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1번째 줄: | 1번째 줄: | ||
__NOTOC__ | __NOTOC__ | ||
− | == | + | <!-- ETB_KEY_SEPARATOR --> |
+ | <div class="hide-txt">기대승</div> | ||
+ | {{기본정보테이블 | ||
+ | |이름=기대승 | ||
+ | |한자명=奇大升 | ||
+ | |영문명= | ||
+ | |이칭=고봉 | ||
+ | |생몰년도=1527년~1572년 | ||
+ | |성별=남성 | ||
+ | |국적= | ||
+ | |출생지=광주 | ||
+ | |위도(latitude)= | ||
+ | |경도(longitude)= | ||
+ | |InfoURL=https://public.aks.ac.kr/~gwangju/wiki/index.php/기대승 | ||
+ | |iconURL=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4/기대승.jpg | ||
+ | }} | ||
− | *[[고봉 | + | == 정의 및 개요 == |
− | + | *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 1527~1572)은 16세기 조선을 대표하는 성리학자이다. | |
− | |||
− | |||
− | |||
− | == | + | == 인간관계 == |
− | + | * 본관은 행주, 자는 명언(明彦), 호는 고봉(高峯)·존재(存齋)이다. | |
− | + | * 아버지는 물재 [[기진]](奇進)이고, 어머니는 [[강영수(姜永壽)의 딸]]이며, 1527년 광주 소고룡리(召古龍里) 송현동(松峴洞)[현재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룡동]]]에서 5남 1녀 가운데 차남으로 태어났다.<ref> 서구문화원, "고봉 기대승",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ref> | |
− | + | * [[고봉]] [[기대승]]은 퇴계 [[이황]]과 26세의 나이 차이에도 13년간 120여 통의 편지를 주고받으며 교유했다. 그중 8년은 사단칠정에 관한 학문적 논쟁을 펼쳤는데, 인간의 도덕적인 본성과 실질적인 감정 중 어떤 것이 우선인지를 두고 벌인 사단칠정 논쟁은 조선유학사상 깊은 영향을 끼쳤다. | |
− | + | ||
− | | | + | |
− | |} | + | == 주요 활동/업적/저서/작품 등 == |
+ | |||
+ | * 저서로는 『[[논사록]]』, 『주자문록』, 시문집인 『[[고봉집]]』 등이 있다. | ||
+ | * 그는 스물여덟에 『주자대전』 100여 권을 탐독한 후 네 권의 『주자문록』을 남겼으며, 경연에서 선조에게 계주(啓奏)한 내용을 모은 『[[논사록]]』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 ||
+ | |||
+ | |||
+ | == 지역/사건/단체 내 역할 또는 영향력 == | ||
+ | |||
+ | * [[월봉서원]]은 [[기대승]] 사후 그를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이다. | ||
+ | * [[월봉서원]] 주변에는 그가 수양하며 공부했던 공간인 귀전암이 있고, 고봉생가 터, 귀전암 터 등 4.6km의 숲길을 연결한 [[철학자의 길]]이 있다. | ||
+ | * [[월봉서원]]엔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고봉 선생의 문집과 저서의 내용이 수록된 [[고봉문집목판]](高峰文集木板)이 있다. | ||
+ | |||
+ | == 관련 항목 == | ||
+ | {{관련항목태그 | ||
+ | | 고봉 | ||
+ | | 기진 | ||
+ | | 강영수(姜永壽)의 딸 | ||
+ | | 신룡동 | ||
+ | | 이황 | ||
+ | | 논사록 | ||
+ | | 고봉집 | ||
+ | }} | ||
+ | |||
+ | == 의미관계망 == | ||
+ | {{SemanticGraph | key=기대승}} | ||
− | == | + | == 이미지 == |
+ | {{이미지스와이퍼 | ||
+ |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7/7d/월봉서원1.jpg | ||
+ |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8/89/월봉서원2.jpg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 | + | == 참고자료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 | | | + | ! style="width:15%" | Type || style="width:20%" | Resource || style="width:35%" | Title/Index || style="width:30%" | UR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웹리소스 || 위키백과 || 기대승 || https://ko.wikipedia.org/wiki/기대승 |
