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기여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22년 8월 17일 (수) 03:24 (차이 | 역사) . . (+489) . . 새글 광주농공은행 (새 문서: *농공은행(農工銀行)은 1906년 3월에 제정, 공포된 「농공은행조례」에 의거해 전국 주요 도시에 설립되었던 지방은행들이다.대한제국의...)
- 2022년 8월 17일 (수) 03:12 (차이 | 역사) . . (+6) . . 충장로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8월 17일 (수) 03:03 (차이 | 역사) . . (-106) . . 유교아카데미 (문서를 비움) (최신) (태그: 비우기)
- 2022년 8월 17일 (수) 03:01 (차이 | 역사) . . (+437) . . 새글 전라도 을미의병 (새 문서: *을미의병(乙未義兵)은 한말 최초의 대규모 항일의병이다. 을미사변과 단발령의 시행에 분격한 유생들이 일본세력의 타도를 외치며 의병...)
- 2022년 8월 17일 (수) 02:54 (차이 | 역사) . . (-11) . . 광주향교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8월 17일 (수) 02:54 (차이 | 역사) . . (-534) . . 광주향교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8월 17일 (수) 02:40 (차이 | 역사) . . (0) . . 광주유학대학
- 2022년 8월 17일 (수) 02:40 (차이 | 역사) . . (+106) . . 새글 유교아카데미 (새 문서: *광주향교에서 개최하는 12주 과정의 유교교육과정. 분류:Event 분류:이재열)
- 2022년 8월 17일 (수) 02:35 (차이 | 역사) . . (+285) . . 새글 광주유학대학 (새 문서: *광주향교에서 운영하는 2년제의 유학교육과정이다. 1997년에 1년 과정의 유교대학을 설립하면서 시작되었다. 2019년 광주유학대학으로 이...)
- 2022년 8월 17일 (수) 02:23 (차이 | 역사) . . (+513) . . 새글 기우만 (새 문서: *기우만(奇宇萬,1846~1916)은 한말의 의병장이다.전라남도 장성(長城)에서 대유학자 기정진의 손자로 태어났다. 1895년 을미사변이 일어나자...)
- 2022년 8월 17일 (수) 02:13 (차이 | 역사) . . (-539) . . 광주향교
- 2022년 8월 17일 (수) 02:10 (차이 | 역사) . . (+1,701) . . 광주향교
- 2022년 8월 17일 (수) 02:05 (차이 | 역사) . . (-179) . . 광주비엔날레 (→Spatial Data)
- 2022년 8월 17일 (수) 02:05 (차이 | 역사) . . (+12) . . 광주비엔날레
- 2022년 8월 17일 (수) 01:50 (차이 | 역사) . . (+511) . . 새글 광주비엔날레전시관 (새 문서: *광주비엔날레전시관은 1995년 광주비엔날레의 개최를 위하여 만들어진 건물이다. 중외공원내 남양수영장 부지에 지상 3층 2채,...)
- 2022년 8월 17일 (수) 01:39 (차이 | 역사) . . (+409) . . 새글 무지개다리 (새 문서: *1995년 포스코에서 제1회 비엔날레를 기념하기 위하여 건립, 기증한 조형물. ''경계를 넘어 세계가 하나 되자''는 광주비엔날레의 창설 목...)
- 2022년 8월 17일 (수) 01:20 (차이 | 역사) . . (+731) . . 광주비엔날레
- 2022년 8월 17일 (수) 01:16 (차이 | 역사) . . (+10) . . 광주 충장사 은륜비
- 2022년 8월 17일 (수) 01:16 (차이 | 역사) . . (+281) . . 새글 광주 충장사 은륜비 (새 문서: * 충장사에 있는 김덕령의 비석이다. 원래는 충효동 배재마을에 글씨가 없이 세워져 있었으나 나중에 목사 조철영이...)
- 2022년 8월 17일 (수) 01:10 (차이 | 역사) . . (+142) . . 조철영
- 2022년 8월 17일 (수) 01:04 (차이 | 역사) . . (+361) . . 새글 조철영 (새 문서: * 조철영(趙徹英,1777∼1853년)은 음직(蔭職)으로 광주목사(光州牧使)에 이른 관료이다.부친은 통훈대부(通訓大夫) 조진명(趙鎭明)이다. 아버...)
- 2022년 8월 17일 (수) 00:56 (차이 | 역사) . . (+1) . . 김덕령 의복
- 2022년 8월 17일 (수) 00:56 (차이 | 역사) . . (+59) . . 김덕령 의복
- 2022년 8월 17일 (수) 00:52 (차이 | 역사) . . (+387) . . 새글 김덕령 의복 (새 문서: * 1965년 김덕령 장군의 묘에서 출토된 의복. 여름용 철릭 2점, 겨울용 철릭 2점, 직령포 4점, 저고리 1점과 바지 1점이다. 철릭은 임진왜란...)
