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봉서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1번째 줄: | 1번째 줄: | ||
__NOTOC__ | __NOTOC__ | ||
− | == | + | <!-- ETB_KEY_SEPARATOR --> |
+ | <div class="hide-txt">월봉서원</div> | ||
+ | {{기본정보테이블 | ||
+ | |이름=월봉서원 | ||
+ | |한자명=月峯書院 | ||
+ | |영문명= | ||
+ | |이칭= | ||
+ | |종류=서원 | ||
+ | |종교=유교 | ||
+ | |건립연도=1578년 | ||
+ | |소재지=대한민국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곡길 133 | ||
+ | |위도(latitude)=35.2358604 | ||
+ | |경도(longitude)=126.7451916 | ||
+ | |국가유산 지정/등록= | ||
+ | |InfoURL=https://public.aks.ac.kr/~gwangju/wiki/index.php/월봉서원 | ||
+ | |iconURL=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4/월봉서원.jpg | ||
+ | }} | ||
− | *[[월봉서원 | + | == 정의 및 개요 == |
+ | *[[월봉서원]](月峯書院)은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있는 조선 전기 고봉 [[기대승]](奇大升, 1527~1572)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된 서원이다. | ||
+ | |||
+ | |||
+ | == 건립 배경 == | ||
+ | |||
+ | * 1578년(선조 11)에 [[김계휘]](金繼輝)를 중심으로 한 지방 유림의 공의로 [[기대승]]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광주 광산군 비아면 산월리에 망천사(望川祠)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 ||
+ | * 1646년(인조 24)에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고, 1654년(효종 5)에 ‘월봉(月峯)’이라고 사액되었다.<ref>박래호"[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0987 월봉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1868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문을 닫았으나, 1941년 현재의 위치에 [[빙월당]]을 새로 짓고, 이후 사당과 [[장판각]], 내삼문, 외삼문을 건립하여 1991년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 *1868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문을 닫았으나, 1941년 현재의 위치에 [[빙월당]]을 새로 짓고, 이후 사당과 [[장판각]], 내삼문, 외삼문을 건립하여 1991년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 ||
+ | |||
+ | |||
+ | == 관련 행사 및 사건 == | ||
+ | |||
*현재 고봉 선생을 기리고 추모하기 위해 매년 3월과 9월에 춘‧추향 제사를 [[숭덕사]]에서 지내고 있고, 시민들의 참여를 위해 다양한 교육문화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현재 고봉 선생을 기리고 추모하기 위해 매년 3월과 9월에 춘‧추향 제사를 [[숭덕사]]에서 지내고 있고, 시민들의 참여를 위해 다양한 교육문화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
− | * | + | *[[월봉서원]]에는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고봉 선생의 문집과 저서의 내용이 수록된 [[고봉문집목판]](高峰文集木板)이 있으며, 경내 건축물로 [[빙월당]](氷月堂), [[숭덕사]](崇德詞), 동재:명성재(明誠齋), 서재:존성재(存省齋), [[장판각]](藏板閣), 묘정비(廟庭碑), 정안문(靜安門) 등이 있다. |
+ | |||
+ | == 관련 항목 == | ||
+ | {{관련항목태그 | ||
+ | | 김계휘 | ||
+ | | 광주광역시 광산구 | ||
+ | | 기대승 | ||
+ | | 빙월당 | ||
+ | | 장판각 | ||
+ | | 숭덕사 | ||
+ | | 고봉문집목판 | ||
+ | }} | ||
− | == | + | == 의미관계망 == |
+ | {{SemanticGraph | key=월봉서원}} | ||
− | == | + | == 이미지 == |
+ | {{이미지스와이퍼 | ||
+ |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8/84/월봉서원_가는_길.jpg | ||
+ |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7/7d/월봉서원1.jpg | ||
+ |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8/89/월봉서원2.jpg | ||
+ |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c/c5/월봉서원-전경-대동문화재단_보유사진.jpg | ||
+ | }} | ||
− | + | == 동영상 == | |
− | + | {{동영상스와이퍼 | |
