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기여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22년 10월 7일 (금) 17:50 (차이 | 역사) . . (+77) . . 잔글 광여도 (→Definition)
- 2022년 10월 7일 (금) 17:48 (차이 | 역사) . . (+620) . . 새글 황성신문 (새 문서: ==Definition== 1898년 남궁 억 등이 국민 계몽을 위해 여러 사람의 자본을 모아 만든 신문이며, 원래 있던 대한황성신문과 합자 형식으로 병합...) (최신)
- 2022년 10월 7일 (금) 17:36 (차이 | 역사) . . (+277) . . 새글 광여도 (새 문서: ==Definition== 광여도는 조선 후기 19세기경 만들어진 전국지도집이다. 조선 후기 전국 각지의 지리적인 특징을 파악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 2022년 10월 7일 (금) 17:31 (차이 | 역사) . . (-240) . . 잔글 경양방죽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10월 7일 (금) 17:30 (차이 | 역사) . . (+90) . . 잔글 계림동 (→Definition)
- 2022년 10월 7일 (금) 17:29 (차이 | 역사) . . (+667) . . 새글 계림동 (새 문서: ==Definition== 계림동은 광주광역시 동구에 있는 지역이며, 산수동, 충장동, 동명동 등과 접해 있다. 1947년부터 계림동이라는 명칭을 사용하...)
- 2022년 10월 7일 (금) 17:14 (차이 | 역사) . . (0) . . 잔글 경양방죽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10월 7일 (금) 17:13 (차이 | 역사) . . (+416) . . 새글 제방림 (새 문서: ==Definition== 제방림은 자연 하천이나 인공 하천 주변에 둑을 쌓고 그 둑위에 나무를 심어 수해를 방지하게 하는 숲을 말한다. 특히 조선시...) (최신)
- 2022년 10월 7일 (금) 17:06 (차이 | 역사) . . (+165) . . 잔글 입탑보 (→Definition) (최신)
- 2022년 10월 7일 (금) 17:04 (차이 | 역사) . . (+304) . . 새글 입탑보 (새 문서: ==Definition== 조선 후기에 광주 유림숲 위치에 있던 농수로이며, 정확한 건축 시기는 알 수 없다. 이 수리 시설이 만들어지면서 제방림이 필...)
- 2022년 10월 7일 (금) 16:57 (차이 | 역사) . . (+377) . . 새글 양경지 (새 문서: ==Definition== 양경지(梁敬之, 1662~1734)는 조선 후기의 문인이며, 특히 1708년 당시 광주목사 조정만이 유림숲에서 호랑이 사냥하는 광경을 보...) (최신)
- 2022년 10월 7일 (금) 16:46 (차이 | 역사) . . (+519) . . 새글 버드나무 (새 문서: ==Definition== 버드나무는 전세계에 분포하며, 은행나무와 같이 자웅이체이다. 한국에서도 전국적으로 분포하는데, 능수버들, 갯버들 등 30여...) (최신)
- 2022년 10월 7일 (금) 16:37 (차이 | 역사) . . (+453) . . 새글 버드리 (새 문서: ==Definition== 버드리는 현재 광주광역시 북구 임동과 유동 지역을 가리키는 옛 명칭이다. 광주읍성의 북문이 위치했던 충장치안센터쪽에서...) (최신)
- 2022년 10월 7일 (금) 16:20 (차이 | 역사) . . (-308) . . 잔글 유림숲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10월 7일 (금) 16:18 (차이 | 역사) . . (-10) . . 잔글 호남문화연구 (→Definition) (최신)
- 2022년 10월 7일 (금) 16:17 (차이 | 역사) . . (+445) . . 새글 호남문화연구 (새 문서: ==Definition== 호남문화연구는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이 발행하는 학술지이다. 호남학연구원은 1963년에 만들어진 호남문화연구소의 후신...)
- 2022년 10월 7일 (금) 16:07 (차이 | 역사) . . (+528) . . 새글 매일신보 (새 문서: ==Definition== 매일신보는 1904년 영국인 베델이 만들었던 신문, '대한매일신보'를 일제가 사들여서 '대한'이라는 이름을 빼고 만든 신문이다....)
