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항목 작성 시 유의사항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목차
객체의 개념 이해
실습
문맥항목의 ID 작성 및 기존 콘텐츠 검색
기존 콘텐츠 검색
- 핵심항목_및_문맥항목(전체) 에서 Ctrl+F를 사용하여 검색
- 여러 사람이 작성하는 플랫폼이므로, 명칭은 다르지만 동일한 대상을 지칭할 수 있음에 유의
검색 방법
- 최소한의 형태소별로 끊어서 검색
- 예시 ) "도시재생사업" → 형태소 단위: 재생, 사업
- 예시 ) "전남대학교 광장" → 형태소 단위: 광장
- 이칭을 고려하여 ‘공통 부분’ 과 ‘특수한 부분’을 모두 검색
- 예시 ) "광주교육대학교 본관" → 공통부분: 본관 / 특수부분: 교육대, 교대
- 예시 ) "광주 미국문화원 방화사건" → 특수부분: 방화, 문화원
- 예시 ) 남장로교 또는 합중국 장로교회로 불리는 미국의 장로교 교단인 "미국남장로교" → 공통부분: 장로 / 특수부분: 미국
문맥항목 ID 작성
- 위의 핵심항목_및_문맥항목(전체) 를 통해 정말 없는 항목인지 검색을 완료하신 후,
- 국가문화유산포털에서 문화재인지 검색 → 있다면 문화재 이름 사용
- 디지털광주문화대전에서 검색 → 있다면 해당 이름 사용
문맥항목 ID 작성시 유의사항
- 행정지명: 지역이 중요하다면 내부링크, Contextual Relation 가능하다.
- 지역이 중요한 것: 지역에 관한 설화, 지역성이 중요한 작품, 특정 지역에서 열리는 행사
- 이외에는 행정지명이 아닌 좁은 범위 · 특정 위치로 이야기한다.
- 예시) "칠석마을_당산제"는 칠석마을에 있는 "칠석동은행나무"에서 지낸다.
- 예시) "한말 의병 비석"는 광주 남구 원산동 "포충사" 옛 사당 홍살문 앞에 있는 비석이다.
- 인물: 직책, 신분, 소속 처럼 변동이 가능한 것은 ID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 맞는 예시 ) 노무현 박구용 조비오
- 틀린 예시 ) 노무현_대통령 전남대_박구용_교수 조비오_신부
- 행정지명
- 광주광역시 관내 : 동, 길, 마을 이름 자체를 항목화 / 구단위 이상은 항목화 X
- 맞는 예시 ) 금남로 계림동 발산마을 X
- 틀린 예시 ) 광주 금남로, 북구 금남로 동구 계림동 서구 발산마을, 광주 발산마을 서구
- 광주광역시 외 지명: 도는 시, 군까지 / 특별시·광역시는 시 단위까지
- 맞는 예시 ) 대구광역시 경기도_광주시 X
- 틀린 예시 ) 대구, 대구광역시_달서구 광주시, 경기_광주시 전라남도
- 행정기관: 시청, 구청만 항목화 (구청은 앞에 광주광역시_ 붙임)
- 맞는 예시 ) 광주광역시청 광주광역시_동구청 X
- 틀린 예시 ) 광주시청 동구청, 광주시_동구청 서남동행정복지센터
- 광주광역시 관내 : 동, 길, 마을 이름 자체를 항목화 / 구단위 이상은 항목화 X
- 예술작품: 작품명이 일반명사이거나 다른 항목과 혼동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장르명을 앞에 기재. 『「같은 특수기호는 포함되지 않음
- 맞는 예시 ) 연극_모란꽃 소설_광야 회화_좌상
- 틀린 예시 ) 모란꽃 광야 좌상
- 장르명
- 문학작품: 시, 소설, 수필
- 미술작품: 회화, 조각
- 그외: 평론, 영화, 연극, 드라마, 뮤지컬
핵심항목의 Definition, Contextual Relation 에 추가되어야 하는 내용
- 상(어워드) / 미술대전 혹은 시상식(신춘문예 포함): 화제가 되었던 + 주관적이지만 광주에 의미가 있었던 작품과 작가
- (어워드, 대전, 시상식명) 에서 어떠한 작품이 수상했다, (해당 수상작품)을 만든 이는 누구이다.
