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진군 강등 사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Definition)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__NOTOC__ | __NOTOC__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광주가 세종대에 | + | *광주가 세종대에 무진군으로 강등당한 것은 1430(세종 12)년에 발생한 사건 때문이었다. 광주목사 신보안이 광주 사람 노흥준의 기생 첩을 차지하려고 하였고 이 사실을 안 노흥준이 신보안을 발로 걷어 차버렸다. 이 구타사건은 전라감영의 조사를 거쳐 중앙에 보고되어 이에 따라 노흥준은 곤장을 맞고 변방으로 유배를 갔고, 광주목은 무진군으로 강등되고 말았다. 광주는 고려 공민왕 이래 牧使 고을이었는데, 이 사건으로 읍격이 郡으로 강등되고 말았다.<ref>김덕진, 「15세기 光州牧 邑號陞降과 喜慶樓」, 『조선시대사학보』 no.91, 조선시대사학회, 2019, 7~9쪽.</ref> |
== Notes == | == Notes == | ||
<references/> | <references/> | ||
[[분류:문맥항목]] [[분류:이재열]] | [[분류:문맥항목]] [[분류:이재열]] |
2024년 1월 10일 (수) 12:41 판
Definition
- 광주가 세종대에 무진군으로 강등당한 것은 1430(세종 12)년에 발생한 사건 때문이었다. 광주목사 신보안이 광주 사람 노흥준의 기생 첩을 차지하려고 하였고 이 사실을 안 노흥준이 신보안을 발로 걷어 차버렸다. 이 구타사건은 전라감영의 조사를 거쳐 중앙에 보고되어 이에 따라 노흥준은 곤장을 맞고 변방으로 유배를 갔고, 광주목은 무진군으로 강등되고 말았다. 광주는 고려 공민왕 이래 牧使 고을이었는데, 이 사건으로 읍격이 郡으로 강등되고 말았다.[1]
Notes
- ↑ 김덕진, 「15세기 光州牧 邑號陞降과 喜慶樓」, 『조선시대사학보』 no.91, 조선시대사학회, 2019, 7~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