- 2022년 10월 7일 (금) 15:59 (차이 | 역사) . . (-120) . . 잔글 광주 태봉산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10월 7일 (금) 15:56 (차이 | 역사) . . (+734) . . 새글 인열왕후 (새 문서: ==Definition== 인열왕후는 조선 16대 왕인 인조의 왕비이며, 한준겸의 딸이다. 1624년 이괄의 난이 일어났을 때 넷째 아이를 임신 중이었고, 난...) (최신)
- 2022년 10월 7일 (금) 15:50 (차이 | 역사) . . (+568) . . 새글 인조 (새 문서: ==Definition== 인조는 조선의 제16대 왕(1623~1649 재위)이며, 1623년 서인들이 주도하는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을 몰아내고 즉위하였다. 즉위 다음...) (최신)
- 2022년 10월 7일 (금) 15:43 (차이 | 역사) . . (+29) . . 잔글 광주소방서 (→Definition) (최신)
- 2022년 10월 7일 (금) 15:41 (차이 | 역사) . . (+478) . . 새글 신안동 (새 문서: ==Definition== 신안동은 광주광역시 북구에 속하는 지역이며, 용봉동, 중흥동, 임동 등과 면해있다. 1914년에 신안리라는 이름이 되었고, 이후...) (최신)
- 2022년 10월 7일 (금) 11:53 (차이 | 역사) . . (-319) . . 잔글 광주 태봉산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10월 7일 (금) 11:51 (차이 | 역사) . . (+290) . . 새글 광주읍성 광리문 (새 문서: ==Definition== 광리문은 광주읍성의 서문에 해당된다. '광'은 광주 또는 광산을 가리키는 뜻이고, '리'는 주역에서 서쪽을 뜻한다고 한다. 현...) (최신)
- 2022년 10월 7일 (금) 11:48 (차이 | 역사) . . (+342) . . 새글 광주읍성 서원문 (새 문서: ==Definition== 서원문은 광주읍성의 동문에 해당된다. '서'는 해가 뜨는 동쪽의 상서로운 기운을 받는다는 뜻이고, '원'은 주역에서 동쪽을 의...) (최신)
- 2022년 10월 7일 (금) 11:45 (차이 | 역사) . . (+334) . . 새글 광주읍성 진남문 (새 문서: ==Definition== 광주읍성의 남문을 진남문이라고 불렀다. 거의 모든 성의 남문은 같은 이름을 쓰는 경우가 많았는데, 남쪽의 왜구를 진압한다...)
- 2022년 10월 7일 (금) 11:39 (차이 | 역사) . . (-167) . . 잔글 광주읍성유허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10월 7일 (금) 11:14 (차이 | 역사) . . (+440) . . 새글 해동지도 (새 문서: ==Definition== 해동지도는 조선 후기인 1750년대에 만들어진 전국 지도책이다. 그 전에 만들어진 비변사 지도를 참고해 제작되었을 것으로 짐...) (최신)
- 2022년 10월 7일 (금) 11:07 (차이 | 역사) . . (+591) . . 새글 신증동국여지승람 (새 문서: ==Definition== 신증동국여지승람은 1530년(중종 25년)에 55권 25책으로 편찬된 대표적인 관찬 지리서이다. 1481년(성종 12년)에 50권으로 편찬된 ...) (최신)
- 2022년 10월 7일 (금) 10:52 (차이 | 역사) . . (+438) . . 새글 동국여지지 (새 문서: ==Definition== 동국여지지는 조선 후기인 1656년에 실학자 유형원에 의해서 편찬된 전국 지리서이다. 9권 10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인이 편...) (최신)
- 2022년 10월 7일 (금) 10:48 (차이 | 역사) . . (+195) . . 새글 광주읍지 (새 문서: ==Definition== 조선시대에 간행된 지리지이며, 광주읍 지역에 대한 도로, 풍속, 군병 등 상세한 기록을 볼 수 있다. 분류:문맥항목 분류...) (최신)
