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기여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22년 9월 15일 (목) 15:53 (차이 | 역사) . . (+7) . . 고운
- 2022년 9월 15일 (목) 15:52 (차이 | 역사) . . (+7) . . 송호영당
- 2022년 9월 15일 (목) 15:52 (차이 | 역사) . . (+4) . . 광주 구 수피아여학교 커티스 메모리얼 홀
- 2022년 9월 15일 (목) 15:51 (차이 | 역사) . . (+4) . . 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 소강당
- 2022년 9월 15일 (목) 15:51 (차이 | 역사) . . (+6) . . 광주 신창동 유적 출토 유물
- 2022년 9월 15일 (목) 15:50 (차이 | 역사) . . (+6) . . 유서석록
- 2022년 9월 15일 (목) 15:50 (차이 | 역사) . . (+4) . . 광주 구 수피아여학교 윈스브로우 홀
- 2022년 9월 15일 (목) 15:48 (차이 | 역사) . . (+340) . . 새글 분청사기전라도명항아리 (새 문서: 분청사기전라도명항아리는 광주시립민속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 조선시대의 분청사기 항아리이다. 1998년 2월 12일 광주광역시 문화재...)
- 2022년 9월 15일 (목) 15:40 (차이 | 역사) . . (+561) . . 새글 아시아도자문화실 (새 문서: *[아시아도자문화실]]은 국립광주박물관의 1층에 마련된 전시실로 박물관이 소장한 도자기들을 한데 모아 전시하고 았다. 한국도자, ...)
- 2022년 9월 15일 (목) 15:20 (차이 | 역사) . . (+697) . . 새글 충효동 점토광물산지 (새 문서: *충효동 점토광물산지는 풍화토가 도자기 재료로 채굴되었던 장소이다. 무등산은 중생대 화성활동에 의해 형성...)
- 2022년 9월 15일 (목) 14:33 (차이 | 역사) . . (+44) . . 죽녹원
- 2022년 9월 15일 (목) 14:30 (차이 | 역사) . . (+20) . . 추성창의 기념관
- 2022년 9월 15일 (목) 14:29 (차이 | 역사) . . (+1) . . 우송당
- 2022년 9월 15일 (목) 14:29 (차이 | 역사) . . (+441) . . 새글 우송당 (새 문서: *우송당은 창작판소리의 대가 박동실(朴東實,1897~1968)이 청년시절 판소리를 익힌 강학장소로서 이를 죽녹원 시가문화촌 안에 이...)
- 2022년 9월 15일 (목) 14:24 (차이 | 역사) . . (+466) . . 새글 추성창의 기념관 (새 문서: *추성창의 기념관은 임진왜란 당시 호남의병을 일으킨 추성창의를 기념하기 위해 2012년 죽녹원 안에 세운...)
- 2022년 9월 15일 (목) 13:54 (차이 | 역사) . . (+139) . . 시가문화촌
- 2022년 9월 15일 (목) 13:52 (차이 | 역사) . . (+3) . . 죽녹원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9월 15일 (목) 13:50 (차이 | 역사) . . (-16) . . 죽녹원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9월 15일 (목) 13:49 (차이 | 역사) . . (+1) . . 시가문화촌
- 2022년 9월 15일 (목) 13:48 (차이 | 역사) . . (+386) . . 새글 시가문화촌 (새 문서: *시가문화촌은 [죽녹원]] 안에 담양의 정자문화를 구현한 공간이다.담양을 대표하는 면앙정, 송강정 등의 정자와 소리전수관인 우송당...)
- 2022년 9월 15일 (목) 13:32 (차이 | 역사) . . (-29) . . 죽녹원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9월 15일 (목) 13:31 (차이 | 역사) . . (-62) . . 이선제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9월 15일 (목) 13:29 (차이 | 역사) . . (-170) . . 이선제 (→Spatial Data)
- 2022년 9월 15일 (목) 13:27 (차이 | 역사) . . (+14) . . 이선제 (→Definition)
- 2022년 9월 15일 (목) 13:27 (차이 | 역사) . . (+368) . . 이선제
- 2022년 9월 15일 (목) 13:17 (차이 | 역사) . . (-12) . . 죽녹원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9월 15일 (목) 13:16 (차이 | 역사) . . (+326) . . 새글 광주교회 (새 문서: *광주교회는 미국 남장로회 선교사 유진 벨(Eugene Bell)이 광주 남문 밖 금정에 1919년에 창립한 교회이며 광주금정교회라고도 불린다. 1924...)
