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위키 교육
교육자료 준비
목차
작업 플랫폼 소개
작업 플랫폼의 선택
- 사업의 주 업무 : 콘텐츠(+데이터) 생산 및 공유
사업을 위한 작업 플랫폼의 조건
- 공동작업이 가능한 플랫폼
- 대규모의 정보(기사, 데이터)가 쉽게 공유하고 수정할 수 있는 플랫폼
- 시민들과 소통이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작업 플랫폼의 후보자
- 문서 편집 소프트웨어 : 한컴 한글,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 익숙하고 편리한데 파일을 주고 받아야 하는 과정은 콘텐츠 양이나 공동 작업자의 수가 많아질 수록 감당하기 어렵다.
- 클라우드(온라인) 문서 편집 소프트웨어 : 구글 닥스
- 클라우드에 저장되어 있어 파일을 주고 받을 일이 없고 한 번에 여러 사람들이 수정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지만 대중들에게 바로 공유할 수 있는 형식이 아니다.
- 웹사이트 소프트웨어 : 네이버 블로그, 워드프레스, 위키
- 공동작업이 가능하며 또 대중들에게 바로 공유할 수 있는 형식이다.
- 공동작업에 특화된 웹사이트 소프크웨어 : 위키
'위키'란?
- 위키는 웹상에서 공동적으로 웹페이지를 쉽게 만들고 수정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소프트웨어의 종류이다.
- 대표적으로 위키백과에서 사용되는 '미디어위키(MediaWiki)' 소프트웨어가 있으며 한국인들에게 익숙한 나무위키는 '더 시드(the seed)'라는 소프트웨어를 쓰고 있다.
- 위키백과, 나무위키 외에도 수많은 웹사이트들이 다양한 위키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다.
- 이 중에 위키백과에서 사용되는 '미디어위키(MediaWiki)'는 제일 많이 사용되고 있어 제일 안전하고 지원이 풍부한 소프트웨어로 한중연 디지털인문학연구소의 사업 및 교육에서 사용하고 있다.
- 따라서 위키백과와 생김새가 비슷하다. (테마 등으로 통해 생김새 바꾸기 가능하다.)
- 재미있는 이야기
- '위키위키'는 하와이안어로 '빨리빨리'라는 뜻을 의미한다. 첫 위키의 이름은 '빠르고 빠른 웹'의 의미를 가진 'WikiWikiWeb'으로 웹상의 콘텐츠를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도록 하겠다는 개발자의 의지가 드러난다.
위키의 기능
위키 소프트웨어는 공동 작업에 특화된 소프트웨어이다. 예시로 다음과 같은 기능이 있다.
- 동시 편집
- 여러 사람이 동시에 같은 페이지를 수정할 수 있다.
- 단, 같은 섹션을 동시에 수정하면 오류가 생길 수 있어서 주의할 필요가 있다!
- 여러 사람이 동시에 같은 페이지를 수정할 수 있다.
- 수정 사항 기록
- 누가, 언제, 어떤 수정을 했는지 다 기록이 된다. 각 페이지에 검색바 왼쪽에 '역사보기' 탭을 통해 수정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수정한 내용을 비교해야 할 때도 좋고 실수로 내용이 삭제되면 기존의 상태로 돌릴 수도 있다.
- 틀 만들기
- '틀(template)'이라는 기능을 통해 여러 사람이 같은 양식으로 일관성 있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 확장 프로그램(extension)
- 여러 확장 프로그램을 통해 웹사이트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여 콘텐츠를 편리하게 만들 수 있다.
위키의 문법
한컴 한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 워드와 같은 문서 편집 소프트웨는 서식 바꾸기, 사진이나 표 입력하기 등 문서 편집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메뉴가 있다. 그러나 위키에는 이런 작업은 태그와 같은 특수 부호를 이용하여 텍스트에 직접 표기해야 한다. 이것이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라고 한다. 한국어로는 간단하게 '위키 문법'이라고도 한다.
간단한 예시로는 굵은체로 표시하려면 ***이렇게 별 3개를 앞뒤에 적으면*** 그 별 안에 있는 내용은 페이지를 저장하고 나서 ***이렇게 굵은체로 보일 것이다.***
위키 문법에는 다음과 같은 작업을 포함한다.
- 해딩 만들기
- 글자체 바꾸기(굵은체 등)
- 목록 만들기(점, 숫자 리스트)
- 링크 만들기 (내부링크, 외부 링크)
- 표 만들기
- 틀 작성하기
- 사진 입력하기
큐레이터가 하는 항목 페이지 작성에는 제일 중요한 위키 문법은 ***해딩 만들기***와 ***링크 만들기***, ***표 만들기***가 되겠다. 그 외에도 목록 만들기, 틀 작성하기 등도 해야 할 경유가 있다. 위키 문법은 아니지만 또 다른 중요한 위키 작업은 페이지 만들기와 사진 올리기가 있다. 이런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실습하면서 집중적으로 알리도록 하겠다!
