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마항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새 문서: *부마항쟁(釜馬抗爭)은 1979년 10월 16일부터 10월 20일까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마산시에서 유신체제에 대항한 시위. *부마민주항쟁,...) |
잔글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10월 16일에 [[부산대학교]] 학생들이 "유신철폐"의 구호와 함께 시위를 시작하였다. 다음날인 17일부터 시민 계층으로 확산된 것을 시작으로 해서, 18일과 19일에는 마산 지역으로 시위가 확산되었다. | *10월 16일에 [[부산대학교]] 학생들이 "유신철폐"의 구호와 함께 시위를 시작하였다. 다음날인 17일부터 시민 계층으로 확산된 것을 시작으로 해서, 18일과 19일에는 마산 지역으로 시위가 확산되었다. | ||
*당시 박정희 유신정권은 10월 18일 오전 12시를 기해 부산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66명을 군사 재판에 회부하였다. 10월 20일 오전 12시 정오 마산 및 창원 일원에 위수령을 선포하고 군을 출동시킨 후 민간인 59명을 군사재판에 회부하였다. | *당시 박정희 유신정권은 10월 18일 오전 12시를 기해 부산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66명을 군사 재판에 회부하였다. 10월 20일 오전 12시 정오 마산 및 창원 일원에 위수령을 선포하고 군을 출동시킨 후 민간인 59명을 군사재판에 회부하였다. | ||
− | *[[부마항쟁]]은 긴급조치로 유지되던 유신체제를 위기에 몰아넣었다. [[ | + | *[[부마항쟁]]은 긴급조치로 유지되던 유신체제를 위기에 몰아넣었다. [[5.18민주화운동]], [[6.10민주항쟁]]에도 영향을 주었다. |
*[[광주트라우마센터]]는 [[부마항쟁]] 피해자와 그 가족들을 치유하였다. | *[[광주트라우마센터]]는 [[부마항쟁]] 피해자와 그 가족들을 치유하였다. | ||
*참조: https://ko.wikipedia.org/wiki/부마_민주_항쟁 | *참조: https://ko.wikipedia.org/wiki/부마_민주_항쟁 | ||
---- | ---- | ||
[[분류:문맥항목/2023]] [[분류:박상수]] [[분류:철학/2023]] | [[분류:문맥항목/2023]] [[분류:박상수]] [[분류:철학/2023]] |
2024년 2월 19일 (월) 10:43 판
- 부마항쟁(釜馬抗爭)은 1979년 10월 16일부터 10월 20일까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마산시에서 유신체제에 대항한 시위.
- 부마민주항쟁, 부마민주화운동, 부마사태라고도 한다.
- 10월 16일에 부산대학교 학생들이 "유신철폐"의 구호와 함께 시위를 시작하였다. 다음날인 17일부터 시민 계층으로 확산된 것을 시작으로 해서, 18일과 19일에는 마산 지역으로 시위가 확산되었다.
- 당시 박정희 유신정권은 10월 18일 오전 12시를 기해 부산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66명을 군사 재판에 회부하였다. 10월 20일 오전 12시 정오 마산 및 창원 일원에 위수령을 선포하고 군을 출동시킨 후 민간인 59명을 군사재판에 회부하였다.
- 부마항쟁은 긴급조치로 유지되던 유신체제를 위기에 몰아넣었다. 5.18민주화운동, 6.10민주항쟁에도 영향을 주었다.
- 광주트라우마센터는 부마항쟁 피해자와 그 가족들을 치유하였다.
- 참조: https://ko.wikipedia.org/wiki/부마_민주_항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