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기여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22년 8월 16일 (화) 22:57 (차이 | 역사) . . (+2) . . 정지 (→Definition)
- 2022년 8월 16일 (화) 22:56 (차이 | 역사) . . (0) . . 정지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8월 16일 (화) 22:50 (차이 | 역사) . . (+773) . . 새글 효자 광주 정공엄지려 (새 문서: *정엄(鄭淹, 1528~1580)의 효행을 기려 나라에서 내린 정려이다. 정려각 내에는 비(碑)와 함께 개비라고 불리는 견석...)
- 2022년 8월 16일 (화) 22:34 (차이 | 역사) . . (+565) . . 새글 애니메이션 이야기배달부 동개비 (새 문서: * 양림동 개비에 얽힌 이야기를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이다. 스튜디오 피쉬하이커에서 제작하여 2017년 2월 12일부터 3월 19...)
- 2022년 8월 16일 (화) 22:26 (차이 | 역사) . . (+442) . . 새글 유물 양림동 개비 (새 문서: *정엄(鄭淹, 1528~1580)의 효자정려 앞에 세워진 개 모양의 석조물이다. 정엄의 충견이 숨...)
- 2022년 8월 16일 (화) 22:22 (차이 | 역사) . . (-167) . . 정엄 (→Spatial Data)
- 2022년 8월 16일 (화) 22:22 (차이 | 역사) . . (+310) . . 정엄
- 2022년 8월 16일 (화) 21:56 (차이 | 역사) . . (+14) . . 정엄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8월 16일 (화) 21:50 (차이 | 역사) . . (+784) . . 새글 설화 양림의 개비 (새 문서: *정엄(鄭淹, 1528~1580)의 효자정려 앞에 충견비가 세워져 있는데 이에 관련된 설화가 전해...)
- 2022년 8월 16일 (화) 21:46 (차이 | 역사) . . (+5) . . 정엄 (→Node Description)
- 2022년 8월 16일 (화) 21:41 (차이 | 역사) . . (-167) . . 정엄 (→Spatial Data)
- 2022년 8월 16일 (화) 21:41 (차이 | 역사) . . (+181) . . 정엄
- 2022년 8월 16일 (화) 21:36 (차이 | 역사) . . (-170) . . 박용철 (→Spatial Data)
- 2022년 8월 16일 (화) 21:36 (차이 | 역사) . . (-167) . . 정엄 (→Spatial Data)
- 2022년 8월 16일 (화) 21:35 (차이 | 역사) . . (+172) . . 정엄
- 2022년 8월 16일 (화) 21:14 (차이 | 역사) . . (+910) . . 새글 시 무제 (새 문서: *광주 출신의 시인 박용철(朴龍喆, 1904~1938)이 고향 송정리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한 시이다. 또다른 시 고향이...)
- 2022년 8월 16일 (화) 21:09 (차이 | 역사) . . (+56) . . 시 고향
- 2022년 8월 16일 (화) 21:08 (차이 | 역사) . . (+3) . . 시 고향
- 2022년 8월 16일 (화) 21:01 (차이 | 역사) . . (+537) . . 박용철
- 2022년 8월 16일 (화) 21:00 (차이 | 역사) . . (+64) . . 시 고향
- 2022년 8월 16일 (화) 20:59 (차이 | 역사) . . (+1,013) . . 새글 시 고향 (새 문서: *박용철 고향 송정리를 노래한 시이다. "고향은 찾어 무얼 하리"라는 구절은 역설적으로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강하게 드러내며 그럼에...)
- 2022년 8월 16일 (화) 20:44 (차이 | 역사) . . (+27) . . 떠나가는 배
- 2022년 8월 16일 (화) 20:43 (차이 | 역사) . . (+111) . . 떠나가는 배
- 2022년 8월 16일 (화) 20:42 (차이 | 역사) . . (+101) . . 떠나가는 배
- 2022년 8월 16일 (화) 20:40 (차이 | 역사) . . (-90) . . 떠나가는 배
- 2022년 8월 16일 (화) 20:39 (차이 | 역사) . . (-4) . . 떠나가는 배
- 2022년 8월 16일 (화) 20:39 (차이 | 역사) . . (-17) . . 떠나가는 배
- 2022년 8월 16일 (화) 20:38 (차이 | 역사) . . (+966) . . 새글 떠나가는 배 (새 문서: *박용철(朴龍喆)의 대표작. 1930년 자비로 창간한 잡지 『시문학(詩文學)』 에 다른 작품들과 함께 발표되었다. 작자가 김영랑(金...)
