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기여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22년 8월 3일 (수) 11:42 (차이 | 역사) . . (-26) . . 아구찜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8월 3일 (수) 11:42 (차이 | 역사) . . (+269) . . 새글 코끼리아구찜 (새 문서: ==Definition== *코끼리아구찜은 광주광역시 서구 금호동에 있는 아구찜 맛집이다. 아구찜, 꽃게찜, 아구탕, 해물찜 등을 판다. *코...)
- 2022년 8월 3일 (수) 11:38 (차이 | 역사) . . (+1) . . 미더덕 (→Definition)
- 2022년 8월 3일 (수) 11:38 (차이 | 역사) . . (-3) . . 미더덕 (→Definition)
- 2022년 8월 3일 (수) 11:38 (차이 | 역사) . . (+811) . . 새글 미더덕 (새 문서: ==Definition== *미더덕은 미더덕과에 속하는 동물이다. *물에 사는 더덕과 닮은 것이라고 해서 미더덕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멍게와 유...)
- 2022년 8월 3일 (수) 11:33 (차이 | 역사) . . (+347) . . 새글 콩나물 (새 문서: ==Definition== *콩나물은 콩을 시루 같은 구멍이 있는 그릇에 담아 그늘에 두고 물을 주어 뿌리를 내리게 하여 먹는 식품이다. *국을 끓여...)
- 2022년 8월 3일 (수) 11:29 (차이 | 역사) . . (+285) . . 새글 물텀벙 (새 문서: *[물텀벙]]은 인천지역에서 못생겼다고 잡히면 그대로 바다에 던져버려 붙여진 아귀의 또 다른 이름이다.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는 ...)
- 2022년 8월 3일 (수) 11:21 (차이 | 역사) . . (+355) . . 새글 뼈 국물 (새 문서: ==Definition== *송정떡갈비를 먹을 때 먼저 제공되는 것이 뼛국물이다. 이곳의 뼛국물은 돼지 뼈와 다시마, 무 등을 넣고 오랫동안...)
- 2022년 8월 3일 (수) 11:18 (차이 | 역사) . . (+350) . . 새글 소고기와 돼지고기 (새 문서: ==Definition== *소고기와 돼지고기는 세계 모든 이들에게 가장 사랑받는 식재료이다. 가장 많이 먹는 음식은 구이이며, 조림, 찌개 등의...)
- 2022년 8월 3일 (수) 11:12 (차이 | 역사) . . (+393) . . 새글 최처자 (새 문서: ==Definition== *최처자 할머니는 송정떡갈비를 최초로 개발한 분이다. 1950년대, 송정5일장에서 이가 좋지 않은 시댁 어른들을 위해...)
- 2022년 8월 3일 (수) 11:07 (차이 | 역사) . . (+14) . . 광주김치타운 (→Definition)
- 2022년 8월 3일 (수) 11:06 (차이 | 역사) . . (+454) . . 새글 광주김치타운 (새 문서: ==Definition== *광주김치타운은 김치의 산업화 및 세계화는 물론 김치의 문화·역사·체험을 한 곳에서 경험해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 2022년 8월 3일 (수) 11:00 (차이 | 역사) . . (+343) . . 새글 멸치젓 (새 문서: ==Definition== *멸치젓은 멸치를 소금에 절여 삭힌 젓갈이다. 주로 김치를 담글 때 사용하며, 양념을 해 밑반찬으로 먹기도 한다. *전라도...)
- 2022년 8월 3일 (수) 10:57 (차이 | 역사) . . (-1) . . 천일염 (→Definition)
- 2022년 8월 3일 (수) 10:56 (차이 | 역사) . . (+643) . . 새글 천일염 (새 문서: ==Definition== **소금은 크게 천일염과 정제염(精製鹽)으로 분류된다. 천일염은 바닷물을 염전으로 끌어와 바람과 햇빛으로 수분과 함...)
- 2022년 8월 3일 (수) 10:51 (차이 | 역사) . . (+677) . . 새글 필수 아미노산 (새 문서: ==Definition== *필수 아미노산은 동물이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 체외에서 섭취할 필요가 있는 아미노산을 말한다. 인체에서는 발린, 로...)
