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창만드리풍년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Spatial Data) |
(→Spatial Data) |
||
44번째 줄: | 44번째 줄: | ||
! id || latitude || longitude || altitude || address | ! id || latitude || longitude || altitude || address | ||
|- | |- | ||
− | | [[서창한옥문화관]] || 35. | + | | [[서창한옥문화관]] || 35.1152649 || 126.8301627 || 67.01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서구 눌재로 420 559-1 |
|- | |- | ||
|} | |} | ||
※ 참고: [https://latlongdata.com/elevation/ 지리 좌표 검색] | ※ 참고: [https://latlongdata.com/elevation/ 지리 좌표 검색] | ||
− | {{구글지도 | 위도=35. | + | {{구글지도 | 위도=35.1152649 | 경도=126.8301627 | 줌=16 }} |
==Web Resource== | ==Web Resource== |
2022년 7월 19일 (화) 16:46 판
Definition
광주광역시 서구 서창동엔 서구8경 중 하나인 서창들녘 낙조, 가을에는 서창들녘 억새축제, 그리고 옛이야기를 담고 있는 서창나루 등 자랑스런 문화자원이 많다. 그중 주민이 주인이 되어 마음껏 즐기며 한해 풍년을 기원하는 만드리 풍년제가 으뜸이다. 만드리 풍년제는 7월 말 (백중 무렵) 한 해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며 김매기를 재현하는 행사로, 서창 발산마을 등에서 구전되어온 노동요의 명맥을 잇고자 지난 1999년부터 이를 복원해 이어왔다. 축제는 세동마을 앞 들녘의 김매기 작업으로부터 시작해, 김매기를 끝나면 깃발과 풍물패를 앞세우고 황소의 등을 타고 논 주위를 한 바퀴를 돌며 풍년을 기원한 후 마을로 돌아와 온갖 음식을 나눠 먹으며 끝난다. 행사가 진행되는 동안 서창한옥문화관 주변에서는 한복 입기, 떡메치기, 먹거리장터 등 다양한 부대행사가 펼쳐진다. 만드리는 맨 마지막으로 논에 자란 잡초를 제거하기 때문에 ‘만물’ 이라고 하는 ‘만도리’ 에서 유래한 말이라고 한다. [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서창만드리풍년제 | Event | 행사 | 서창만드리풍년제 | 서창만드리풍년제 | 西倉만드리豐年祭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서창만드리풍년제 |
※ 참고: Ontology:EKC_광주:Class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만드리풍년제 | 서창동 | 지역 | |
만드리풍년제 | 서창한옥문화관 | 축제장소 | |
서창동 | 서창들녘 억새축제 | 지역축제 | |
서구8경 | 서창들녘 낙조 | 4경 | |
서창동 | 서창나루 | 볼거리 |
※ 참고: Ontology:EKC_광주:Relation
Spatial Data
id | latitude | longitude | altitude | address |
---|---|---|---|---|
서창한옥문화관 | 35.1152649 | 126.8301627 | 67.01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서구 눌재로 420 559-1 |
※ 참고: 지리 좌표 검색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참고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 20회 서창만드리풍년제 | 만드리풍년제 | |
참고 | 지역N문화 | 절골, 서창 만드리이야기 | 만드리이야기 | |
참고 | 광주광역시 서구청 | 만드리풍년제 | 만드리풍년제 |
- type: 해설, 참고, 원문,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단행본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광주역사문화자원 100』, 심미안, 2016. | 광주역사문화 |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 참고: RISS 논문 검색
Notes
Semantic Network Graph
- sample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