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승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기본 정보
이름 | 기대승 |
---|---|
한자명 | 奇大升 |
이칭 | 고봉 |
생몰년도 | 1527년~1572년 |
성별 | 남성 |
출생지 | 광주 |
정의 및 개요
인간관계
- 본관은 행주, 자는 명언(明彦), 호는 고봉(高峯)·존재(存齋)이다.
- 아버지는 물재 기진(奇進)이고, 어머니는 강영수(姜永壽)의 딸이며, 1527년 광주 소고룡리(召古龍里) 송현동(松峴洞)[현재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룡동]에서 5남 1녀 가운데 차남으로 태어났다.[1]
- 고봉 기대승은 퇴계 이황과 26세의 나이 차이에도 13년간 120여 통의 편지를 주고받으며 교유했다. 그중 8년은 사단칠정에 관한 학문적 논쟁을 펼쳤는데, 인간의 도덕적인 본성과 실질적인 감정 중 어떤 것이 우선인지를 두고 벌인 사단칠정 논쟁은 조선유학사상 깊은 영향을 끼쳤다.
주요 활동/업적/저서/작품 등
- 저서로는 『논사록』, 『주자문록』, 시문집인 『고봉집』 등이 있다.
- 그는 스물여덟에 『주자대전』 100여 권을 탐독한 후 네 권의 『주자문록』을 남겼으며, 경연에서 선조에게 계주(啓奏)한 내용을 모은 『논사록』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지역/사건/단체 내 역할 또는 영향력
- 월봉서원은 기대승 사후 그를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이다.
- 월봉서원 주변에는 그가 수양하며 공부했던 공간인 귀전암이 있고, 고봉생가 터, 귀전암 터 등 4.6km의 숲길을 연결한 철학자의 길이 있다.
- 월봉서원엔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고봉 선생의 문집과 저서의 내용이 수록된 고봉문집목판(高峰文集木板)이 있다.
관련 항목
의미관계망
이미지
참고자료
주석
- ↑ 서구문화원, "고봉 기대승",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Remark(Note) |
---|---|---|---|---|
기대승 | 고봉 | 호 | ||
기대승 | 기진 | 자-부 | ||
기대승 | 기진의 처 진주 강씨 | 자-모 | ||
기대승 | 월봉서원 |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 | ||
기대승 | 이황 | 편지로 학문을 논함 | ||
이황 | 사단칠정논쟁 | 학문적 논쟁 | ||
기대승 | 고봉집 | 저서(시문집) | ||
기대승 | 주자문록 | 저서(주자대전 요약본) | ||
기대승 | 논사록 | 저서(왕에게 아뢴 마을 모음) | ||
기대승 | 귀전암 | 수양, 공부의 공간 | ||
월봉서원 | 고봉문집목판 | 소장처 | ||
월봉서원 | 철학자의 길 | 서원 둘레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