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Definition== *는 십자화과에 속하는 초본식물로 지역에 따라서는 무수·무시라고도 부르며, 한자어로는 나복(蘿蔔)이라고 한다. <ref>...)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무]]는 십자화과에 속하는 초본식물로 지역에 따라서는 무수·무시라고도 부르며, 한자어로는 나복(蘿蔔)이라고 한다. <ref>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무&ridx=0&tot=70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무]]는 배추와 함께 대표적인 김장 채소다. 깍두기·무말랭이·단무지뿐만 아니라 조림, 탕, 찌개 등 다양한 요리의 재료로 이용된다.
 
*[[무]]는 배추와 함께 대표적인 김장 채소다. 깍두기·무말랭이·단무지뿐만 아니라 조림, 탕, 찌개 등 다양한 요리의 재료로 이용된다.
 
*[[무]]에는 비타민 C의 함량이 많아 예로부터 겨울철 비타민 공급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무]]에는 비타민 C의 함량이 많아 예로부터 겨울철 비타민 공급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10번째 줄: 9번째 줄:
 
<references/>
 
<references/>
  
[[분류:Actor]] [[분류:박종평]]
+
[[분류:문맥항목]] [[분류:박종평]]

2022년 8월 5일 (금) 20:37 판

Definition

  • 는 배추와 함께 대표적인 김장 채소다. 깍두기·무말랭이·단무지뿐만 아니라 조림, 탕, 찌개 등 다양한 요리의 재료로 이용된다.
  • 에는 비타민 C의 함량이 많아 예로부터 겨울철 비타민 공급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