- 2022년 8월 16일 (화) 20:31 (차이 | 역사) . . (+541) . . 박용철 (→Semantic Data)
- 2022년 8월 16일 (화) 20:15 (차이 | 역사) . . (-352) . . 박용철 (→Node Description)
- 2022년 8월 16일 (화) 17:29 (차이 | 역사) . . (+38) . . 설화 박눌재와 고양이
- 2022년 8월 16일 (화) 17:29 (차이 | 역사) . . (+968) . . 새글 설화 박눌재와 고양이 (새 문서: *눌재 박상(朴祥, 1474~1530)의 목숨을 구한 고양이 얽힌 설화. 설화의 기초가 되는 실제 사건은 1506년 전라도 도사(都事)로 있을 때, 부녀자...)
- 2022년 8월 16일 (화) 17:04 (차이 | 역사) . . (+608) . . 새글 송호영당 (새 문서: 조선 중기의 문신인 박상(朴祥, 1474~1530)과 박순(朴淳, 1523~1589)을 추모하는 사당이다. 1728년에 건립하였다. 원래 박상의 출생지인 서창동 절...)
- 2022년 8월 16일 (화) 16:58 (차이 | 역사) . . (+41) . . 눌재집목판각
- 2022년 8월 16일 (화) 16:58 (차이 | 역사) . . (+679) . . 새글 눌재집목판각 (새 문서: *박상(朴祥,1474∼1530)의 시문집인 눌재집을 인쇄하기 위한 판각이다. 목판각은 원집 7권, 속집 5권으로 총 12권으로 되어 있다....)
- 2022년 8월 16일 (화) 16:50 (차이 | 역사) . . (+693) . . 새글 눌재집 (새 문서: *조선 전기의 문신이며 학자였던 박상(朴祥)의 시문집이다. 1694년 전라도관찰사 최규서(崔奎瑞)가 간행하였다. 시는 근체의 칠언절구...)
- 2022년 8월 16일 (화) 16:38 (차이 | 역사) . . (+3) . . 춘산곡
- 2022년 8월 16일 (화) 16:37 (차이 | 역사) . . (+8) . . 춘산곡
- 2022년 8월 16일 (화) 16:37 (차이 | 역사) . . (+4) . . 춘산곡
- 2022년 8월 16일 (화) 16:36 (차이 | 역사) . . (+1) . . 춘산곡
- 2022년 8월 16일 (화) 16:36 (차이 | 역사) . . (+281) . . 새글 춘산곡 (새 문서: *김덕령이 죽기 직전에 지었다는 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춘산(春山)에 불이 나니 못다 핀 꽃 다 붓난다 저 뫼 저 불은 끌 물이나 있거니...)
- 2022년 8월 16일 (화) 16:31 (차이 | 역사) . . (+696) . . 새글 말바위 전설 (새 문서: *김덕령의 말과 말바위에 관한 전설. 김덕령이 말을 화살보다 빠르게 달리게 하려고 훈련시키고 5년째가 되던 해에 드디어 화살...) (최신)
- 2022년 8월 16일 (화) 16:31 (차이 | 역사) . . (-27) . . 김덕령 (→Contextual Relations)
- 2022년 8월 16일 (화) 16:20 (차이 | 역사) . . (-696) . . 설화 말바위 (문서를 비움) (최신) (태그: 비우기)
- 2022년 8월 16일 (화) 16:18 (차이 | 역사) . . (+639) . . 새글 문바위 전설 (새 문서: *김덕령과 말, 무등산 규봉의 문바위에 얽혀 있는 전설. 김덕령장군이 문바위에서 화순 동면 청궁마을 살바위까...)
- 2022년 8월 16일 (화) 16:18 (차이 | 역사) . . (-638) . . 설화 문바위 (문서를 비움) (최신) (태그: 비우기)
- 2022년 8월 16일 (화) 16:17 (차이 | 역사) . . (0) . . 설화 문바위
- 2022년 8월 16일 (화) 16:15 (차이 | 역사) . . (+369) . . 새글 문바위 (새 문서: * 무등산 규봉에는 두 바위사이로 길이 나 있는데 사람들이 드나들 수 있어 문바위라 한다. 문바위라는 명칭은 그저 이 형...)
- 2022년 8월 16일 (화) 16:09 (차이 | 역사) . . (+638) . . 새글 설화 문바위 (새 문서: *김덕령과 말,무등산 규봉의 문바위에 얽혀 있는 전설. 김덕령장군이 문바위에서 화순 동면 청궁마을 살바위까지...)
- 2022년 8월 16일 (화) 15:52 (차이 | 역사) . . (+1) . . 설화 말바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