *빛고을은 광주(光州)의 순우리말이다, *광주라는 이름은 고려 초 지명 개편 시기에 등장하는데, 이때 빛고을이라는 순우리...)
- 2022년 10월 17일 (월) 06:57 (차이 | 역사) . . (+422) . . 새글 달구벌 (새 문서: ==Definition== *달구벌((達句伐))은 대구광역시를 지칭하던 옛 이름이다. *'달구'의 '달'에 "높다", "크다"의 의미가 있으며, 달구벌은 대...) (최신)
- 2022년 10월 16일 (일) 23:44 (차이 | 역사) . . (0) . . 달빛동맹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10월 16일 (일) 23:42 (차이 | 역사) . . (+25) . . 뭉티기 (→Definition)
- 2022년 10월 16일 (일) 23:41 (차이 | 역사) . . (+311) . . 새글 뭉티기 (새 문서: ==Definition== *한우 우둔살을 참기름, 다진 마늘, 고춧가루로 만든 양념장에 곁들여 먹는 음식으로, 대구광역시의 향토 음식이다. *뭉텅뭉텅...)
- 2022년 10월 16일 (일) 23:38 (차이 | 역사) . . (+262) . . 새글 육회 (새 문서: ==Definition== *육회는 소의 우둔살을 얇게 저며 갖은양념에 무친 음식이다. *불에 익히지 않아 고기 속의 비타민이 전혀 파괴되지 않은 자...) (최신)
- 2022년 10월 16일 (일) 23:34 (차이 | 역사) . . (+273) . . 새글 한우 우둔살 (새 문서: ==Definition== *우둔살은 소의 엉덩이 안쪽에 위치한 살코기 부분이다. *덩어리가 크고 마블링이 적다. *볼기살로도 불리며 소의 뒷다리 부...)
- 2022년 10월 16일 (일) 23:20 (차이 | 역사) . . (+593) . . 새글 5.18자유공원 복원 법정 (새 문서: ==Definition== *내무반에 들어서기 전 왼편에 보이는 건물로 1980년 8월에 군사재판을 위해 지어졌다. *5.18민주화운동 당시 운동에 참여했던 구...)
- 2022년 10월 16일 (일) 23:19 (차이 | 역사) . . (+46) . . 새글 파일:5.18자유공원-법정.jpg (5.18자유공원-법정) (최신)
- 2022년 10월 16일 (일) 23:13 (차이 | 역사) . . (-3) . . 5.18자유공원 영창 (→Web Resource) (최신)
- 2022년 10월 16일 (일) 23:13 (차이 | 역사) . . (+1,150) . . 새글 5.18자유공원 영창 (새 문서: ==Definition== *자유공원 내 가장 안쪽, 철쪽망이 쳐진 곳에 자리하고 있으며 일부 정치군인들의 정권찬탈에 맞서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던 분...)
- 2022년 10월 16일 (일) 23:12 (차이 | 역사) . . (+47) . . 새글 파일:5.18자유공원-영창3.jpg (5.18자유공원-영창3) (최신)
- 2022년 10월 16일 (일) 23:12 (차이 | 역사) . . (+47) . . 새글 파일:5.18자유공원-영창2.jpg (5.18자유공원-영창2) (최신)
- 2022년 10월 16일 (일) 23:10 (차이 | 역사) . . (+47) . . 새글 파일:5.18자유공원-영창1.jpg (5.18자유공원-영창1) (최신)
- 2022년 10월 16일 (일) 23:08 (차이 | 역사) . . (-2) . . 5.18자유관 (→Web Resource)
- 2022년 10월 16일 (일) 23:08 (차이 | 역사) . . (+877) . . 새글 5.18자유관 (새 문서: ==Definition== *5.18민주화운동 관련 자료와 영상물이 전시돼있는 공간이다. *전시실은 역사의 사건, 맨주먹의 저항, 죽음과 부활, 천년의 빛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