- 작가 등 인물에 추가될 수 있는 내용: 등단한/유명한 작품과 해당 문예지
- 작가는 (문예지명)~를 통해 등단했다, (작품명)으로 등단했다, (등단 추천자)의 추천을 받아 등단했다, (어워드명) 수상했다, (협회를,동인을)설립했다.
Contextual Relation 작성
- Contextual Relation만으로도 대상이 어떤 대상인지 파악할 수 있어야 함.
- 가치판단적인 이야기(ex.철학적인 분류)는 Contextual Relation이 될 수 없음. 사실적인 맥락만 기술한다.
- Contextual Relation은 거미줄처럼 연결되어야 함. 따라서, 필요 시 작성 중에 찾은 핵심항목 외의 내용(=Definition에 없는)도 작성
- Q) "송정공원" 작성중에: "용아_박용철_시비"가 "송정공원"에도 있고, "광주공원"에도 있는 경우
- A) "송정공원"과 "용아_박용철_시비", "광주공원"과 "용아_박용철_시비" 둘다 작성
- 단, "송정공원"에 대한 내용이 아니므로 Definition에는 적지 않음
- Q) "송정공원" 작성중에: "용아_박용철_시비"가 "송정공원"에도 있고, "광주공원"에도 있는 경우
Contextual Relation - 계층 구조
-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대상간 연결한다. 꼬리에 꼬리를 물고 연결된다.
- Q ) "흥부가"의 "제비_노정기"를 잘 부르는 "김창환"
- A) "제비_노정기"와 "김창환" 연결, "제비_노정기"와 "흥부가" 연결
- Q ) "오횡묵"이 작성한 "지도군총쇄록"에 "노지다리"가 소개됨
- A) "오횡묵"과 "지도군총쇄록" 연결, "지도군총쇄록"과 "노지다리" 연결
- Q ) "흥부가"의 "제비_노정기"를 잘 부르는 "김창환"
- 너무 커다란 / 복잡한 대상은 계층을 나눈다.
- Q ) "무등산_입석대"는 무등산의 일부이다
- A) "무등산_입석대"와 "무등산_주상절리대" 연결, "무등산"과 "무등산_주상절리대" 연결
- Q ) "허철선"은 "5.18민주화운동" 당시 상황을 사진으로 남겼다.
- A) "허철선"과 "5.18민주화운동기록물-사진자료"(디지털광주문화대전 항목) 연결, "5.18민주화운동기록물"(과년도 문맥) 과 "5.18민주화운동기록물-사진자료"(디지털광주문화대전 항목) 연결
- Q ) "무등산_입석대"는 무등산의 일부이다
그 외 유의사항(Node Description, WebResource, Bibliography)
Node Description
- 모든 콘텐츠 작성은 콘텐츠목록:Core/2023 에서 작성하고자 하는 대상의 ID를 클릭하여 작성한다.
- 콘텐츠목록:Core/2023 에서 class ~ iconUrl을 복사하여 사용한다.
- 혹시 해당 리스트에 기재된 label이 틀렸다면, 위키에는 맞는 내용으로 기재한 후 핵심항목 최종 구글시트에서 해당 label 칸을 파랗게 칠한다.
- hanguel, hanja, english 는 디지털광주문화대전을 활용하여 추가로 기재한다.
- 공식명칭보다 더 보편적으로 부르는 이칭이 있다면 label에 "정식명칭/이칭"으로 기재한다.
