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가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
__NOTOC__
 
==Definition==
 
==Definition==
 +
*[[호가정|호가정(浩歌亭)]]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본덕동에 위치한 정자이다. 1990년 11월 15일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조선 중기의 문신 [[유사(柳泗,?~?)]]가 1558년 극락강(極樂江)과 황룡강(黃龍江)의 합류점인 노평산(盧平山) 기슭에 지었다. 정자의 명칭은 소강절(邵康節)이 말한 ‘호가지의(浩歌之意)’에 담긴 뜻을 취한 것이다. 앞면 3칸·옆면 3칸의 팔작집붕이며, 원래의 건물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겪으면서 소실되었고, 1871년에 중건하였는데 원래 중앙에 두었던 거실을 없애고 전부 우물마루로 고치는 약간의 구조 변경이 있었다.
 +
==Semantic Data==
 +
===Node Description===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style="width: 100px" | id||class||groupName||partName||label||hangeul||hanja||english||infoUrl||iconUrl
 +
|-
 +
|[[호가정 ]]|| Heritage||시도문화재||광주광역시문화재자료||호가정(浩歌亭)||호가정||浩歌亭||||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호가정||<html><img width = "80" src=""/></html>
 +
|}
  
*[[호가정]]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곡분토길 195(본덕동), 동곡 꽃게장골목 가까운 곳에 있다. 1990년,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호가정]]은 조선 중·명종대의 문신 설강 유사(雪江柳泗)(1502~1571)가 만년에 지은 정자이다. [[호가정]]이라는 이름은 송나라 소강절이 말한 호가지의(浩歌之意)에 담긴 뜻을 취하여 지었다. 이 정자는 1558년(명종 13) 처음 세웠으나,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겪으면서 불타 없어져, 1871년(고종 8년)에 다시 세웠다.<ref>호가정, https://korean.visitkorea.or.kr/detail/ms_detail.do?cotid=689c35c3-dc81-4c8f-b36b-2af52abd8915&big_category=A02&mid_category=A0201&big_area=5. 대한민국 구석구석.</ref>
 
  
 +
===Contextual Relations===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target||relation||attribute
 +
|-
 +
|[[기정진]]||[[호가정중수기]]||||~의 작가
 +
|-
 +
|[[유사]]||[[설강유고집]]||||~의 작가
 +
|-
 +
|[[유사]]||[[호가정]]||||~을 건립하다
 +
|-
 +
|[[유사]]||[[호가정기]]||||~에 대한 기록
 +
|-
 +
|[[호가정]]||[[광주전남8대정자]]||||~중의 하나
 +
|-
 +
|[[호가정기]]||[[호가정]]||||~에 대한 기록
 +
|-
 +
|[[호가정중수기]]||[[호가정]]||||~에 대한 기록
 +
|-
 +
|}
 +
 +
== Spatial Data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id||latitude||longitude||address
 +
|-
 +
|호가정||35.0823402||126.7870529||광주 광산구 동곡분토길 195
 +
|-
 +
|}{{구글지도 | 위도=35.0823402|경도= 126.7870529|줌=16}}
 
==Web Resource==
 
==Web Resource==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type||resource||title||description||url
 +
|-
 +
|해설||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호가정 (浩歌亭)||||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0140000,24&pageNo=1_1_1_0
 +
|-
 +
|해설||두산백과||유사[柳泗,1423~1471]||||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7816
 +
|-
 +
|해설||네이버 지식백과 >> 인명사전||유사[ 柳泗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883470&cid=43671&categoryId=43671
 +
|-
 +
|해설||두산백과||유사[柳泗,1423~1471]||||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6013
 +
|-
 +
|참고||전남매일||김성후 교수의 ‘영산강, 전라도 천년을 품다’5 (2020-05-27, 김성후 교수)||||http://www.jndn.com/article.php?aid=1590564193300946162
 +
|-
 +
|참고||무등일보||'빛고을 산들길' 돌아보기- 4코스(하) 서녘 들판을 울리는 만드리(서창교~평동저수지)  (2014-10-21, 김성후 교수)||||http://www.mdilbo.com/detail/etc/441660
 +
|-
 +
|참고||연합뉴스||광주.전남 대표 정자 8곳 선정 (2004-10-19, 남현호 기자)||||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794038?sid=103
 +
|-
 +
|}
 +
==Bibliography==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type||bibliographic_index||online_resource||url
 +
|-
 +
|논문||권혁명, 「雪江 柳泗의 生涯와 詩世界 」, 『漢城語文學』 제32집, 한성대학교 출판부, 2013.||국회전자도서관||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searchType=INNER_SEARCH&resultType=INNER_SEARCH_DETAIL&searchMehtod=L&searchClass=S&controlNo=KINX2014130417&queryText=&zone=&fieldText=&prevQueryTex
 
