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심사석조보살입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증심사석조보살입상(證心寺石造菩薩立像)은 고려시대에 만든 것으로 담양군 남면 정곡리 서봉사지(瑞峯寺址)에 있던...)
 
(Contextual Relations)
28번째 줄: 28번째 줄:
 
| [[증심사석조보살입상]] || [[현준호]] ||  ||  || 현준호가 사재를 들여 서봉사터에서 증심사로 옮겼다.
 
| [[증심사석조보살입상]] || [[현준호]] ||  ||  || 현준호가 사재를 들여 서봉사터에서 증심사로 옮겼다.
 
|-
 
|-
| [[증심사석조보살입상]] || [[고려시대]] ||  ||  || 증심사석조보살입상은 고려시대의 양식이다.
+
| [[증심사석조보살입상]] || [[강릉_한송사지_석조보살좌상]] ||  ||  || 증심사석조보살입상은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국보)처럼 높은 원통형 보관을 쓰고 있다.
 
|-
 
|-
| [[증심사석조보살입상]] || [[강릉_한송사지_석조보살좌상(국보)]] ||  ||  || 증심사석조보살입상은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국보)처럼 높은 원통형 보관을 쓰고 있다.
+
| [[증심사석조보살입상]] || [[평창_월정사_석조보살좌상]] ||  ||  || 증심사석조보살입상은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북보)처럼 높은 원통형 보관을 쓰고 있다.
 
|-
 
|-
| [[증심사석조보살입상]] || [[평창_월정사_석조보살좌상(국보)]] ||  ||  || 증심사석조보살입상은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북보)처럼 높은 원통형 보관을 쓰고 있다.
 
|-
 
| [[증심사석조보살입상]] || [[광주광역시지정유산]] ||  ||  || 1989년 광주광역시 지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
 
|}
 
|}

2024년 1월 3일 (수) 16:15 판

Definition

  • 증심사석조보살입상(證心寺石造菩薩立像)은 고려시대에 만든 것으로 담양군 남면 정곡리 서봉사지(瑞峯寺址)에 있던 것을 현준호가 사재를 들여 증심사로 옮겨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 증심사석조보살입상은 증심사오백전 남쪽에 비각 안에 모셔져 있다.
  • 증심사석조보살입상은 머리에 높은 원통형의 보관을 쓰고 있으며, 얼굴은 타원형으로 갸름하여 우아한 기품을 나타내고 있다. 원형의 대좌(臺座)는 상·중·하대석 및 지대석을 모두 갖추고 있으며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 원통형의 높은 보관을 쓰고 있는 형상은 국보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과 국보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 1989년 광주광역시 지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증심사석조보살입상 Object 증심사석조보살입상 증심사석조보살입상 證心寺石造菩薩立像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증심사석조보살입상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증심사석조보살입상.jpg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증심사석조보살입상 증심사 증심사에 증심사석조보살입상이 있다.
증심사석조보살입상 증심사오백전 증심사석조보살입상은 증심사오백전 남쪽에 있다.
증심사석조보살입상 서봉사터 담양군 남면 정곡리 서봉사터에 있었다.
증심사석조보살입상 현준호 현준호가 사재를 들여 서봉사터에서 증심사로 옮겼다.
증심사석조보살입상 강릉_한송사지_석조보살좌상 증심사석조보살입상은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국보)처럼 높은 원통형 보관을 쓰고 있다.
증심사석조보살입상 평창_월정사_석조보살좌상 증심사석조보살입상은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북보)처럼 높은 원통형 보관을 쓰고 있다.

Spatial Data

id latitude longitude address
증심사석조보살입상 35.1287374 126.9699579 광주광역시 동구 증심사길 177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증심사석조보살입상 http://aks.ai/GC60001060
해설 국가문화유산포털 증심사석조보살입상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sngl=Y&ccbaCpno=2112400140000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_index online_resource url
논문 최원종, 「무등산 불교문화유산의 현황과 활용방안」, 전남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21. Riss https://www.riss.kr/link?id=T15793146
단행본 황호균‧김희태, 『광주학 문헌과 현장 이야기』, 광주광역시문화원연합회, 2020. Riss https://www.riss.kr/link?id=M15739959
단행본 박선홍, 『무등산』, 광주문화재단, 2013. Riss https://www.riss.kr/link?id=M13454317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