- 2022년 8월 17일 (수) 00:38 (차이 | 역사) . . (+1) . . SS-073 정지
- 2022년 8월 17일 (수) 00:37 (차이 | 역사) . . (-138) . . 무등산 주상절리대
- 2022년 8월 17일 (수) 00:35 (차이 | 역사) . . (+37) . . 무등산 광석대
- 2022년 8월 17일 (수) 00:34 (차이 | 역사) . . (+530) . . 새글 무등산 광석대 (새 문서: *광석대는 석석대, 입석대와 함께 무등산을 대표하는 3대 주상절리대로서 해발고도...)
- 2022년 8월 17일 (수) 00:26 (차이 | 역사) . . (+745) . . 새글 규봉암 (새 문서: * 무등산 규봉에 있는 있는 사찰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인 송광사의 말사이다. 창건자에는 여러가지 가지 설...)
- 2022년 8월 17일 (수) 00:13 (차이 | 역사) . . (+573) . . 새글 무등산 지공너덜 (새 문서: *무등산의 규봉은 화산에서 뿜어져 나온 용암이 식어 수축되며 생겨난 주상절리이다. 규봉은 깎아지른 100여개의 돌기둥과 울창한 수림,...)
- 2022년 8월 16일 (화) 23:58 (차이 | 역사) . . (-3) . . 무등산 주상절리대 (→Definition)
- 2022년 8월 16일 (화) 23:54 (차이 | 역사) . . (+676) . . 새글 권율 (새 문서: *권율(權慄,1537~1599) 임진왜란에서 큰 공을 세운 조선 중기의 명장이다. 금산군 이치(梨峙)싸움, 수원 독왕산성 전투, 행주대첩 등에서 승리...)
- 2022년 8월 16일 (화) 23:44 (차이 | 역사) . . (+718) . . 정충신
- 2022년 8월 16일 (화) 23:44 (차이 | 역사) . . (-96) . . 박상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8월 16일 (화) 23:33 (차이 | 역사) . . (+521) . . 새글 광주 경열사 (새 문서: *광주광역시 북구 망월동에 있는 사당. 고려 말의 무신 정지(鄭地, 1347~1391)를 비롯하여 정충신, 유사, 고중영 등 8현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
- 2022년 8월 16일 (화) 23:30 (차이 | 역사) . . (+7) . . 정충신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8월 16일 (화) 23:28 (차이 | 역사) . . (-46) . . 정지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8월 16일 (화) 23:28 (차이 | 역사) . . (-167) . . 정지 (→Spatial Data)
- 2022년 8월 16일 (화) 23:28 (차이 | 역사) . . (+230) . . 정지
- 2022년 8월 16일 (화) 23:23 (차이 | 역사) . . (+7) . . 정지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8월 16일 (화) 23:23 (차이 | 역사) . . (-521) . . 경열사 (문서를 비움) (태그: 비우기)
- 2022년 8월 16일 (화) 23:22 (차이 | 역사) . . (-7) . . 정충신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8월 16일 (화) 23:20 (차이 | 역사) . . (+382) . . 새글 SS-073 정지 (새 문서: *2007년 6월 13일진수한 1천800t급(214급.KSS-II) 잠수함 2번 함이다.214급 2호함인 '정지함'은 동급 1번함인 손원일함보다 더 강력한 무장이 가능...)
- 2022년 8월 16일 (화) 23:15 (차이 | 역사) . . (+59) . . 정지
- 2022년 8월 16일 (화) 23:13 (차이 | 역사) . . (+4) . . 정지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8월 16일 (화) 23:11 (차이 | 역사) . . (-167) . . 정지 (→Spatial Data)
- 2022년 8월 16일 (화) 23:11 (차이 | 역사) . . (+504) . . 새글 정지장군예장석묘 (새 문서: *광주광역시 북구에 있는 고려후기 무신 정지(鄭地, 1347~1391)의 무덤.1975년 광주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석조로 된 묘는 사다리꼴에...)
- 2022년 8월 16일 (화) 23:07 (차이 | 역사) . . (+211) . . 정지
- 2022년 8월 16일 (화) 23:03 (차이 | 역사) . . (+521) . . 새글 경열사 (새 문서: *광주광역시 북구 망월동에 있는 사당. 고려 말의 무신 정지(鄭地, 1347~1391)를 비롯하여 정충신, 유사, 고중영 등 8현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
- 2022년 8월 16일 (화) 22:58 (차이 | 역사) . . (+358) . . 새글 경열로 (새 문서: * 광주광역시 서구 농성동에 있는 서구보건소앞사거리부터 광주광역시 북구 신안동 광주역앞교차로까지 남북으로 이어지는 왕복 6~8차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