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 템플릿"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14번째 줄: 14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김덕령|김덕령(金德齡, 1567~1596)]]은 조선시대 임진왜란 당시의 의병장이다. 1567년(선조 즉위)에 태어나 1596년(선조 29)에 사망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형 김덕홍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뛰어난 활약으로 1593년 선조로부터 형조좌랑 직함과 충용장 군호를 받았다. 1594년에는 세자로부터 익호장군, 선조로부터 초승장군 군호를 받았다. 1595년 이몽학의 반란 때 내통했다는 무고를 받아 혹독한 고문을 받고 옥사했다. 1661년(현종 2) 신원되어 관작이 복구되고, 1678년 광주의 벽진서원에 제향되었으며, 이듬해 의열사로 사액되었다. 시호는 충장이다.<ref>김동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8931 김덕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김덕령의 시문을 수록한 [[ 김충장공유사|『김충장공유사(金忠壯公遺事)』]]가 1694년(숙종 20)에 왕명의 의해 처음 편찬되었고, 그 뒤 1796년(정조 20)에 정조의 어제 서문과 함께 간행되었다. 책 속에 김덕령이 죽기 전에 옥중에서 지었다는 [[춘산곡|춘산곡(春山曲)]]이 수록되어 있다. 김덕령을 추모하기 위해 1975년 광주광역시 무등산 자락에 [[충장사]]가 조성되었다.
+
*[[김덕령|김덕령(金德齡, 1567~1596)]]은 조선시대 임진왜란 당시의 의병장이다. 1567년(선조 즉위)에 태어나 1596년(선조 29)에 사망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형 김덕홍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뛰어난 활약으로 1593년 선조로부터 형조좌랑 직함과 충용장 군호를 받았다. 1594년에는 세자로부터 익호장군, 선조로부터 초승장군 군호를 받았다. 1595년 이몽학의 반란 때 내통했다는 무고를 받아 혹독한 고문을 받고 옥사했다. 1661년(현종 2) 신원되어 관작이 복구되고, 1678년 광주의 벽진서원에 제향되었으며, 이듬해 의열사로 사액되었다. 시호는 충장이다.<ref>김동수, 「김덕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8931.</ref> 김덕령의 시문을 수록한 [[ 김충장공유사|『김충장공유사(金忠壯公遺事)』]]가 1694년(숙종 20)에 왕명의 의해 처음 편찬되었고, 그 뒤 1796년(정조 20)에 정조의 어제 서문과 함께 간행되었다. 책 속에 김덕령이 죽기 전에 옥중에서 지었다는 [[춘산곡|춘산곡(春山曲)]]이 수록되어 있다. 김덕령을 추모하기 위해 1975년 광주광역시 무등산 자락에 [[충장사]]가 조성되었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70번째 줄: 70번째 줄:
 
|-
 
|-
 
| 동영상 || 광주MBC || 그 이름만으로도 일본을 떨게한 임진왜란의 의병장 충장공 '김덕령' || || https://www.youtube.com/embed/8-tPO6_vzI0
 
| 동영상 || 광주MBC || 그 이름만으로도 일본을 떨게한 임진왜란의 의병장 충장공 '김덕령' || || https://www.youtube.com/embed/8-tPO6_vzI0
 +
|-
 +
| 동영상 || [https://www.youtube.com/channel/UCU_UTpm5bYFNVabDs2HVCBA 흥미로운가] || 흥미로 쇼츠(shorts) - 베비에르 || || https://youtube.com/shorts/iNO7863fWQg?feature=share
 
|-
 
|-
 
|}
 
|}

2022년 10월 27일 (목) 13:46 판

  • 위키 작성 템플릿입니다.
    • 아래의 내용(박스부분)을 마우스로 드래그 한 다음 복사(ctrl+c 또는 마우스 오른쪽 클릭한 다음 복사 선택)합니다. 박스부분을 메모장에 별도로 저장해 놓고 필요할 때 마다 복사해서 사용해도 됩니다.
    • 작성하려는 문서의 목록에서 제목(빨간색 아이디)을 클릭한 다음 문서 편집 부분에 붙여넣기(ctrl+v, 또는 마우스 오른쪽 클릭한 다음 붙여넣기 선택) 합니다.
    • '입력'이라고 표시된 항목을 작성해주세요. 해당사항이 없으면 비워 두세요.



__NOTOC__
==Definition==

*[[김덕령|김덕령(金德齡, 1567~1596)]]은 조선시대 임진왜란 당시의 의병장이다. 1567년(선조 즉위)에 태어나 1596년(선조 29)에 사망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형 김덕홍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뛰어난 활약으로 1593년 선조로부터 형조좌랑 직함과 충용장 군호를 받았다. 1594년에는 세자로부터 익호장군, 선조로부터 초승장군 군호를 받았다. 1595년 이몽학의 반란 때 내통했다는 무고를 받아 혹독한 고문을 받고 옥사했다. 1661년(현종 2) 신원되어 관작이 복구되고, 1678년 광주의 벽진서원에 제향되었으며, 이듬해 의열사로 사액되었다. 시호는 충장이다.<ref>김동수, 「김덕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8931.</ref> 김덕령의 시문을 수록한 [[ 김충장공유사|『김충장공유사(金忠壯公遺事)』]]가 1694년(숙종 20)에 왕명의 의해 처음 편찬되었고, 그 뒤 1796년(정조 20)에 정조의 어제 서문과 함께 간행되었다. 책 속에 김덕령이 죽기 전에 옥중에서 지었다는 [[춘산곡|춘산곡(春山曲)]]이 수록되어 있다. 김덕령을 추모하기 위해 1975년 광주광역시 무등산 자락에 [[충장사]]가 조성되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위키_템플릿]] || Concept || 기타 || || 위키 템플릿 || 위키 템플릿 ||  || wiki template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위키_템플릿 || 
|-
|}