- 2022년 8월 3일 (수) 10:48 (차이 | 역사) . . (+537) . . 새글 비타민 (새 문서: ==Definition== *비타민은 우리 몸에서 충분한 양을 생산할 수 없으며 음식에서 섭취해야하는 필수 영양소이다. 현재 13종의 비타민이 알려...)
- 2022년 8월 3일 (수) 10:43 (차이 | 역사) . . (+1) . . 고구마 줄기 (→Definition)
- 2022년 8월 3일 (수) 10:43 (차이 | 역사) . . (+381) . . 새글 고구마 줄기 (새 문서: ==Definition== *고구마 줄기는 여러해살이풀인 고구마의 잎자루이다. *고구마 줄기는 [갈치조림]], 병어조림, 고등어조림 등 생선조림...)
- 2022년 8월 3일 (수) 10:35 (차이 | 역사) . . (+563) . . 새글 감자 (새 문서: ==Definition== *감자는 가짓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한자로는 북저(北藷)·토감저(土甘藷)·양저(洋藷)·지저(地藷)라고 하며, 방언으...)
- 2022년 8월 3일 (수) 10:30 (차이 | 역사) . . (+674) . . 새글 무 (새 문서: ==Definition== *무는 십자화과에 속하는 초본식물로 지역에 따라서는 무수·무시라고도 부르며, 한자어로는 나복(蘿蔔)이라고 한다. <ref>...)
- 2022년 8월 3일 (수) 10:23 (차이 | 역사) . . (+232) . . 새글 서창나루 (새 문서: ==Definition== *서창나루는 조선 시대의 기록에는 '극락진'이라 나온다. 서창교 밑에는 조선 시대 곡식을 운반하던 서창나루가 복원되...)
- 2022년 8월 3일 (수) 10:19 (차이 | 역사) . . (+298) . . 새글 서창들녘 낙조 (새 문서: ==Definition== *서창들녘 낙조는 서구8경 중 4경이다. 서창나루, 서창향토마을, 서창나루 어디에서 보아도 서창들녘과 영산강을...)
- 2022년 8월 3일 (수) 10:11 (차이 | 역사) . . (+4) . . 서구8경 (→Definition)
- 2022년 8월 3일 (수) 10:10 (차이 | 역사) . . (+24) . . 서창동 (→Definition)
- 2022년 8월 3일 (수) 10:10 (차이 | 역사) . . (+473) . . 새글 서창동 (새 문서: ==Definition== *서창동(西倉洞)이란 이름은 조선시대 때 이곳에 세곡(세금으로 거둬들인 곡식)을 수납하는 창고인 서창이 있었던 데서 비롯...)
- 2022년 8월 2일 (화) 18:55 (차이 | 역사) . . (+594) . . 새글 지역성 (새 문서: ==Definition== *지역성은 마을기업육성사업 지원요건 중 하나이다. 그 내용은 ‘마을기업은 지역에 뿌리를 두고 설립·운영되어야 하...)
- 2022년 8월 2일 (화) 18:53 (차이 | 역사) . . (+3) . . 공동체성 (→Definition)
- 2022년 8월 2일 (화) 18:53 (차이 | 역사) . . (+4) . . 기업성 (→Definition)
- 2022년 8월 2일 (화) 18:53 (차이 | 역사) . . (+837) . . 새글 공공성 (새 문서: ==Definition== *공공성은 마을기업육성사업 지원요건 중 하나이다. 그 내용은 ‘마을기업은 경제적 이익과 지역사회의 전체 이익을 실...)
- 2022년 8월 2일 (화) 18:49 (차이 | 역사) . . (-3) . . 기업성 (→Definition)
- 2022년 8월 2일 (화) 18:49 (차이 | 역사) . . (+665) . . 새글 공동체성 (새 문서: ==Definition== *공동체성은 마을기업육성사업 지원요건 중 하나이다. 그 내용은 ‘마을기업은 출자자 개인의 이익과 마을기업 전체...)