− | + | | https://www.youtube.com/watch?v-DUuOXKQ1E54 | |
− | | | + | | https://www.youtube.com/embed/0hfy1eTg-dk |
− | + | }} | |
− | |||
− | === | + | == 지도 == |
+ | {{구글지도 | 위도=35.2358604| 경도=126.7451916| 줌=16 }} | ||
− | {|class="wikitable" style=" | + | == 참고자료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 | + | ! style="width:15%" | Type || style="width:20%" | Resource || style="width:35%" | Title/Index || style="width:30%" | UR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웹리소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월봉서원[月峯書院]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0987 |
|- | |- | ||
− | | | + | | 웹리소스 || 이야기가 살아숨쉬는 월봉서원 || 호남정신문화의 산실 '월봉서원' || http://www.wolbong.org/?sid=66 |
|- | |- | ||
− | | | + | | 웹리소스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빙월당(氷月堂)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2332400090000 |
|- | |- | ||
− | | | + | | 웹리소스 || 광산구청 홈페이지 || 월봉서원 || https://www.gwangsan.go.kr/co/contentsView.php?pageID=culture0201030000 |
|- | |- | ||
− | |[ | + | | 이미지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 월봉서원 가는 길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8/84/월봉서원_가는_길.jpg |
|- | |- | ||
− | |[ | + | | 이미지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 월봉서원1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7/7d/월봉서원1.jpg |
|- | |- | ||
− | |[ | + | | 이미지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 월봉서원2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8/89/월봉서원2.jpg |
|- | |- | ||
− | |[ | + | | 이미지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광주인문스토리플랫폼사업단] || 월봉서원 전경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c/c5/월봉서원-전경-대동문화재단_보유사진.jpg |
|- | |- | ||
− | | | + | | 동영상 || 두피디아 || 빙월당 || https://www.doopedia.co.kr/photobox/comm/community.do?_method=view&GAL_IDX=200401001228634 |
|- | |- | ||
− | |[ | + | | 동영상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 월봉서원 돌아보기 || https://www.youtube.com/watch?v=DUuOXKQ1E54 |
|- | |- | ||
− | |[ | + | | 동영상 || [https://www.youtube.com/channel/UCU_UTpm5bYFNVabDs2HVCBA 흥미로운가] || 월봉서원 || https://www.youtube.com/embed/0hfy1eTg-dk |
|- | |- | ||
− | | | + | | 간행물 || 단행본 || 문문 고봉연구회, 『고봉 기대승의 문학세계와 문화유산』, 소와당, 2013. ||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67220112 |
|- | |- | ||
− | | | + | | 간행물 || 단행본 || 김영두 , 김용헌 외, 『정치가 고봉 기대승, 큰 꿈 그리고 좌절(문문학술총서 3)』, 경인문화사. ||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49942179 |
|- | |- | ||
− | | | + | | 간행물 || 단행본 || 이호일, 『조선의 서원』, 가람기획, 2006. || http://www.riss.kr/link?id=M10494309 |
|- | |- | ||
+ | | 간행물 || 논문 || 백옥연, 「지역 인문문화자원으로서 서원의 활용에 관한 연구 - 광주 월봉서원을 중심으로」, 『학위논문(석사)-전남대학교』, 전남대학교, 2022. || http://www.riss.kr/link?id=T16153957 | ||
|} | |} | ||
− | == | + | == 주석 == |
− | + | <references/>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ntextual Relations == |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
