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봉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새 문서: *제봉집(霽峰集)은 조선전기 문인 고경명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17년에 간행한 시문집이다. 본집 5권 5책, 속집 1권 1책, 유집(遺集) 1권 1책...)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제봉집(霽峰集)은 조선전기 문인 고경명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17년에 간행한 시문집이다. 본집 5권 5책, 속집 1권 1책, 유집(遺集) 1권 1책, 합 7권 6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속집은 문집을 편찬할 때 누락되었던 시문 40여 수를 유근이 뽑아 편찬한 것이고, 유집은 아들 고용후가 또 빠져 있던 시문을 찾아내어 편찬한 것이다. | *제봉집(霽峰集)은 조선전기 문인 고경명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17년에 간행한 시문집이다. 본집 5권 5책, 속집 1권 1책, 유집(遺集) 1권 1책, 합 7권 6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속집은 문집을 편찬할 때 누락되었던 시문 40여 수를 유근이 뽑아 편찬한 것이고, 유집은 아들 고용후가 또 빠져 있던 시문을 찾아내어 편찬한 것이다. | ||
− | [[분류: | + | [[분류:문맥항목]] [[분류:이재열]] |
2022년 9월 15일 (목) 16:08 판
- 제봉집(霽峰集)은 조선전기 문인 고경명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17년에 간행한 시문집이다. 본집 5권 5책, 속집 1권 1책, 유집(遺集) 1권 1책, 합 7권 6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속집은 문집을 편찬할 때 누락되었던 시문 40여 수를 유근이 뽑아 편찬한 것이고, 유집은 아들 고용후가 또 빠져 있던 시문을 찾아내어 편찬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