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Definition== *아귀아귀는 아귀목 아귀과에 속한다. 수심 55~150m의 깊은 바다에 서식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서해남부, 남해, 동해남부...)
 
(Definition)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아귀아귀]]는 아귀목 아귀과에 속한다. 수심 55~150m의 깊은 바다에 서식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서해남부, 남해, 동해남부에 서식한다. 몸과 머리가 납작하고, 몸 전체의 2/3가 머리 부분이며, 입이 매우 크다. 인천 지역에서는 못생겼다고 잡히면 그대로 바다에 던져버려 ‘물텀벙’이라 불렸다고 한다.
+
*[[아귀아귀]]는 아귀목 아귀과에 속한다. 수심 55~150m의 깊은 바다에 서식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서해남부, 남해, 동해남부에 서식한다. 몸과 머리가 납작하고, 몸 전체의 2/3가 머리 부분이며, 입이 매우 크다. 인천 지역에서는 못생겼다고 잡히면 그대로 바다에 던져버려 ‘[[물텀벙]]’이라 불렸다고 한다.
*아구는 비타민A가 많이 들어 있어 피부 미용에 좋고, 지방이 없어 비린내가 나지 않고 소화가 잘 되는 담백한 생선으로, 주로 탕 요리와 찜 요리로 유명하다.
+
*아구는 비타민A가 많이 들어 있어 피부 미용에 좋고, 지방이 없어 비린내가 나지 않고 소화가 잘 되는 담백한 생선으로, 주로 아구탕과 [[아구찜]]은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는 음식이다.

2022년 7월 26일 (화) 19:36 판

Definition

  • 아귀아귀는 아귀목 아귀과에 속한다. 수심 55~150m의 깊은 바다에 서식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서해남부, 남해, 동해남부에 서식한다. 몸과 머리가 납작하고, 몸 전체의 2/3가 머리 부분이며, 입이 매우 크다. 인천 지역에서는 못생겼다고 잡히면 그대로 바다에 던져버려 ‘물텀벙’이라 불렸다고 한다.
  • 아구는 비타민A가 많이 들어 있어 피부 미용에 좋고, 지방이 없어 비린내가 나지 않고 소화가 잘 되는 담백한 생선으로, 주로 아구탕과 아구찜은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는 음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