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충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정충신(鄭忠信, 1576~1636)은 조선시대 진무공신 1등에 책록된 공신이자 무신이다. 아버지는 금천군 정윤(...)
 
1번째 줄: 1번째 줄:
__NOTOC__
 
 
==Definition==
 
==Definition==
 
+
정엄은 조선중기의 문신이며 효자로 이름이 높았다. 자는 문중(文中), 호는 양촌(楊村), 본관은 광주(光州)이다. 남구 [[양림동]]에서 1552년 출생하였다. 1558년 문과에 급제하여 승정원 정자로 임명되었고 이후 사간원 정언, 사헌부 장령, 홍문관 수찬 등을 거쳐 1569년 여산군수에 임명되었다. 사헌부 장령, 홍문관 교리를 거쳐 종시부 첨정 지제교로 명종실록 편찬에  편수관으로 참여하였다. 뒤에 남원부사가 되어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이 매우 좋게 여겼다는 전라감사의 보고가 있었다. 1574년(선조 7)에 병든 어머니를 모시고자 나주목사를 자청하였다. 몸소 약을 달이며 어머님을 정성껏 간병하였으나 1597년 어머니는 돌아가시고 그 슬픔을 이기지 못하고 장사를 치른 뒤 죽었다. 정엄의 효행을 귀감으로 삼고자 1611년(광해 3)에 사헌부 대사헌에 증직하고, [[양림동]]에 효자정려([[효자_광주_ 정공엄지려]])를 세웠다. 현재의 정려는 원래의 정려가  퇴락하여 1975년 후손들이 석조(石造)로 다시 세운 것이다. 정려 앞에 세워진 [[충견상]]은 정엄이 기르던 충성스러운 개를 기리는 것으로 이에 관련된 구비설화가 전해 내려오고 있으며 이 이야기를 기반으로  [[동개비]]라는 캐릭터와 애니메이션이 제작되기도 하였다.  
*[[정충신|정충신(鄭忠信, 1576~1636)]]은 조선시대 [[진무공신]] 1등에 책록된 공신이자 무신이다. 아버지는 금천군 정윤(鄭綸)이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목사 권율(權慄)의 휘하에 종군하였다. 1621년(광해군13)만포첨사로 국경을 수비했다. 1623년(인조1)안주목사로 방어사를 겸임하고, 이괄(李适)의 난 때 황주와 서울안산에서 이괄의 군사를 무찔러 진무공신 1등으로 금남군(錦南君)에 봉해졌다. 1627년 정묘호란 때는 부원수를 지냈고 1636년 병으로 사망하였다. 광주 경렬사(景烈祠)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만운집』, 『금남집(錦南集)』, 『백사북천일록(白沙北遷日錄)』 등이 있다. 시호는 충무(忠武)이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Node Description===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style="width: 100px" | id||class||groupName||partName||label||hangeul||hanja||english||infoUrl||iconUrl
|-
 
| [[정충신]] || Actor || 인물 || 문무 관인 || 정충신(鄭忠信, 1576~1636) || 정충신 || 鄭忠信 ||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정충신 ||
 
 
|-
 
|-
 +
|[[정엄 ]]|| Actor||인물||||(鄭淹, 1528~1580)||||鄭淹||||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정엄||<html><img width = "80" src=""/></html>
 
|}
 
|}
 +
 
※ 참고: [[Ontology:EKC_광주:Class]]
 
※ 참고: [[Ontology:EKC_광주:Class]]
 
 
===Contextual Relations===
 
===Contextual Relation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target||relation||attribute
 
|-
 
|-
| [[정충신]] || [[정윤]] || [[hasFather]]  || 아버지
+
|[[동개비]]||[[충견상]]||isDerivativeOf||
 
|-
 
|-
| [[정충신]] || [[진무공신]] || [[hasMother]]  || 칭호를 받음
+
|[[양림동]]||[[동개비]]||develop||
 
|-
 
|-
| [[정충신]] || [[임진왜란]] ||   || 관련사건
+
|[[양림동]]||[[정엄]]||isBirthPlaceOf||
 
|-
 
|-
| [[정충신]] || [[안주목사]] ||   || 지냄
+
|[[정엄의_충견]]||[[정엄]]||hasOwner||
 
|-
 
|-
| [[정충신]] || [[정묘호란]] ||   || 관련사건
+
|[[충견상]]||[[정엄의_충견]]||commemorates||
 
|-
 
|-
| [[정충신]] || [[부원수]] ||   || 지냄
+
|[[충견상]]||[[효자_광주_ 정공엄지려]]||isLocatedIn||
 
|-
 
|-
| [[정충신]] || [[이괄의_난]] ||   || 공을 세움
+
|[[효자_광주_ 정공엄지려]]||[[정엄]]||commemorates||
 
|-
 
|-
| [[정충신]] || [[광주_경열사]]  ||  || 제향됨
+
|}
|-
+
  ※ 참고: [[Ontology:EKC_광주:Relation]]
| [[정충신]] || [[만운집]] || [[creator]] || 시문집
+
== Spatial Data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정충신]] || [[금남집]] || [[creator]] || 시문집
+
!id||위도||경도||고도||주소
|-
 
| [[정충신]] || [[백사북천일록]] || [[creator]] || 일지, 공무일기
 
 
|-
 
|-
| [[정충신]] || [[충무]] || || 시호
+
|정엄||||||||
 
|-
 
|-
|}
+
|}{{구글지도 | 위도=|경도= |줌=16}}
※ 참고: [[Ontology:EKC_광주:Relation]]
 
 
 