===Contextual Relation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김덕령]] || [[김붕섭]]  ||  || attribute
|-
| [[김덕령]] || [[김붕섭_처_남평반씨]]  ||  || attribute
|-
| [[김덕령]] || [[김덕홍]]  ||  || attribute
|-
| [[김덕령]] || [[김덕보]]  ||  || attribute
|-
| [[김덕령]] || [[임진왜란_전라도_의병]]  ||  || attribute
|-
|}

==Spatial Data==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id || latitude || longitude || address
|-
| [[광주고등학교]] || 35.1591189 || 126.9219958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동구 중앙로 302
|-
|}

{{구글지도 | 위도=35.1591189| 경도=126.9219958 | 줌=16 }}

==Web Resource==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김덕령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8931
|-
| 해설 || 위키백과 || 김덕령 || ||  https://ko.wikipedia.org/wiki/김덕령
|-
| 해설 || 지역N문화 || 충장공 김덕령의 충절을 기리는 충장사 || || https://ncms.nculture.org/righteous-army/story/3894
|-
| 사진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 전남대학교 정문 ||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0/09/전남대학교_정문.jpg
|-
| 동영상 || 광주MBC || 그 이름만으로도 일본을 떨게한 임진왜란의 의병장 충장공 '김덕령' || || https://www.youtube.com/embed/8-tPO6_vzI0
|-
| 동영상 || [https://www.youtube.com/channel/UCU_UTpm5bYFNVabDs2HVCBA 흥미로운가] || 흥미로 쇼츠(shorts) - 베비에르 || || https://youtube.com/shorts/iNO7863fWQg?feature=share
|-
|}

==Bibliography==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단행본 ||김영헌, 『김덕령 평전』, 향지사, 2006. ||  ||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95049181
|-
| 논문 ||강현모, 「《임진록》에 나타난 김덕령 전승의 양상과 의미」, 『한국언어문화』 24, 한국언어문화학회, 2003. ||  KISS ||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2340463
|-
|}

==Notes==

<references/>


[[분류:연습]] [[분류:윤소현]]


예시

Definition

  • 김덕령(金德齡, 1567~1596)은 조선시대 임진왜란 당시의 의병장이다. 1567년(선조 즉위)에 태어나 1596년(선조 29)에 사망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형 김덕홍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뛰어난 활약으로 1593년 선조로부터 형조좌랑 직함과 충용장 군호를 받았다. 1594년에는 세자로부터 익호장군, 선조로부터 초승장군 군호를 받았다. 1595년 이몽학의 반란 때 내통했다는 무고를 받아 혹독한 고문을 받고 옥사했다. 1661년(현종 2) 신원되어 관작이 복구되고, 1678년 광주의 벽진서원에 제향되었으며, 이듬해 의열사로 사액되었다. 시호는 충장이다.[1] 김덕령의 시문을 수록한 『김충장공유사(金忠壯公遺事)』가 1694년(숙종 20)에 왕명의 의해 처음 편찬되었고, 그 뒤 1796년(정조 20)에 정조의 어제 서문과 함께 간행되었다. 책 속에 김덕령이 죽기 전에 옥중에서 지었다는 춘산곡(春山曲)이 수록되어 있다. 김덕령을 추모하기 위해 1975년 광주광역시 무등산 자락에 충장사가 조성되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위키_템플릿 Concept 기타 위키 템플릿 위키 템플릿 wiki template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위키_템플릿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김덕령 김붕섭 attribute
김덕령 김붕섭_처_남평반씨 attribute
김덕령 김덕홍 attribute
김덕령 김덕보 attribute
김덕령 임진왜란_전라도_의병 attribute

Spatial Data

id latitude longitude address
광주고등학교 35.1591189 126.9219958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동구 중앙로 302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김덕령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8931
해설 위키백과 김덕령 https://ko.wikipedia.org/wiki/김덕령
해설 지역N문화 충장공 김덕령의 충절을 기리는 충장사 https://ncms.nculture.org/righteous-army/story/3894
사진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전남대학교 정문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0/09/전남대학교_정문.jpg
동영상 광주MBC 그 이름만으로도 일본을 떨게한 임진왜란의 의병장 충장공 '김덕령' https://www.youtube.com/embed/8-tPO6_vzI0
동영상 흥미로운가 흥미로 쇼츠(shorts) - 베비에르 https://youtube.com/shorts/iNO7863fWQg?feature=share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단행본 김영헌, 『김덕령 평전』, 향지사, 2006.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95049181
논문 강현모, 「《임진록》에 나타난 김덕령 전승의 양상과 의미」, 『한국언어문화』 24, 한국언어문화학회, 2003. KISS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2340463

Notes

  1. 김동수, 「김덕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8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