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화문화마을 실습1 린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2번째 줄: 2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시화문화마을|시화문화마을(時畵文化마을)]]은 각화동 일대에 주민참여로 조성된 전국 최초의 문화마을이다. 지난 2000년 쓰레기장이었던 마을 곳곳에 꽃과 나무를 심기 시작하면서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
*[[시화문화마을|시화문화마을(詩畵文化마을)]]은 각화동 일대에 주민참여로 조성된 전국 최초의 문화마을이다. 지난 2000년 쓰레기장이었던 마을 곳곳에 꽃과 나무를 심기 시작하면서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원래 마을 이름은 감나무가 많다고 해서 '시화(枾花)마을'이었으나, 문화마을로 조성하고 나서 '시화(詩畵)마을이 되어 마을 입구에 '시화(時畵)가_있는_문화(文化)마을'이라고 크게 안내하고 있다.
 
*원래 마을 이름은 감나무가 많다고 해서 '시화(枾花)마을'이었으나, 문화마을로 조성하고 나서 '시화(詩畵)마을이 되어 마을 입구에 '시화(時畵)가_있는_문화(文化)마을'이라고 크게 안내하고 있다.
 
*[[시화문화마을]]은 주민참여형 마을 만들기의 상징처럼 여겨져 전국 각지에서 벤치마킹 하기 위해 현장답사를 오고 있다.
 
*[[시화문화마을]]은 주민참여형 마을 만들기의 상징처럼 여겨져 전국 각지에서 벤치마킹 하기 위해 현장답사를 오고 있다.

2023년 10월 24일 (화) 13:03 판


Definition

  • 김홍운, "무등산(無等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