|- | |- | ||
− | | | + | | 웹리소스 || 다음백과 || 기대승 || https://100.daum.net/encyclopedia;jsessionid=C46872B909F656033836ABB527A1773F/view/b03g0797b |
|- | |- | ||
− | | | + | | 웹리소스 || 이야기가 살아숨쉬는 월봉서원 || 호남정신문화의 산실 '월봉서원' || http://www.wolbong.org/?sid=66 |
|- | |- | ||
− | | | + | | 웹리소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 고봉 기대승 || http://www.gjsgcc.or.kr/ko/35/view?SEQ=2956 |
|- | |- | ||
− | | | + | | 웹리소스 || 광산구청 홈페이지 || 월봉서원 || https://www.gwangsan.go.kr/co/contentsView.php?pageID=culture0201030000 |
|- | |- | ||
− | | | + | | 웹리소스 || 광주일보, 김경호 || 고봉과 퇴계의 만남과 이별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662487200743124341 |
|- | |- | ||
− | | | + | | 이미지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 주차장에서 바라본 월봉서원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7/7d/월봉서원1.jpg |
|- | |- | ||
− | | | + | | 이미지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 산책로에서 바라본 월봉서원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8/89/월봉서원2.jpg |
− | |||
− | |||
− | |||
|- | |- | ||
− | |[ | + | | 이미지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 기대승 묘소 || |
|- | |- | ||
− | | | + | | 간행물 || 단행본 || 문문 고봉연구회, 『고봉 기대승의 문학세계와 문화유산』, 소와당, 2013. ||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67220112 |
|- | |- | ||
− | | | + | | 간행물 || 단행본 || 김영두 , 김용헌 외, 『정치가 고봉 기대승, 큰 꿈 그리고 좌절(문문학술총서 3)』, 경인문화사, 2016. ||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49942179 |
|- | |- | ||
− | | | + | | 간행물 || 단행본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광주역사문화자원100 下 제5장 월봉서원 퇴계와 철학을 논하다』,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2016. || http://newrcef.cafe24.com/upload/pdf/resources100_2.pdf |
|- | |- | ||
− | | | + | | 간행물 || 단행본 || 기대승(엮은이), 김근호, 김태년, 남지만, 전병욱, 홍성민(옮긴이), 『국역 주자문록』, 예문서원, 2019. ||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76464026 |
|- | |- | ||
− | | | + | | 간행물 || 논문 || 김병국, 「고봉 기대승의 문학 연구」, 『泮橋語文硏究』, 반교어문학회, 2011. || http://www.riss.kr/link?id=A82758810 |
|- | |- | ||
− | | | + | | 간행물 || 논문 || 김기주, 「사단칠정논쟁, 퇴계와 고봉의 학술적 교류와 도덕적 탐색」, 『국학연구』, 한국국학진흥원, 2016. || http://www.riss.kr/link?id=A10187456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간행물 || 논문 || 이현준, 「기대승의 四端七情說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석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 http://www.riss.kr/link?id=T10358462 | ||
|} | |} | ||
− | == | + | == 주석 == |
+ | |||
+ | <references/> | ||
+ | |||
− | {|class="wikitable" style=" | + | == Contextual Relations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 | ! style="width:15%" | Source || style="width:15%" | Target || style="width:20%" | Relation || style="width:25%" | Attribute || style="width:25%" | Remark(Note) | ||