항목 페이지 구성 소개
항목 페이지를 새로 작성하거나 수정할 때 일관성을 위해 기존의 양식을 따라 작성해야 한다. 각 항목 페이지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 정의(Definition)
- 의미상의 정보(Semantic Data)
- 항목 설명(Node Description)
- 맥락적 관계(Contextual Relations)
-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맥락적 관계(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 공간 정보(Spatial Data) - *장소 항목터항목에 한정
- 웹 자원(Web Resource)
- 참고문헌(Bibliography)
- 메모(Notes)
- 데이터 시각화(Semantic Network Graph)
- 항목 페이지 분류 - *해딩이 따로 없음
각 구성요소는 해딩으로 구별되어 있다. 아래에는 각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있는데 기존의 핵심항목 작성법 교육자료도 같이 참조하면 좋다.
*알아두면 좋은 위키 문법 팁!* | |
---|---|
위키의 해딩은 등호를 통해 표시한다. 해당 글자 앞뒤에 같은 숫자의 등호를 붙이면 그 글자가 해딩으로 변경된다. 등호가 많아질 수록 하위 해딩이 된다. | |
문법 예시 | ==안녕! 나는 해딩이야!== ===안녕! 나는 하위 해딩이야!=== |
정의(Definition)
양식: 일반 텍스트
정의 섹션에는 해당 항목에 대한 기본 설명을 글로 작성한다.
*알아두면 좋은 위키 문법 팁!* | ||
---|---|---|
정의의 내용 중에 다른 항목이 언급되면 그 항목의 페이지로 긴 하이퍼링크(http.......com) 없이 쉽게 연결할 수 있다. 항목 이름 앞뒤에 각각 2개의 대괄호([[ ]])를 붙이면 된다. 괄호 안에 있는 내용과 해당 항목 페이지 이름이 같은지 주의할 필요가 있다! | ||
문법 예시 | 안녕! 나는 [[없는 페이지]]로 가는 내부 링크다!--> 안녕! 나는 [[있는 페이지]]로 가는 내부 링크다!--> |
안녕! 나는 없는 페이지로 가는 내부 링크다! 안녕! 나는 있는 페이지로 가는 내부 링크다! |
의미상의 정보(Semantic Data)
양식 : 표
의미상(Semantic)의 정보 섹션에는 항목에 대한 기본 정보를 틀의 형식으로 정리한다. 정보의 성격 및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3개의 하위 섹션으로 나눠져 있다.
- 항목 설명(Node Description)
- 맥락적 관계(Contextual Relations)
-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맥락적 관계(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항목 설명(Node Description)
양식 : 표
항목 설명(Node Description) 섹션에는 해당 항목이 다른 항목과 구별할 수 있도록 기본 메타데이터 정보를 작성한다. 사람은 주민등록증에 이름, 생년월일, 집 주소, 등록번호 등이 표시 되어 있듯이 항목 설명 섹션에는 항목에 대한 기본 정보를 표의 형태로 적는다. 다음과 같은 내용, 다음과 같은 순서로 해당 표에 적으면 된다.
- 주의할 점
- 이 중에 무조건 있어야 하는 정보는 id, class, label이다.
- 띄어쓸 때는 띄어쓰기 대신에 언더바를 무조건 기재해야 한다. 즉, '광주광역시 동구'라고 하면 안 되고 '광주광역시_동구'로 표기해야 한다.
정보 품목 | 설명 | 메모 |
---|---|---|
id | 다른 항목과 식별되는 이름 | id를 작성할 때 다른 id와 중복되면 안된다. 위키 검색 기능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class | 항목의 분류 | 분류는 분류 설계 페이지를 참고하여 제시된 데이터 설계(ontology)의 준수하여 작성해야 한다. 설계에 따라 영어로 표시해야 하야 한다. |
groupName | 항목의 하위 분류 | 분류 설계 페이지를 준수 하되 한글로 작성할 수 있다. |
partName | 항목의 소 하위 분류 | 분류 설계 페이지를 준수 하되 한글로 작성할 수 있다. |
label | 시각화할 때 보이는 이름 | 라벨은 보통 '한글'이나 '한글(한자)'의 양식으로 하는데 사람이면 생몰연도를 같이 넣거나, 외국인이나 외국자료인 경우에 영문 명칭을 같이 넣을 수가 있다. |
hangeul | 한글 명칭 | |
hanja | 한자 명칭 | |
english | 영문 명칭 | |
infoUrl | 대표 링크의 URL | 해당 위키 페이지의 하이퍼링크 |
iconUrl | 대표 이미지의 URL | 파일을 올리는 방법은 파일관리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항목 설명의 표는 다음과 같이 생겼다.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항목 id | 분류 | 하위 분류 | 소 하위 분류 | 라벨 | 한글 명칭 | 한자 명칭 | 영문 명칭 | 대표 링크 URL | 대표 이미지 URL |
예) 광주_포충사 | Heritage | 시도문화재 | 광주광역시기념물 | 포충사(光州 褒忠祠) | 광주_포충사 | 光州 褒忠祠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광주_포충사 | 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이재열/포충사_사당.jpg |
*알아두면 좋은 위키 문법 팁!* | |
---|---|
외부 링크를 첨부할 때 스팸 방지를 위해 페이지 저장할 때 간단한 더하기나 빼기 산수 등식을 풀어야 한다. | |
예시 | 12+3 = [___] --> 15 |
맥락적 관계(Contextual Relations)
양식 : 표
맥락적 관계(Contextual Relations) 섹션에는 해당 항목과 관련 다른 항목 간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표의 형식으로 정리한다.