|-
 
|-
| 사진 || 한국관광공사 || 호가정 || || https://tong.visitkorea.or.kr/cms/resource/74/2493674_image2_1.jpg
+
|단행본||박명희, 『호가정 만귀정』, 광주광역시 광주문화재단, 2019.||||https://www.google.com/search?q=9788963813011
 
|-
 
|-
 
|}
 
|}
 
+
== Notes ==
* type: 해설, 참고, 원문,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Notes==
 
 
 
 
<references/>
 
<references/>
 
+
[[분류:Heritage]][[분류: 이재열]]
[[분류:문맥항목]] [[분류:박종평]]
 

2022년 10월 19일 (수) 17:01 판

Definition

  • 호가정(浩歌亭)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본덕동에 위치한 정자이다. 1990년 11월 15일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조선 중기의 문신 유사(柳泗,?~?)가 1558년 극락강(極樂江)과 황룡강(黃龍江)의 합류점인 노평산(盧平山) 기슭에 지었다. 정자의 명칭은 소강절(邵康節)이 말한 ‘호가지의(浩歌之意)’에 담긴 뜻을 취한 것이다. 앞면 3칸·옆면 3칸의 팔작집붕이며, 원래의 건물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겪으면서 소실되었고, 1871년에 중건하였는데 원래 중앙에 두었던 거실을 없애고 전부 우물마루로 고치는 약간의 구조 변경이 있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호가정 Heritage 시도문화재 광주광역시문화재자료 호가정(浩歌亭) 호가정 浩歌亭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호가정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기정진 호가정중수기 ~의 작가
유사 설강유고집 ~의 작가
유사 호가정 ~을 건립하다
유사 호가정기 ~에 대한 기록
호가정 광주전남8대정자 ~중의 하나
호가정기 호가정 ~에 대한 기록
호가정중수기 호가정 ~에 대한 기록

Spatial Data

id latitude longitude address
호가정 35.0823402 126.7870529 광주 광산구 동곡분토길 195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 url
해설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호가정 (浩歌亭)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0140000,24&pageNo=1_1_1_0
해설 두산백과 유사[柳泗,1423~1471]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7816
해설 네이버 지식백과 >> 인명사전 유사[ 柳泗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883470&cid=43671&categoryId=43671
해설 두산백과 유사[柳泗,1423~1471]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6013
참고 전남매일 김성후 교수의 ‘영산강, 전라도 천년을 품다’5 (2020-05-27, 김성후 교수) http://www.jndn.com/article.php?aid=1590564193300946162
참고 무등일보 '빛고을 산들길' 돌아보기- 4코스(하) 서녘 들판을 울리는 만드리(서창교~평동저수지) (2014-10-21, 김성후 교수) http://www.mdilbo.com/detail/etc/441660
참고 연합뉴스 광주.전남 대표 정자 8곳 선정 (2004-10-19, 남현호 기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794038?sid=103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_index online_resource url
논문 권혁명, 「雪江 柳泗의 生涯와 詩世界 」, 『漢城語文學』 제32집, 한성대학교 출판부, 2013. 국회전자도서관 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searchType=INNER_SEARCH&resultType=INNER_SEARCH_DETAIL&searchMehtod=L&searchClass=S&controlNo=KINX2014130417&queryText=&zone=&fieldText=&prevQueryTex
단행본 박명희, 『호가정 만귀정』, 광주광역시 광주문화재단, 2019.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63813011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