|- | |- | ||
− | | | + | | [[기대승]] || [[고봉]] || || || 호 |
|- | |- | ||
− | | | + | | [[기대승]] || [[기진]] || || || 자-부 |
|- | |- | ||
− | | | + | | [[기대승]] || [[기진의 처 진주 강씨]] || || || 자-모 |
|- | |- | ||
− | | | + | | [[기대승]] || [[월봉서원]] || || ||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 |
|- | |- | ||
− | | | + | | [[기대승]] || [[이황]] || || || 편지로 학문을 논함 |
|- | |- | ||
− | | | + | | [[이황]] || [[사단칠정논쟁]] || || || 학문적 논쟁 |
|- | |- | ||
− | | | + | | [[기대승]] || [[고봉집]] || || || 저서(시문집) |
|- | |- | ||
− | | | + | | [[기대승]] || [[주자문록]] || || || 저서(주자대전 요약본) |
|- | |- | ||
− | | | + | | [[기대승]] || [[논사록]] || || || 저서(왕에게 아뢴 마을 모음) |
|- | |- | ||
− | | | + | | [[기대승]] || [[귀전암]] || || || 수양, 공부의 공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월봉서원]] || [[고봉문집목판]] || || || 소장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월봉서원]] || [[철학자의 길]] || || || 서원 둘레길 | ||
|} | |} | ||
− | + | [[분류:핵심항목]] [[분류:Actor]] [[분류:Actor/2022]] [[분류:Person]] [[분류:Person/2022]] [[분류:박종평]] [[분류:김서윤]] | |
− | |||
− | |||
− | |||
− | |||
− | |||
− | |||
− | |||
− | [[분류: |
2025년 8월 20일 (수) 10:52 기준 최신판
기본 정보
이름 | 기대승 |
---|---|
한자명 | 奇大升 |
이칭 | 고봉 |
생몰년도 | 1527년~1572년 |
성별 | 남성 |
출생지 | 광주 |
정의 및 개요
인간관계
- 본관은 행주, 자는 명언(明彦), 호는 고봉(高峯)·존재(存齋)이다.
- 아버지는 물재 기진(奇進)이고, 어머니는 강영수(姜永壽)의 딸이며, 1527년 광주 소고룡리(召古龍里) 송현동(松峴洞)[현재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룡동]에서 5남 1녀 가운데 차남으로 태어났다.[1]
- 고봉 기대승은 퇴계 이황과 26세의 나이 차이에도 13년간 120여 통의 편지를 주고받으며 교유했다. 그중 8년은 사단칠정에 관한 학문적 논쟁을 펼쳤는데, 인간의 도덕적인 본성과 실질적인 감정 중 어떤 것이 우선인지를 두고 벌인 사단칠정 논쟁은 조선유학사상 깊은 영향을 끼쳤다.
주요 활동/업적/저서/작품 등
- 저서로는 『논사록』, 『주자문록』, 시문집인 『고봉집』 등이 있다.
- 그는 스물여덟에 『주자대전』 100여 권을 탐독한 후 네 권의 『주자문록』을 남겼으며, 경연에서 선조에게 계주(啓奏)한 내용을 모은 『논사록』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지역/사건/단체 내 역할 또는 영향력
- 월봉서원은 기대승 사후 그를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이다.
- 월봉서원 주변에는 그가 수양하며 공부했던 공간인 귀전암이 있고, 고봉생가 터, 귀전암 터 등 4.6km의 숲길을 연결한 철학자의 길이 있다.
- 월봉서원엔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고봉 선생의 문집과 저서의 내용이 수록된 고봉문집목판(高峰文集木板)이 있다.
관련 항목
의미관계망
이미지
참고자료
주석
- ↑ 서구문화원, "고봉 기대승",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Remark(Note) |
---|---|---|---|---|
기대승 | 고봉 | 호 | ||
기대승 | 기진 | 자-부 | ||
기대승 | 기진의 처 진주 강씨 | 자-모 | ||
기대승 | 월봉서원 |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 | ||
기대승 | 이황 | 편지로 학문을 논함 | ||
이황 | 사단칠정논쟁 | 학문적 논쟁 | ||
기대승 | 고봉집 | 저서(시문집) | ||
기대승 | 주자문록 | 저서(주자대전 요약본) | ||
기대승 | 논사록 | 저서(왕에게 아뢴 마을 모음) | ||
기대승 | 귀전암 | 수양, 공부의 공간 | ||
월봉서원 | 고봉문집목판 | 소장처 | ||
월봉서원 | 철학자의 길 | 서원 둘레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