- 2022년 8월 2일 (화) 18:46 (차이 | 역사) . . (+775) . . 새글 기업성 (새 문서: ==Definition== *기업성은 마을기업육성사업 지원요건 중 하나이다. 그 내용은 ‘마을기업은 각종 사업을 통해 수익을 추구하는 경제조...)
- 2022년 8월 2일 (화) 18:41 (차이 | 역사) . . (+811) . . 새글 광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 (새 문서: ==Definition== *광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는 광주지역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 및 활성화를 통한 지역순환 경제 실현을 위해 광주광역...)
- 2022년 8월 2일 (화) 18:35 (차이 | 역사) . . (-3) . . 사회적협동조합 살림 (→Definition)
- 2022년 8월 2일 (화) 18:35 (차이 | 역사) . . (+644) . . 새글 사회적협동조합 살림 (새 문서: ==Definition== *사회적협동조합 살림‘은 '광주권역 사회적경제(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통합지원센터...)
- 2022년 8월 2일 (화) 18:19 (차이 | 역사) . . (+810) . . 새글 협동조합 (새 문서: ==Definition== *협동조합은 사회적경제 유형 중 하나로 재화 또는 용역의 구매·생산·판매·제공 등을 협동으로 영위함으로써 조합원...)
- 2022년 8월 2일 (화) 18:11 (차이 | 역사) . . (+283) . . 새글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새 문서: ==Definition==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는 광주광역시 내에 있는 유형문화재를 의미한다. 현재 1호인 ‘증심사삼층석탑’을 비롯해 30여...)
- 2022년 8월 2일 (화) 18:06 (차이 | 역사) . . (+309) . . 새글 고봉문집목판 (새 문서: ==Definition== *고봉문집목판은 조선 중기의 문신 고봉(高峯) 기대승의 시문집 목판이다. 시문집, 강의했던 경전 내용, 동료들의 시...)
- 2022년 8월 2일 (화) 17:59 (차이 | 역사) . . (+369) . . 새글 고봉집 (새 문서: ==Definition== *고봉집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고봉(高峯) 기대승의 시문집이다. 고봉집은 그의 사후 아들인 기효증(奇...)
- 2022년 8월 2일 (화) 17:51 (차이 | 역사) . . (+258) . . 새글 숭덕사 (새 문서: ==Definition== *숭덕사(崇德詞)는 고봉(高峯) 기대승을 배향하는 월봉서원의 최상부에 자리하고 있는 사당이다. 매년 3월과 9월에 춘...)
- 2022년 8월 2일 (화) 17:45 (차이 | 역사) . . (+440) . . 새글 이황(李滉) (새 문서: ==Definition== *이황(李滉)(1502년~1571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학자이다.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 시호는...)
- 2022년 8월 2일 (화) 17:39 (차이 | 역사) . . (+213) . . 새글 강영수(姜永壽)의 딸 (새 문서: ==Definition== *진주 강씨 강영수(姜永壽)의 딸(1501 ~ 1534)은 고봉(高峯) 기대승의 어머니이다. 기대승이 8세 때 사망하였다. 분...)
- 2022년 8월 2일 (화) 17:29 (차이 | 역사) . . (+4) . . 고봉(高峯) (→Definition)
- 2022년 8월 2일 (화) 17:29 (차이 | 역사) . . (+228) . . 새글 고봉(高峯) (새 문서: ==Definition== *고봉(高峯)은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이자 문신인 기대승의 호이다. 또다른 호로 ‘존재(存齋)’가 있고, 시호는 문헌(文憲)...)
- 2022년 8월 2일 (화) 17:26 (차이 | 역사) . . (-6) . . 월봉서원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8월 2일 (화) 17:24 (차이 | 역사) . . (+4) . . 기대승 (→Definition)
- 2022년 8월 2일 (화) 17:24 (차이 | 역사) . . (+4) . . 기대승 (→Definition)
- 2022년 8월 2일 (화) 17:24 (차이 | 역사) . . (+476) . . 새글 기대승 (새 문서: ==Definition== *기대승(1527년(중종 22) ~ 1572년(선조 5))은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이자 문신이다. 호는 고봉(高峯)으로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 2022년 8월 2일 (화) 17:04 (차이 | 역사) . . (+40) . . 산수옥 (→Defin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