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Definition== 정율성의 위대한 걸작으로 불리는 '연안송'은 중국항일투쟁 당시 전 중국인민들의 대일 항전에 대한 필승의 결심과 믿음을 찬...)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정율성의 위대한 걸작으로 불리는 '연안송'은 중국항일투쟁 당시 전 중국인민들의 대일 항전에 대한 필승의 결심과 믿음을 찬양하는 곡으로 지난 1990년에는 20세기 중국음악의 기념비적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서정적이면서도 웅장한 느낌으로 감동을 주는 이 노래는 당시 중국 전역에서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면서 우리의 "아리랑"처럼 널리 애창되었다. 항일과 혁명을 위해 천리 만리 먼 길을 걸어 연안에 모인 젊은이들의 혁명에 대한 열정을 생생하게 그리고 있는 '연안송'은 당시 중국 공산당 지도부에서 악보로 만들어 중국 전역으로 보급했을 만큼 영향력이 컸다.
+
우리나라 최초의 여자 국비 유학생 김필례 선생은 일본 유학에서 경험한 YWCA활동을 바탕으로 1922년, 한국에 YWCA창설을 주도했다. 한국YWCA와 광주YWCA 초대 총무로서 농촌운동과 애국계몽, 여성인권 향상을 위해 힘썼다. 일제 강점기 엄혹한 상황 속
 +
민족자립교육에 앞장섰으며 치치하얼 이상촌, 정신여학교, 광주여성야학교 교사로 헌신했다. 3·1만세운동 참가와 신사참배 거부로 옥살이를 하기도 했다.<br/>
 +
해방 후에는 일제로 인해 폐교되었던 정신여학교를 다시 세우는 등, 평생 민족교육과 여성교육을 위해 애쓰며 실천적 기독여성교육자의 삶을 살았으며, 공로를 인정받아 국민훈장 모란장(1972년)과 건국포장(2021년)을 수상했다.
 +
 
 +
 
 +
[[분류:Actor]] [[분류:김순정]]

2022년 7월 26일 (화) 23:51 판

Definition

우리나라 최초의 여자 국비 유학생 김필례 선생은 일본 유학에서 경험한 YWCA활동을 바탕으로 1922년, 한국에 YWCA창설을 주도했다. 한국YWCA와 광주YWCA 초대 총무로서 농촌운동과 애국계몽, 여성인권 향상을 위해 힘썼다. 일제 강점기 엄혹한 상황 속 민족자립교육에 앞장섰으며 치치하얼 이상촌, 정신여학교, 광주여성야학교 교사로 헌신했다. 3·1만세운동 참가와 신사참배 거부로 옥살이를 하기도 했다.
해방 후에는 일제로 인해 폐교되었던 정신여학교를 다시 세우는 등, 평생 민족교육과 여성교육을 위해 애쓰며 실천적 기독여성교육자의 삶을 살았으며, 그 공로를 인정받아 국민훈장 모란장(1972년)과 건국포장(2021년)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