사람에게는 가족 관계, 학교 또는 직장 관계, 취미 관계 등 관계가 있는 사람, 장소, 사건, 개념 등이 있듯이 해당 항목은 관련있는 다른 사람, 장소, 사건, 개념 등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관계들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정리하면 컴튜터가 그 정보를 쉽게 이해하고 그 관계들을 시각화를 하여 표시할 수 있다.
맥락적 관계의 데이터 형식은 3가지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바로 (1) 그 해당 항목(source, 주어 역할), (2) 그 관련 항목(target, 목적어 역할), 그리고 (3) 그 두 항목 간의 관계(relation, 동사 역할)로 나뉜다. 그 외에 관계의 더 폭잡한 내용을 더 자세하게 설명해 주는 속성(attribute, 형용사 역할)도 있다. 쉬운 예시로 '순이'(주어)가 '돌이'(목적어)의 '5년 동안 사귀던'(형용사) '친구이다'(동사).
광주의 역사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예시를 할 수 있다.
- '광주 포충사'(주어)는 '광주광역시 남구 원산동'(목적어)에 '위치한다'(동사).
- '광주 포충사'(주어)는 '고경명'(목적어)을 '기린다'(동사).
- '광주 포충사'(주어)는 '고인후'(목적어)를 '기린다'(동사).
- '고경명'(주어)은 '임진왜란'에서 '충절하였다'(동사).
컴푸터가 이러한 정보를 읽으려면 '주어' 항목와 '목적어' 항목의 id가 정확해야 하며 관계어 동사(relation)도 일관성 있게 표기해야 한다. 관계어는 광주 사업의 데이터 설계(ontology)를 참조해야 하며 관계 설계 정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해외의 데이터 설계와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관계어가 영어로 되어 있다. 그래서 항목의 맥락적 관계를 작성할 때 적절한 영어 관계어를 찾을 수 없다면 속성(attribute)에 해당 한국어 동사를 적으면 된다. 그리고 나중에 한중연 팀원들이 적절한 영어 관계어를 찾는 것을 도와준다.
맥락적 관계계의 표는 다음과 같이 생겼다.
- 주의할 점
- 띄어쓸 때는 띄어쓰기 대신에 언더바를 무조건 기재해야 한다. 즉, '광주광역시 동구'라고 하면 안 되고 '광주광역시_동구'로 표기해야 한다.
- source 와 target은 항목 이름 앞뒤에 각각 2개의 대괄호([[ ]])를 붙여서 해당 페이지로 링크되도록 해야한다.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주어 항목 id | 목적어 항목 id | 데이터 설계에 맞는 관계어 동사 | 추가 설명 또는 한글 관계어 |
예) 광주_포충사 | 고경명 | isEnshrinedIn | ~을 기리다 |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맥락적 관계(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양식 : 표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맥락적 관계(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섹션은 큐레이터가 작성한 앞의 '맥락적 관계(Contextual Relations)'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올릴 수 있도록 한중연에서 그 내용을 수정 및 보완하는 시맨틱 데이터 정리 공간이다. 따라서 그대로 둬도 되는 부분이다.
공간 정보(Spatial Data)
양식 : 표 + 틀
공간 정보 섹션은 '장소(Place)' 분류의 항목에 해당하며 주소 및 경위도 정보를 작성하는 부분이다. 해당 항목의 id(id), 위도(latitude), 경도(longitude), 그리고 주소(address)를 정리한 표 및 그 위치를 지도로 보여주는 틀로 이루어진다.
공간 정보 표는 다음과 같이 생겼다.
- ID의 항목 이름 앞뒤에 각각 2개의 대괄호([[ ]])를 붙여야한다.
id | latitude | longitude | address |
---|---|---|---|
예) 광주_포충사 | 35.090126 | 126.8466997 | 광주 남구 포충로 767 포충사 |
지도는 위키 틀(template)을 이용하는데 위도와 경도 숫자만 바꾸면 된다.
