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수비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잔글 (→Definition) |
잔글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Definition == | == Definition == | ||
− | * [[광주수비대]](光州守備隊): 거류민 보호와 의병 진압의 명목으로 1906년 6월, 광주에 배치된 일본군 부대 | + | * [[광주수비대]](光州守備隊): 거류민 보호와 의병 진압의 명목으로 1906년 6월, 광주에 배치된 일본군 부대. |
− | * 1907년 일본군 보병 21사단 제14연대가 대한제국에 파견되었는데, 충청도 및 전라도에는 제2대대가 배치되었으며 | + | * 1907년 일본군 보병 21사단 제14연대가 대한제국에 파견되었는데, 충청도 및 전라도에는 제2대대가 배치되었으며 [[광주수비대]]는 2대대 소속이였다. |
− | * | + | * [[광주수비대]]는 1개 중대 규모의 육군 병력으로 [[광주_사직단|광주 사직단]] 인근에 주둔하였다. 이들은 일본 경찰, 헌병대와 함께 의병부대의 진압에 나섰으며, 이들에 의해 수많은 의병들이 체포되었다. |
− | * 김원범(金元範)[1886~1909]은 광주군 당부면 북촌리(현, 광주광역시 서구 금호동) 출신으로, 1908년 1월 창평현 무동촌(茂洞村) 전투에서 일본군 광주수비대장 요시다카 츠사부로[吉田勝三郞] 소좌를 사살하였다. <ref>[http://aks.ai/GC60002097 한국학중앙연구원, 김원범, 디지털광주문화대전]</ref> | + | * [[김원범]](金元範)[1886~1909]은 광주군 당부면 북촌리(현, 광주광역시 서구 금호동) 출신으로, 1908년 1월 창평현 무동촌(茂洞村) 전투에서 일본군 광주수비대장 요시다카 츠사부로[吉田勝三郞] 소좌를 사살하였다. <ref>[http://aks.ai/GC60002097 한국학중앙연구원, 김원범, 디지털광주문화대전]</ref> |
− | * 1917년부터 지금의 | + | * 1917년부터 지금의 [[금남로]]1가 일대에 주둔하던 일본군 [[광주수비대]]가 철수하기 시작하는데, 남겨진 병영과 시설에 일본군 헌병대가 주둔하며 헌병, 경찰로 전라남도의 치안을 담당하게 되었다. <ref>[http://aks.ai/GC60001108 한국학중앙연구원, 광주헌병대본부 터, 디지털광주문화대전]</ref> |
* 참조: https://www.riss.kr/link?id=A60218818 | * 참조: https://www.riss.kr/link?id=A60218818 | ||
− | |||
---- | ---- | ||
−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
[[분류:문맥항목/2023]] [[분류:박광석]] [[분류:문화/2023]] | [[분류:문맥항목/2023]] [[분류:박광석]] [[분류:문화/2023]] |
2024년 2월 19일 (월) 10:13 판
Definition
- 광주수비대(光州守備隊): 거류민 보호와 의병 진압의 명목으로 1906년 6월, 광주에 배치된 일본군 부대.
- 1907년 일본군 보병 21사단 제14연대가 대한제국에 파견되었는데, 충청도 및 전라도에는 제2대대가 배치되었으며 광주수비대는 2대대 소속이였다.
- 광주수비대는 1개 중대 규모의 육군 병력으로 광주 사직단 인근에 주둔하였다. 이들은 일본 경찰, 헌병대와 함께 의병부대의 진압에 나섰으며, 이들에 의해 수많은 의병들이 체포되었다.
- 김원범(金元範)[1886~1909]은 광주군 당부면 북촌리(현, 광주광역시 서구 금호동) 출신으로, 1908년 1월 창평현 무동촌(茂洞村) 전투에서 일본군 광주수비대장 요시다카 츠사부로[吉田勝三郞] 소좌를 사살하였다. [1]
- 1917년부터 지금의 금남로1가 일대에 주둔하던 일본군 광주수비대가 철수하기 시작하는데, 남겨진 병영과 시설에 일본군 헌병대가 주둔하며 헌병, 경찰로 전라남도의 치안을 담당하게 되었다. [2]
- 참조: https://www.riss.kr/link?id=A60218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