- 2022년 10월 7일 (금) 10:43 (차이 | 역사) . . (-106) . . 잔글 광주읍성유허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10월 7일 (금) 10:42 (차이 | 역사) . . (+39) . . 잔글 광주읍성유허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10월 7일 (금) 10:41 (차이 | 역사) . . (-39) . . 잔글 광주읍성유허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10월 7일 (금) 10:39 (차이 | 역사) . . (0) . . 잔글 광주읍성유허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10월 7일 (금) 10:37 (차이 | 역사) . . (-221) . . 잔글 동부소방서(구 광주역)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10월 7일 (금) 10:36 (차이 | 역사) . . (+6) . . 잔글 광주소방서 (→Definition)
- 2022년 10월 7일 (금) 10:35 (차이 | 역사) . . (+9) . . 잔글 광주소방서 (→Definition)
- 2022년 10월 7일 (금) 10:34 (차이 | 역사) . . (+93) . . 잔글 광주소방서 (→Definition)
- 2022년 10월 7일 (금) 10:31 (차이 | 역사) . . (+11) . . 잔글 광주소방서 (→Definition)
- 2022년 10월 7일 (금) 10:29 (차이 | 역사) . . (+384) . . 새글 광주소방서 (새 문서: ==Definition== 현재의 광주 동부소방서는 1932년부터 1990년까지 광주시 전체를 관할하는 광주소방서였다. 광주시가 점차 커지면서 소방서도...)
- 2022년 10월 7일 (금) 10:25 (차이 | 역사) . . (+11) . . 잔글 119안전나눔공유방 (→Definition)
- 2022년 10월 7일 (금) 10:24 (차이 | 역사) . . (-46) . . 잔글 119안전나눔공유방 (→Definition)
- 2022년 10월 7일 (금) 10:22 (차이 | 역사) . . (+683) . . 새글 119안전나눔공유방 (새 문서: ==Definition== 광주 동부소방서는 2019년부터 119안전나눔공유방을 운영하고 있다. 소방시설 점검기구, 교육 기자재, 각종 생활공구를 시민들...)
- 2022년 10월 7일 (금) 10:15 (차이 | 역사) . . (+349) . . 새글 경방단 (새 문서: ==Definition== 경방단은 1939년~1945년 기간에 사용된, 소방서를 가리키는 호칭이다. 일제는 치안을 강화하기 위하여 방호단과 소방대를 통합하...) (최신)
- 2022년 10월 7일 (금) 10:09 (차이 | 역사) . . (+445) . . 새글 광주문화재 야행 동구 달빛 걸음 (새 문서: ==Definition== 광주문화재야행 동구 달빛 걸음은 광주광역시 동구의 역사성을 대표할 수 있는 근대문화유산과 유형 무형 문화재등을 투어 및...) (최신)
- 2022년 10월 7일 (금) 10:03 (차이 | 역사) . . (+407) . . 새글 서석동 (새 문서: ==Definition== 광주광역시 동구에 속한 지역이다. 서석산에서 비롯된 이름이며 1948년 이후 서석동이라고 불렸다. 동구청사와 조선대학교,...) (최신)
- 2022년 10월 7일 (금) 09:51 (차이 | 역사) . . (-70) . . 잔글 광주서석초등학교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10월 6일 (목) 21:22 (차이 | 역사) . . (+639) . . 새글 대인동 (새 문서: ==Definition== 대인동은 광주광역시 동구에 있는 지역이며, 광주의 중심 상가인 충장로, 금남로와 인접한 곳인데다 예전에는 광주시외버스터...)
- 2022년 10월 6일 (목) 21:09 (차이 | 역사) . . (+328) . . 새글 삼계탕 (새 문서: ==Definition== 삼계탕은 어린 닭(영계)의 내장을 제거한 후 그 속에 인삼, 대추, 찹쌀 등을 넣고 오랜 시간 고아서 만드는 음식이다. 우리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