− | {|class="wikitable" style=" | + | ! style="width:15%" | Source || style="width:15%" | Target || style="width:20%" | Relation || style="width:25%" | Attribute || style="width:25%" | Remark(Not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월봉서원]] || [[기대승]] || || || ~에서 ~를 배향하다. |
|- | |- | ||
− | | | + | | [[월봉서원]] || [[박순]] || || || ~에서 ~를 배향하다. |
|- | |- | ||
− | | | + | | [[월봉서원]] || [[박상]] || || || ~에서 ~를 배향하다. |
|- | |- | ||
− | | | + | | [[월봉서원]] || [[김장생]] || || || ~에서 ~를 배향하다. |
|- | |- | ||
− | | | + | | [[월봉서원]] || [[김집]] || || || ~에서 ~를 배향하다. |
|- | |- | ||
− | | | + | | [[월봉서원]] || [[빙월당]] || || || 부속건물(강당) |
|- | |- | ||
− | | | + | | [[월봉서원]] || [[장판각]] || || || 부속건물(자료 보관) |
|- | |- | ||
− | | | + | | [[월봉서원]] || [[숭덕사]] || || || 부속건물(사당) |
|- | |- | ||
− | | | + | | [[기대승]] || [[고봉]] || || || 호 |
|- | |- | ||
− | | | + | | [[기대승]] || [[기진]] || || || 자-부 |
|- | |- | ||
− | | | + | | [[기대승]] || [[기진의 처 진주 강씨]] || || || 자-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대승]] || [[이황]] || || || 편지로 학문을 논함 |
|- | |- | ||
− | | | + | | [[기대승]] || [[고봉집]] || || || 저서 |
|- | |- | ||
− | | | + | | [[월봉서원]] || [[고봉문집목판]] || || || 소장처 |
|- | |- | ||
− | | | + | | [[월봉서원]] || [[너브실]] || || || ~은 ~마을에 위치해 있다. |
|- | |- | ||
+ | | [[고봉학술원]] || [[너브실]] || || || ~은 ~에 위치한다. | ||
|} | |} | ||
− | + | [[분류:핵심항목]] [[분류:Place]] [[분류:Place/2022]] [[분류:ReligiousFacility]] [[분류:ReligiousFacility/2022]] [[분류:박종평]] [[분류:김서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분류: |
2025년 8월 20일 (수) 10:48 기준 최신판
기본 정보
이름 | 월봉서원 |
---|---|
한자명 | 月峯書院 |
종교 | 유교 |
종류 | 서원 |
건립연도 | 1578년 |
소재지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곡길 133 |
정의 및 개요
건립 배경
- 1578년(선조 11)에 김계휘(金繼輝)를 중심으로 한 지방 유림의 공의로 기대승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광주 광산군 비아면 산월리에 망천사(望川祠)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 1646년(인조 24)에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고, 1654년(효종 5)에 ‘월봉(月峯)’이라고 사액되었다.[1]
- 1868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문을 닫았으나, 1941년 현재의 위치에 빙월당을 새로 짓고, 이후 사당과 장판각, 내삼문, 외삼문을 건립하여 1991년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관련 행사 및 사건
- 현재 고봉 선생을 기리고 추모하기 위해 매년 3월과 9월에 춘‧추향 제사를 숭덕사에서 지내고 있고, 시민들의 참여를 위해 다양한 교육문화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월봉서원에는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고봉 선생의 문집과 저서의 내용이 수록된 고봉문집목판(高峰文集木板)이 있으며, 경내 건축물로 빙월당(氷月堂), 숭덕사(崇德詞), 동재:명성재(明誠齋), 서재:존성재(存省齋), 장판각(藏板閣), 묘정비(廟庭碑), 정안문(靜安門) 등이 있다.
관련 항목
의미관계망
이미지
동영상
지도
참고자료
주석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Remark(Note) |
---|---|---|---|---|
월봉서원 | 기대승 | ~에서 ~를 배향하다. | ||
월봉서원 | 박순 | ~에서 ~를 배향하다. | ||
월봉서원 | 박상 | ~에서 ~를 배향하다. | ||
월봉서원 | 김장생 | ~에서 ~를 배향하다. | ||
월봉서원 | 김집 | ~에서 ~를 배향하다. | ||
월봉서원 | 빙월당 | 부속건물(강당) | ||
월봉서원 | 장판각 | 부속건물(자료 보관) | ||
월봉서원 | 숭덕사 | 부속건물(사당) | ||
기대승 | 고봉 | 호 | ||
기대승 | 기진 | 자-부 | ||
기대승 | 기진의 처 진주 강씨 | 자-모 | ||
기대승 | 이황 | 편지로 학문을 논함 | ||
기대승 | 고봉집 | 저서 | ||
월봉서원 | 고봉문집목판 | 소장처 | ||
월봉서원 | 너브실 | ~은 ~마을에 위치해 있다. | ||
고봉학술원 | 너브실 | ~은 ~에 위치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