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매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새 문서: ==Definition== * 이매방(李梅芳, 1926~2015)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테어난 대한민국의 전통무용가이며 인간문화재다. *‘매방’이란 이름은,...) |
(→Definition)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 이매방(李梅芳, 1926~2015)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테어난 대한민국의 전통무용가이며 인간문화재다. | * 이매방(李梅芳, 1926~2015)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테어난 대한민국의 전통무용가이며 인간문화재다. | ||
*‘매방’이란 이름은, 대련에서 소학교에 다닐때 다녔던 무용학원에서 스승이었던 중국의 경극 배우 매란방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 *‘매방’이란 이름은, 대련에서 소학교에 다닐때 다녔던 무용학원에서 스승이었던 중국의 경극 배우 매란방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 ||
− | * 목포의 권번에서 예기(藝妓) 함국향을 통해 춤과 가락을 접하고 1935~1948년 이대조, 박영구, 이창조 등 당대의 예인들로부터 승무, 검무, 살풀이춤 등 전통 무용을 사사받았다. 이후 서울조선성악연구회에서 | + | * 목포의 권번에서 예기(藝妓) 함국향을 통해 춤과 가락을 접하고 1935~1948년 이대조, 박영구, 이창조 등 당대의 예인들로부터 승무, 검무, 살풀이춤 등 전통 무용을 사사받았다. 이후 서울조선성악연구회에서 한성 |
+ | 준으로부터 무용을 배웠다. | ||
* 1987년 국가중요 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보유자로 지정되었으며, 1990년 중요무형문화재 제97호 살풀이춤 보유자로 지정됐다. | * 1987년 국가중요 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보유자로 지정되었으며, 1990년 중요무형문화재 제97호 살풀이춤 보유자로 지정됐다. | ||
− | * 삼현승무·보현승무, 살풀이, 검무, 산조 등 다양한 방면에서 두각을 드러냈다. | + | * 삼현승무·보현승무, 살풀이, 검무, 산조 등 다양한 방면에서 두각을 드러냈다.<ref>[https://www.culture.go.kr/knowledge/encyclopediaView.do?vvm_seq=5879 이매방, 문화포털]</ref> |
− | + | ||
+ | * 참조: https://www.culture.go.kr/knowledge/encyclopediaView.do?vvm_seq=5879 | ||
+ | --- | ||
<references/> | <references/> | ||
[[분류:문맥항목/2023]] [[분류:선현정]] [[분류:예술/2023]] | [[분류:문맥항목/2023]] [[분류:선현정]] [[분류:예술/2023]] |
2024년 2월 1일 (목) 14:13 판
Definition
- 이매방(李梅芳, 1926~2015)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테어난 대한민국의 전통무용가이며 인간문화재다.
- ‘매방’이란 이름은, 대련에서 소학교에 다닐때 다녔던 무용학원에서 스승이었던 중국의 경극 배우 매란방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 목포의 권번에서 예기(藝妓) 함국향을 통해 춤과 가락을 접하고 1935~1948년 이대조, 박영구, 이창조 등 당대의 예인들로부터 승무, 검무, 살풀이춤 등 전통 무용을 사사받았다. 이후 서울조선성악연구회에서 한성
준으로부터 무용을 배웠다.
- 1987년 국가중요 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보유자로 지정되었으며, 1990년 중요무형문화재 제97호 살풀이춤 보유자로 지정됐다.
- 삼현승무·보현승무, 살풀이, 검무, 산조 등 다양한 방면에서 두각을 드러냈다.[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