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암정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Definition== 묵암정사(黙闇精舍)는 1592년(선조 25)부터 1598년까지 2차에 걸쳐서 우리나라에 침입한 일본과의 싸움이다. 엄청난...)
 
(Definition)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묵암정사|묵암정사(黙闇精舍)]]는 1592년(선조 25)부터 1598년까지 2차에 걸쳐서 우리나라에 침입한 일본과의 싸움이다. 엄청난 시련을 겪으면서도 끈질긴 저항으로 이겨내고 각성과 자기성찰을 바탕으로 민족의 운명을 새로 개척해나간 계기가 된 전쟁이다. 명의 원조도 있었지만 승리의 가장 큰 원동력은 거족적인 저항으로, 이순신에 의한 제해권의 장악과 전국에서 봉기한 의병의 활동은 불리했던 전쟁 국면을 전환시킨 결정적인 힘이었다. <ref>이장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7674 임진왜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임진왜란 당시 광주 지역에서는 [[고경명 | 고경명(高敬命)]]·[[김덕령 | 김덕령(金德齡)]] 등의 의병장들이 이 지방 의병을 이끌고 크게 활약하였다.
+
[[묵암정사|묵암정사(默菴精舍)]]는 [[만귀정]], [[습향각]]과 나란히 선 정자로 막내 정자라로 할 수 있다. 송정읍장을 지낸 만귀 장창우의 7대 후손인 장안섭의 덕행을 기리기 위해 1960년 광산군민이 성금을 모아 건립하였다.

2022년 7월 12일 (화) 11:55 판

Definition

묵암정사(默菴精舍)만귀정, 습향각과 나란히 선 정자로 막내 정자라로 할 수 있다. 송정읍장을 지낸 만귀 장창우의 7대 후손인 장안섭의 덕행을 기리기 위해 1960년 광산군민이 성금을 모아 건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