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석과 성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새 문서: ==Definition== *취석과 성석은 만귀정에서 습향각으로 가는 길 축대 밑에 네모 반듯한 직사각형의 돌로 마치 제단처럼 놓여 있다. 돌 앞면...) |
(→Definition)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취석과 성석]]은 | + | *[[취석과 성석]]은 [[만귀정]]에서 [[습향각]]으로 가는 길 축대 밑에 네모 반듯한 직사각형의 돌로 마치 제단처럼 놓여 있다. 돌 앞면에는 취석(醉石), 반대편에는 성석(醒石)이라 새겨져 있다. 뜻을 헤아려 보자면 다리를 건너갈 때는 꽃 향기에 취해 '신선의 세계'로 가고 나올 때는 향기에서 깨어나 '현실의 세계'로 돌아오라는 의미라고 한다. |
[[분류:Actor]] [[분류:박종평]] | [[분류:Actor]] [[분류:박종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