- 2022년 9월 15일 (목) 12:52 (차이 | 역사) . . (-64) . . 이선제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9월 15일 (목) 12:50 (차이 | 역사) . . (-62) . . 이선제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9월 15일 (목) 12:50 (차이 | 역사) . . (-57) . . 이선제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9월 15일 (목) 12:49 (차이 | 역사) . . (+426) . . 새글 필문 이선제 부조묘 (새 문서: *필문 이선제 부조묘는 조선 전기의 문신 이선재의 신위를 모신 사당이다. 부조묘란 나라에 큰 공훈이 있는 사람의...)
- 2022년 9월 15일 (목) 12:46 (차이 | 역사) . . (-53) . . 이선제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9월 15일 (목) 12:45 (차이 | 역사) . . (+354) . . 새글 괘고정수 (새 문서: *괘고정수(掛鼓亭樹)는 필문(畢門)이선제가 남구 만산마을에 심은 왕버들이다. 수고 15미터, 직경 1.7미터, 수령 600여 년의...)
- 2022년 9월 15일 (목) 12:38 (차이 | 역사) . . (+442) . . 새글 광주향약 (새 문서: *광주향약은 광주지역에서 시행된 조선 최초의 향약이다. 김문발이 1418년(태종 18년) 낙향하여 남전향약(南田鄕約)과 백록동규약(白...)
- 2022년 9월 15일 (목) 12:25 (차이 | 역사) . . (+478) . . 새글 진혼무 이삼헌 (새 문서: *진혼무는 이삼헌가 시위현장에서 추는, 희생자의 혼을 위로하는 춤이다. 발레와 전통 한국춤이 한민족 특유의 한의...) (최신)
- 2022년 9월 15일 (목) 12:18 (차이 | 역사) . . (+348) . . 새글 진혼무 산천초목 이삼헌 (새 문서: *이삼헌이 문화계 블랙리스트 작성에 항의해 만든 연극무대 ‘블랙 텐트’에서 춘 창작무이다. 그가 창조한 진혼무...)
- 2022년 9월 15일 (목) 11:22 (차이 | 역사) . . (+590) . . 새글 다큐멘터리 바람의 춤꾼 (새 문서: 바람의 춤꾼은 재야무용가 이삼헌의 삶과 몸짓을 친구인 최상진 영화감독이 15년 동안 기록하여 만든 다큐...) (최신)
- 2022년 9월 15일 (목) 11:09 (차이 | 역사) . . (+71) . . 말집
- 2022년 9월 15일 (목) 11:07 (차이 | 역사) . . (+352) . . 새글 말집 (새 문서: 말집은 1946년 귀국동포 전재민들을 위해 김구 선생의 정치후원금으로 조성된 백화마을의 대표적인 가옥형태이다. 집 구조가 한 지붕아...)
- 2022년 9월 15일 (목) 11:03 (차이 | 역사) . . (+490) . . 새글 학동역사공원 (새 문서: 학동역사공원은 백범 김구와 광주 백화마을을 기념하고 기록하는 테마공원으로 지난 2011~2012년에 조성되었다. 김구의 일대기와...)
- 2022년 9월 15일 (목) 00:07 (차이 | 역사) . . (+4) . . 전시물 빛고을탑
- 2022년 9월 15일 (목) 00:06 (차이 | 역사) . . (+382) . . 새글 전시물 빛고을탑 (새 문서: *빛고을탑은 세상을 있게 한 근본적 요소인 '빛'을 물리적 원리, 빛의 예술성, 빛의 생명부양력과 과학적 역동성 등...)
- 2022년 9월 14일 (수) 23:54 (차이 | 역사) . . (+45) . . 이동과학관 루체리움 과학스쿨
- 2022년 9월 14일 (수) 23:54 (차이 | 역사) . . (+339) . . 새글 이동과학관 루체리움 과학스쿨 (새 문서: *이동과학관 루체리움 과학스쿨은 국립광주과학관이 개발 운영하는 이동 과학관 차량이다. 2020년...)
- 2022년 9월 14일 (수) 23:48 (차이 | 역사) . . (+106) . . 국립광주과학관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9월 14일 (수) 23:46 (차이 | 역사) . . (-99) . . 국립광주과학관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9월 14일 (수) 17:15 (차이 | 역사) . . (+381) . . 새글 이동천체관 루체리움 스타카 (새 문서: *루체리움 스타카는 국립광주과학관에서 운영하는 트럭 형태의 이동천체관 차량 으로서, 과학문화소...)
- 2022년 9월 14일 (수) 17:09 (차이 | 역사) . . (+89) . . 국립광주과학관
- 2022년 9월 14일 (수) 16:50 (차이 | 역사) . . (-3) . . 광주과학기술원(GIST)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9월 14일 (수) 16:49 (차이 | 역사) . . (+612) . . 새글 박물관 해설문 한국수어 서비스 (새 문서: *박물관 해설문 한국수어 서비스는 광주과학기술원 산하 광주과학기술원_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