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위키 교육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Lyndsey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0월 22일 (일) 15:58 판 (맥락적 관계(Contextual Relations))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작업 플랫폼 소개

'위키'란?

항목 페이지 구성 소개

항목 페이지를 새로 작성하거나 수정할 때 일관성을 위해 기존의 양식을 따라 작성해야 한다. 각 항목 페이지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1. 정의(Definition)
  2. 의미상의 정보(Semantic Data)
    1. 항목 설명(Node Description)
    2. 맥락적 관계(Contextual Relations)
    3.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맥락적 관계(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3. 공간 정보(Spatial Data) - *장소 항목터항목에 한정
  4. 웹 자원(Web Resource)
  5. 참고문헌(Bibliography)
  6. 메모(Notes)
  7. 데이터 시각화(Semantic Network Graph)
  8. 항목 페이지 분류 - *해딩이 따로 없음

각 구성요소는 해딩으로 구별되어 있다. 아래에는 각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있다.

*알아두면 좋은 위키 문법 팁!*
위키의 해딩은 등호를 통해 표시한다. 해당 글자 앞뒤에 같은 숫자의 등호를 붙이면 그 글자가 해딩으로 변경된다. 등호가 많아질 수록 하위 해딩이 된다.
문법 예시 ==안녕! 나는 해딩이야!==
===안녕! 나는 하위 해딩이야!===

정의(Definition)

양식: 일반 텍스트

정의 섹션에는 해당 항목에 대한 기본 설명을 글로 작성한다.

*알아두면 좋은 위키 문법 팁!*
정의의 내용 중에 다른 항목이 언급되면 그 항목의 페이지로 긴 하이퍼링크(http.......com) 없이 쉽게 연결할 수 있다. 항목 이름 앞뒤에 각각 2개의 대괄호([[ ]])를 붙이면 된다. 괄호 안에 있는 내용과 해당 항목 페이지 이름이 같은지 주의할 필요가 있다!
문법 예시 안녕! 나는 [[없는 페이지]]로 가는 내부 링크다!
안녕! 나는 [[있는 페이지]]로 가는 내부 링크다!
안녕! 나는 없는 페이지로 가는 내부 링크다!
안녕! 나는 있는 페이지로 가는 내부 링크다!

의미상의 정보(Semantic Data)

양식 : 표

의미상(Semantic)의 정보 섹션에는 항목에 대한 기본 정보를 틀의 형식으로 정리한다. 정보의 성격 및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3개의 하위 섹션으로 나눠져 있다.

  1. 항목 설명(Node Description)
  2. 맥락적 관계(Contextual Relations)
  3.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맥락적 관계(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항목 설명(Node Description)

양식 : 표

항목 설명(Node Description) 섹션에는 해당 항목이 다른 항목과 구별할 수 있도록 기본 메타데이터 정보를 작성한다. 사람은 주민등록증에 이름, 생년월일, 집 주소, 등록번호 등이 표시 되어 있듯이 항목 설명 섹션에는 항목에 대한 기본 정보를 표의 형태로 적는다. 다음과 같은 내용, 다음과 같은 순서로 해당 표에 적으면 된다.

*주의할 점*

  • 이 중에 무조건 있어야 하는 정보는 id, class, label이다.
  • 띄어쓸 때는 띄어쓰기 대신에 언더바를 무조건 기재해야 한다. 즉, '광주광역시 동구'라고 하면 안 되고 '광주광역시_동구'로 표기해야 한다.
정보 품목 설명 메모
id 다른 항목과 식별되는 이름 id를 작성할 때 다른 id와 중복되면 안된다. 위키 검색 기능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class 항목의 분류 분류는 분류 설계 페이지를 참고하여 제시된 데이터 설계(ontology)의 준수하여 작성해야 한다. 설계에 따라 영어로 표시해야 하야 한다.
groupName 항목의 하위 분류 분류 설계 페이지를 준수 하되 한글로 작성할 수 있다.
partName 항목의 소 하위 분류 분류 설계 페이지를 준수 하되 한글로 작성할 수 있다.
label 시각화할 때 보이는 이름 라벨은 보통 '한글'이나 '한글(한자)'의 양식으로 하는데 사람이면 생몰연도를 같이 넣거나, 외국인이나 외국자료인 경우에 영문 명칭을 같이 넣을 수가 있다.
hangeul 한글 명칭
hanja 한자 명칭
english 영문 명칭
infoUrl 대표 링크의 URL 해당 위키 페이지의 하이퍼링크
iconUrl 대표 이미지의 URL 파일을 올리는 방법은 파일관리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맥락적 관계(Contextual Relations)

양식 : 표

맥락적 관계(Contextual Relations) 섹션에는 해당 항목과 관련 다른 항목 간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표의 형식으로 정리한다.

사람에게는 가족 관계, 학교 또는 직장 관계, 취미 관계 등 관계가 있는 사람, 장소, 사건, 개념 등이 있듯이 해당 항목은 관련있는 다른 사람, 장소, 사건, 개념 등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관계들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정리하면 컴튜터가 그 정보를 쉽게 이해하고 그 관계들을 시각화를 하여 표시할 수 있다.

맥락적 관계의 형식은 3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바로 1) 그 해당 항목(source, 주어), 2) 그 관련 항목(target, 목적어), 그리고 3) 그 두 항목 간의 관계(relation, 동사)로 나뉜다. 그 외에 관계의 더 폭잡한 내용을 더 자세하게 설명해 주는 속성(attribute, 형용사)도 있다. 예를 들어 '순이'(주어)가 '돌이'(목적어)의 '5년 동안 사귀던'(형용사) '친구이다'(동사).

광주 역사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예시를 할 수 있다.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맥락적 관계(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양식 : 표

공간 정보(Spatial Data)

웹 자원(Web Resource)

참고문헌(Bibliography)

메모(Notes)

데이터 시각화(Semantic Network Graph)

페이지 분류

항목 페이지 만들기 실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