 
==Web Resource==
 
==Web Resource==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type||resource||title||description||url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정충신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1022
+
|참고||대한민국 구석구석||효자 광주 정공엄지려||||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29418&cid=42856&categoryId=42856
 
|-
 
|-
| 해설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정충신 || ||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5658
+
|참고||광주역사문화자원스토리텔링||||||http://gjstory.or.kr/sub.html?pid=52&formtype=view&code=15
 
|-
 
|-
| 해설 || 두산백과 || 정충신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0942&docId=1140865&categoryId=34332
+
|참고||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정엄(鄭淹, 1528 ~ 1580)||||http://www.gjsgcc.or.kr/ko/35/view?SEQ=6434&page=6
|-
 
| 해설 || 나무위키 || 정충신 || || https://namu.wiki/w/정충신
 
|-
 
| 해설 || 두산백과 || 만운집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0942&docId=1091419&categoryId=32868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만운집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7681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백사북천일록||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2141
 
 
|-
 
|-
 
|}
 
|}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 type: 해설, 참고, 원문,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Bibliography==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type||bibliographic_index||online_resource||url
|-
 
| 단행본 ||정충신,『북천일록』, 보고사, 2020. ||  ||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mallGb=KOR&ejkGb=KOR&linkClass=&barcode=9791165871017&NaPm=ct%3Dl5yvcde0%7Cci%3D946387b8713fb6190a3aaf075021263bfd752975%7Ctr%3Dboksl1%7Csn%3D5342564%7Chk%3D62a66c82d67d8e6dc32493e8339e2d2db7f80aa8
 
 
|-
 
|-
| 단행본 ||정충신,『후금 요양성 정탐서』, 보고사, 2020. || ||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K542631177&start=pnaver_02
+
|단행본|| 광주직할시 기획담당관실 시정연구계 편, 『광주읍지』, 광주직할시, 1990.||||
 
|-
 
|-
| 단행본 ||이계홍,『깃발1-5』, 범우, 2021. || || http://www.yes24.com/Product/Goods/97254535
+
|단행본||나주목향토문화연구회 편, 『나주목읍지』, 나주목향토문화연구회, 1993.||||
|-
 
| 논문 ||이윤경,「정충신과 관련된 여성 인물 이야기의 변모 양상과 그 의미」, 『고소설연구』 20, 한국고소설학회, 2005.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0981017
 
|-
 
| 논문 ||서한석,「忠武公 鄭忠信의 生涯와 現實認識」, 『한국한문학연구』 81, 한국한문학회, 2005.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99912
 
 
|-
 
|-
 
|}
 
|}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 참고: [http://www.riss.kr/index.do RISS 논문 검색]
+
== Notes ==
 
 
==Notes==
 
 
 
 
<references/>
 
<references/>
 
==Semantic Network Graph==
 
 
{{SemanticGraph | key=정충신}}
 
 
[[분류:Actor]] [[분류:장은지]]
 

2022년 7월 26일 (화) 03:34 판

Definition

정엄은 조선중기의 문신이며 효자로 이름이 높았다. 자는 문중(文中), 호는 양촌(楊村), 본관은 광주(光州)이다. 남구 양림동에서 1552년 출생하였다. 1558년 문과에 급제하여 승정원 정자로 임명되었고 이후 사간원 정언, 사헌부 장령, 홍문관 수찬 등을 거쳐 1569년 여산군수에 임명되었다. 사헌부 장령, 홍문관 교리를 거쳐 종시부 첨정 지제교로 명종실록 편찬에 편수관으로 참여하였다. 뒤에 남원부사가 되어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이 매우 좋게 여겼다는 전라감사의 보고가 있었다. 1574년(선조 7)에 병든 어머니를 모시고자 나주목사를 자청하였다. 몸소 약을 달이며 어머님을 정성껏 간병하였으나 1597년 어머니는 돌아가시고 그 슬픔을 이기지 못하고 장사를 치른 뒤 죽었다. 정엄의 효행을 귀감으로 삼고자 1611년(광해 3)에 사헌부 대사헌에 증직하고, 양림동에 효자정려(효자_광주_ 정공엄지려)를 세웠다. 현재의 정려는 원래의 정려가 퇴락하여 1975년 후손들이 석조(石造)로 다시 세운 것이다. 정려 앞에 세워진 충견상은 정엄이 기르던 충성스러운 개를 기리는 것으로 이에 관련된 구비설화가 전해 내려오고 있으며 이 이야기를 기반으로 동개비라는 캐릭터와 애니메이션이 제작되기도 하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정엄 Actor 인물 (鄭淹, 1528~1580) 鄭淹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정엄

※ 참고: Ontology:EKC_광주:Class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동개비 충견상 isDerivativeOf
양림동 동개비 develop
양림동 정엄 isBirthPlaceOf
정엄의_충견 정엄 hasOwner
충견상 정엄의_충견 commemorates
충견상 효자_광주_ 정공엄지려 isLocatedIn
효자_광주_ 정공엄지려 정엄 commemorates
※ 참고: Ontology:EKC_광주:Relation

Spatial Data

id 위도 경도 고도 주소
정엄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 url
참고 대한민국 구석구석 효자 광주 정공엄지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29418&cid=42856&categoryId=42856
참고 광주역사문화자원스토리텔링 http://gjstory.or.kr/sub.html?pid=52&formtype=view&code=15
참고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정엄(鄭淹, 1528 ~ 1580) http://www.gjsgcc.or.kr/ko/35/view?SEQ=6434&page=6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_index online_resource url
단행본 광주직할시 기획담당관실 시정연구계 편, 『광주읍지』, 광주직할시, 1990.
단행본 나주목향토문화연구회 편, 『나주목읍지』, 나주목향토문화연구회, 1993.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