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인후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Simjaesik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9월 1일 (목) 20:10 판 (새 문서: *김인후(金麟厚, 1510년 1560년)의 본관은 울산이며, 호는 하서, 담재이다. 전남 장성 출신이다. 시호는 문정(文正)이며, 1796년 해동 18현의 한...)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 김인후(金麟厚, 1510년 1560년)의 본관은 울산이며, 호는 하서, 담재이다. 전남 장성 출신이다. 시호는 문정(文正)이며, 1796년 해동 18현의 한 사람으로 문묘에 종사됐다.
  • 김안국과 송순에게 배웠으며, 1531년 과거에 급제해 관직에 나서 홍문관 부제학, 옥과현감, 제술관 등을 지냈으나 을사사화가 발생하자 병을 이유로 사직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학문연구에 힘썼으며, 이후로는 벼슬길에 나서지 않았다. 제자로는 정철, 변성온, 기효관, 조효문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하서집』, 『주역관상편』, 『사명사천』 등이 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장성 필암서원은 김인후를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