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양역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목차
Definition
- 조선시대에는 경양방죽 북서쪽에 있었던 역. 조선시대의 경양역은 관리(찰방)들이 공문서 등 전달할 서류를 가지고 출장갈 때 숙식과 말 등의 교통편을 제공하는 곳이었다. 광주 안에 있지만 광주 목사의 관리를 받지 않고 수군절도사나 관찰사의 통제를 받았다.
- 경양역은 1890년대까지는 유지되었으나 그 이후 광주시가 점차 근대화하는 과정에서 사라졌다고 한다.
- 광주 경양역에 속한 경양역_역둔토는 논밭을 합쳐 5,821,470평에 달했는데, 동양척식주식회사는 이 땅을 일본인 지주에게 불하하여 인근 주민 1,010명이 소작으로 경작하게 되었다.
- 경양방죽의 둔토는 옛 광주상업고등학교가 있었던 유은학원과 동신전문대학교 주변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경양역 | Place | 교통 | 경양역(景陽驛) | 경양역 | 景陽驛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경양역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경양역 | 경양방죽 | attribute | |
경양역 | 찰방 | attribute | |
경양역 | 경양역_역둔토 | attribute | |
김덕령 | 김덕보 | attribute | |
김덕령 | 임진왜란_전라도_의병 | attribute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김덕령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8931 | |
해설 | 위키백과 | 김덕령 | https://ko.wikipedia.org/wiki/김덕령 | |
해설 | 지역N문화 | 충장공 김덕령의 충절을 기리는 충장사 | https://ncms.nculture.org/righteous-army/story/3894 | |
사진 |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 전남대학교 정문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0/09/전남대학교_정문.jpg | |
동영상 | 광주MBC | 그 이름만으로도 일본을 떨게한 임진왜란의 의병장 충장공 '김덕령' | https://www.youtube.com/embed/8-tPO6_vzI0 | |
동영상 | 흥미로운가 | 흥미로 쇼츠(shorts) - 베비에르 | https://youtube.com/shorts/iNO7863fWQg?feature=share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단행본 | 박선홍, 『광주1백년』, 금호문화, 1994. |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63810874 | |
논문 | 강현모, 「《임진록》에 나타난 김덕령 전승의 양상과 의미」, 『한국언어문화』 24, 한국언어문화학회, 2003. | KISS |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234046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