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문맥항목 작성 실습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문맥항목 작성
- 문맥항목 위키 입력 틀(hwp)를 이용합니다.
- 검정색은 수정하지 않고, 파란색 내용만 수정합니다.
- 객체 개념에는 [[내부링크]]를 사용합니다.
첫 ㅇ
- 정의를 기재하며, 명사형 어미로 문장을 종결합니다.(문장 맨 끝 마침표 유의)
- [[문맥항목id]](한자, 연도): 로 시작합니다.
- 연도를 써야하는 대상
- 인물(Actor): 생~몰년 → [[김철주|김철주(金鐵柱, 1901~1962)]]: [[숭일학교]] 재학중 [[광주_3.1운동]]에 참여하였고, [[광주_YMCA]]에서 활동한 사회운동가이자 독립유공자.
- 영문명을 가진 외국인: 영문도 기재 → [[배유지|배유지(Eugene Bell, 裵裕祉, 1868~1925)]]: 구한말 호남지방을 중심으로 선교 활동을 한 [[미국남장로교]]에서 파송된 선교사 유진벨의 한국 이름.
- 사건(Event): 발생연도 → [[광주_3.1운동|광주 3.1운동(光州3.1運動, 1919)]]: 1919년 3월 초부터 4월 초까지 전라남도 광주군에서 격렬하게 전개된 항일 만세운동.
- 여러번 진행되어 연도를 특정할 수 없는 경우는 발생연도 기재 X (매년 진행하는 행사 등) → [[임방울국악제|임방울국악제(林芳蔚國樂祭)]]
두번째 ㅇ 이상
- 두번째 ㅇ부터는 서술형 문장으로 기재합니다.
- 대상에 대한 간략한 설명
- 핵심항목과의 관계를 반드시 기술합니다.
마지막 ㅇ (참조)
- 마지막 ㅇ은 독자가 참고할만한 URL을 기재합니다.
- [외부링크] 나 [[내부링크]]는 사용하지 않고 URL만 기재합니다.
분류
- 분류에 작성자와 팀명을 기재합니다.
각주
- 다른 곳에서 그대로 가지고 온 내용은 각주<ref></ref>를 사용하여 출처를 밝혀야 합니다.
- 다른 곳: 단행본 및 논문, 웹사이트 등
각주 사용하기
- 웹사이트: [외부링크]를 사용하여 클릭 시 해당 웹사이트로 연결되도록 함
- <ref>[웹사이트URL 기사명, 『사이트명』, 사이트 운영 주체.]</ref>
- 예 ) <ref>[http://aks.ai/GC60000719 3.1운동, 『디지털광주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예 ) <ref>[https://www.gjcf.or.kr/cf/space/art.do 빛고을아트스페이스, 『광주문화재단』, 광주문화재단.]</ref>
- 단행본, 논문 등 문헌: WebResource 의 Index 기재하는 방식과 동일
- 논문 및 잡지: <ref>저자, 「논문명」, 『학회지명』vol.0 no.0, 학회명, 연도.</ref>
- 예시 ) https://www.riss.kr/link?id=A3153826 <ref>박순, 「조선전기 광주지방의 향약과 동계(洞契)」, 『동서사학』 vol.5, no.1, 한국동서사학회, 1999.</ref>
- 예시) https://www.riss.kr/link?id=A108360582 <ref>이동호, 「[특집 1] 광주의 심장과 대동맥 광주천」, 『대동문화』 vol.133, 대동문화재단, 2022.</ref>
- 학위논문: <ref>저자, 「논문 제목」, ㅇㅇ대학교 ㅇㅇ대학원 ㅇㅇ학위논문, 연도.</ref>
- 예 ) <ref>박소은, 「K-pop 스토리텔링 연구 : 방탄소년단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ref>
- 단행본: <ref>저자, 『책이름』, 출판사, 연도. ← 보고서의 경우, 저자와 출판사가 동일할 수 있음(아래 예시 참고)</ref>
- 예시) <ref>김희태, 『부용정 양과동정』, 심미안, 2019.</ref>
- 예시) <ref>조광철,조희정,부유진,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2021.</ref>
- 예시) <ref>Huntley Jennifer 저, 이화연 번역, 『제니의 다락방 : 푸른 눈 소녀 제니퍼가 겪은 1980년 오월 광주 이야기』, 하늘마음, 2020.</ref>
- 예시) <ref>문화재청, 『문화재명칭 영문표기 용례집』, 문화재청, 2019.</ref>
- 논문 및 잡지: <ref>저자, 「논문명」, 『학회지명』vol.0 no.0, 학회명, 연도.</ref>
각주 샘플
- 국창_임방울_선생_기념비(國唱林芳蔚先生紀念碑, 1986): 민족의 한을 판소리로 달래주던 명창 임방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광주 송정공원에 세운 기념비.[1]
- 1986년 기념비 설립을 위해 조직했던 국창임방울선생기념비건립추진위원회가 임방울국악진흥회의 전신이다.[2]
---
실습
- 실습파일: 문맥항목(국창 임방울 선생 기념비) 실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