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새 문서: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우리 사회의 경제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평화적인 시민운동단체. *1989년 7월 8일 경제정의를 실현함으로써 민...) |
잔글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 + | == Definition == |
+ |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우리 사회의 경제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평화적인 시민운동단체. | ||
*1989년 7월 8일 경제정의를 실현함으로써 민주복지국가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이바지할 목적으로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단체로서 약칭은 경실련(CCEJ)이다. | *1989년 7월 8일 경제정의를 실현함으로써 민주복지국가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이바지할 목적으로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단체로서 약칭은 경실련(CCEJ)이다. | ||
*창립 당시부터 망국적이라는 부동산투기와 지하경제의 폐해를 시정하기 위하여 토지공개념을 위한 시민들의 공감대를 바탕으로 시민운동을 전개하여 왔다. | *창립 당시부터 망국적이라는 부동산투기와 지하경제의 폐해를 시정하기 위하여 토지공개념을 위한 시민들의 공감대를 바탕으로 시민운동을 전개하여 왔다. |
2024년 2월 19일 (월) 17:56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우리 사회의 경제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평화적인 시민운동단체.
- 1989년 7월 8일 경제정의를 실현함으로써 민주복지국가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이바지할 목적으로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단체로서 약칭은 경실련(CCEJ)이다.
- 창립 당시부터 망국적이라는 부동산투기와 지하경제의 폐해를 시정하기 위하여 토지공개념을 위한 시민들의 공감대를 바탕으로 시민운동을 전개하여 왔다.
- 전국 각 지역 32곳에 지역 경실련을 두고 있으며, 회원은 3만 5000여 명에 이르는 시민단체로 성장하였다. 산하에 경제정의연구소·환경개발센터·통일협회 등 4개의 사단법인체와 정책위원회를 비롯한 10여 개의 상설위원회가 활동 중이다.
- 참조: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27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