- 예시 ) 광주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의 Node Description > label : 광주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 광주경실련
WebResource
- type
-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처럼 "백과사전"인 것만 해설 → 디지털광주와 민백은 모두 해설 / 이외에는 참고, 원문
- 참고: 신문기사, 국가문화유산포털(문화재 검색 시 사용), 백과사전 형식이 아닌 모든 웹사이트
- 원문: 시, 한시 등 원문을 볼 수 있는 웹사이트
- index
- 홈페이지: 해당 콘텐츠의 제목 / 콘텐츠 제목이 없다면 어떠한 메뉴를 클릭했는지 기재(클릭한 첫 단계 > 마지막 단계 메뉴)
- 예시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중 하나의 index: 5.18민주화운동기록물 - 사진자료
- 예시 ) 유네스코 무등지오파크 홈페이지의 콘텐츠의 resource / index: 유네스코 무등지오파크 / 세계지질공원
- 신문기사: 신문기사명(0000-00-00, ㅇㅇㅇ 기자)
- 예시 ) 신문기사의 index: 제1회 광주전국수영선수권대회 열전 돌입(2022-07-17, 이학수기자)
- 예시 ) 기사가 미기재된 신문기사의 index: 광주의 판교로 뜨는 첨단국가산업단지 내 지식산업센터 공급 나선다(2020-10-23, 기자 미기재)
- 예시 ) 기자가 아닌 경우(투고 등) [김경수의 광주땅 최초 이야기](20) 다리 (2021-09-16, 김경수 향토지리연구소장·문학박사)
- 홈페이지: 해당 콘텐츠의 제목 / 콘텐츠 제목이 없다면 어떠한 메뉴를 클릭했는지 기재(클릭한 첫 단계 > 마지막 단계 메뉴)
Bibliography
- type: 논문, 잡지, 단행본, 고문헌
- url
- 원문을 볼 수 있는 사이트: 해당 URL 기재(online Resource에 사이트명 기재)
- 원문을 볼 수 있는 사이트가 없다면: https://www.google.com/search?q= 뒤에 ISBN번호 기재(띄어쓰기 없어야함)
- 예시)
- index(맨 끝에 . 잊지 마세요~)
- 논문 및 잡지: 저자, 「논문명」, 『학회지명』vol.ㅇ no.ㅇ, 학회명, 연도. ← vol. no. 중 한가지가 없다면 없는 것은 지움(아래 예시 참고)
- 예시) https://www.riss.kr/link?id=A3153826 박순, 「조선전기 광주지방의 향약과 동계(洞契)」, 『동서사학』 vol.5, no.1, 한국동서사학회, 1999.
- 예시) https://www.riss.kr/link?id=A108360582 이동호, 「[특집 1] 광주의 심장과 대동맥 광주천」, 『대동문화』 vol.133, 대동문화재단, 2022.
- 학위논문: 저자, 「논문 제목」, ㅇㅇ대학교 ㅇㅇ대학원 ㅇㅇ학위논문, 연도.
- 예 ) 박소은, 「K-pop 스토리텔링 연구 : 방탄소년단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단행본: 저자, 『책이름』, 출판사, 연도. ← 보고서의 경우, 저자와 출판사가 동일할 수 있음(아래 예시 참고)
- 예시) 김희태, 『부용정 양과동정』, 심미안, 2019.
- 예시) 조광철,조희정,부유진,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2021.
- 예시) Huntley Jennifer 저, 이화연 번역, 『제니의 다락방 : 푸른 눈 소녀 제니퍼가 겪은 1980년 오월 광주 이야기』, 하늘마음, 2020.
- 예시) 문화재청, 『문화재명칭 영문표기 용례집』, 문화재청, 2019.
- 고문헌
- 조선왕조실록 등 기사 : 『제목』, 왕 00년 00월 00일, 00/00 기사
- 예 ) 『승정원일기』, 영조 36년 2월 23일, 12/12 기사
- 한국고전종합 DB : 『한글대제목』 제4권 「한글중제목(한자중제목)」 <한글소제목(한자소제목)>
- 예 )『홍재전서』 제4권 「춘저록(春邸錄)」 <소요정기(逍遙亭記)>
- 그밖의 고문헌 : 한글제목(한자제목), 연도(왕력)
- 예 ) 종묘의궤(宗廟儀軌), 1697(숙종23)
- 조선왕조실록 등 기사 : 『제목』, 왕 00년 00월 00일, 00/00 기사
- 논문 및 잡지: 저자, 「논문명」, 『학회지명』vol.ㅇ no.ㅇ, 학회명, 연도. ← vol. no. 중 한가지가 없다면 없는 것은 지움(아래 예시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