해당 틀은 다음과 같이 생겼다.
{{구글지도 | 위도=35.090126|경도= 126.8466997|줌=16}}
그리고 다음과 같은 지도가 생산된다.
웹 자원(Web Resource)
양식 : 표
웹 자원(Web Resource) 섹션에는 해당 항목을 더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도움이 될만한 디지털 자원들을 정리한다. 해당 표에는 자원의 유형(type)과 출처 웹사이트(resource), 제목(title), 설명(description/caption), 링크(url)로 구성되어 있다.
디지털 자원의 유형은 사업의 데이터 설계에 따라 다음과 같은 분류에만 한정된다.
- 해설, 참고, 원문, 지도, 그림, 도면, 동영상, 사진
웹 자원 표는 다음과 같이 생겼다.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유형 | 출처 웹사이트 | 제목 | 설명 | 링크 |
예)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포충사(褒忠祠)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0202 |
참고문헌(Bibliography)
양식 : 표
참고문헌(Bibliography) 섹션에는 항목의 정의를 작성하거나 관계 정보를 정리할 때 참고한 문헌 등을 정리한다. 해당 표에는 자원의 유형(type)과 출처 내용(bibliographic_index), 출처 서비스 및 기관(online_resource), 링크(url)로 구성되어 있다.
디지털 자원의 유형은 사업의 데이터 설계에 따라 다음과 같은 분류에만 한정된다.
- 단행본, 논문, 고문헌
웹 자원 표는 다음과 같이 생겼다.
type | bibliographic_index | online_resource | url |
---|---|---|---|
유형 | 출처 내용(작가, 제목, 출판사, 출판 연도 등) | 출처 서비스 및 기관(KCI, 국회전자도서관 등) | 링크 |
예) 논문 | 성대철 ‧ 이상선, 「광주 포충사의 배치 변화와 양식 특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9, no.2, 통권 78호,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7.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17279 |
예) 단행본 | 삼정건축사사무소, 『포충사(褒忠祠) 정밀실측조사보고서 :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7호』, 광주광역시 문화기반조성과, 2021. | 국회전자도서관 |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srchTarget=total&pageNum=1&pageSize=10&kwd=포충사(褒忠祠)+정밀실측조사보고서+:+광주광역시+기념물+제7호#! |
각주(Notes)
양식 : 틀(자동)
각주(Notes) 섹션은 위키의 기능을 통해 각주가 자동으로 정리되는 곳이다. 이 섹션에는 <references/>라는 태그(문법)만 적혀있는데 이를 통해 위키 문법으로 만든 각주들이 나오게 한다. 따라서 그대로 두면 되는 섹션이다.
*알아두면 좋은 위키 문법 팁!* | ||
---|---|---|
각주를 넣고 싶으면 그 각주 내용 앞뒤에 각각 <ref>와 </ref> 달면 된다. 원하는 곳에 <references/> 적으면 그 위치에 각주 목록이 재생된다. | ||
문법 예시 | 여기는 각주를 달 곳이다<ref>린지, 「2023년 위키 교육」, 광주광역시, 2023.</ref> <references/> |
여기는 각주를 달 곳이다[1]
|
데이터 시각화(Semantic Network Graph)
양식 : 틀
데이터 시각화(Semantic Network Graph) 섹션에는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데이터를 조회하여 네트워크 그래프(network graph)형식의 시각화로 보여준다. HTML 기반의 틀로 되어 있는데 'key+=' 뒤에 있는 항목 id만 해당 항목의 id로 고치면 된다.
- 주의할 점
- 항목 id는 두 곳에서 바꿔야 한다.
틀은 다음과 같이 생겼다. 고치면 되는 부분을 굵은 표시로 처리했다.
<html>
<iframe width="90%" height="400px" src="https://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gwangju&project=gwangju&key=광주_포충사"></iframe>
<br/>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s://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gwangju&project=gwangju&key=광주_포충사'">
</html>
그렇게 하면 다음과 같은 데이터 시각화를 만들어 준다.
페이지 분류
양식 : 일반 텍스트
페이지 분류는 비슷한 페이지들을 한번에 볼 수 있도록 해당 위키 페이지를 분류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해당 항목의 분류(class), 페이지의 작성자, 그리고 '흥.미.로.운.가 스토리 구별 등의 분류를 할 수 있다. 섹션 해딩이 따로 없고 위키 페이지 맨 아래에 기재하며 해당 항목에 맞게 분류를 바꾸면 된다.
분류는 다음과 같이 기재할 수 있다.
[[분류:Heritage]][[분류: 이재열]][[분류:가]]
현 페이지의 맨 아래로 내려가보면 "2023 워크샵"란 분류로 되어 있다. 링크를 누르면 2023년 워크샵 관련한 다른 위키 페이지들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