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림동 나무전거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혼수의 거리는 한복점과 금은방 등이 밀집해 있는 충장로 4~5가 지역의 별칭이다. 오랫동안 '한복의...)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동명동_카페거리" 문자열을 "[[동리단길카페거리" 문자열로)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3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혼수의 거리|혼수의 거리]]는 한복점과 금은방 등이 밀집해 있는 [[충장로]] 4~5가 지역의 별칭이다. 오랫동안 '한복의 거리'라고 불리다가 2018년 이후부터 '혼수의 거리'라는 새 이름으로 바뀌었다.
+
*[[계림동_나무전거리]]는 '땔나무'를 파는 거리라 하여 이름 지어진 거리다. 전(廛)은 본래 가게라는 뜻이지만 여기서는 (땔나무 파는) 노점상을 뜻한다. <br/>1940년 전후 무등산에서 나무를 해서 땔감용 나무를 팔던 지게꾼과 땔감을 사러 나온 손님들로 붐비는 [[땔감 장]]이었다. <br/>
*일제강점기가 시작되던 1910년대, 일본인들은 충장로 1~3가 지역에 상가를 형성하였다. 조선의 상인들은 이보다 조금 늦은 1920년대부터 충장로 4~5가에서 장사를 시작하였다. 1950년대 이후에는 한복점, 금은방 뿐만 아니라 양장점, 양복점, 제화점 등이 연이어 들어섰다. 이곳이 이른바 호남 최대의 번화가로서 찬란한 명성을 구가했던 때는 1970~80년대였다. 광주는 물론 전남, 전북, 제주도에서도 고객들이 찾아올 정도로 번성하였다. 당시에 결혼을 앞둔 예비 신랑신부들은 부모님들과 함께 반드시 이곳을 찾았다.
+
*[[계림동_나무전거리]][[계림_오거리|계림 오거리]]에서 산수동 쪽으로 올라가는 350m에 달하는 길을 말하는데, 나무전거리에서 가장 오래된 [[대림 목공소]]를 비롯하여, [[계림 목공소]], [[대송_문집|대송 문집]] 목재상과 문집, 인테리어 가게 등이 들어서 있다. 나무전거리의 시작을 알리는 조형물 옆에는 옛 철도 분기점이라는 표지석이 있는데 계림오거리로 광주선 철도가 지나갔다는 것을 알 수 있다.<br/>
*그러나, 1990년대 말~2000년 무렵부터 상황이 서서히 악화되기 시작하였다. 가까운 곳에 있었던 시외버스터미널을 시작으로 광주광역시청(2004)도, [[구 전남도청]](2005)도 차례로 다른 곳으로 옮겨갔다. 그나마 고정적인 혼수 수요 고객도 [[양동시장]], [[금호월드]]와 나눠야 했다. 이에 광주 동구청과 상인연합회는 부흥을 위해 적극 협조하기 시작했고, 한복 상인들도 맞춤보다는 대여에 중점을 두고, 젊은 디자이너들의 현대적인 디자인을 흡수하는 변신에 노력을 기울였다. 2018년 광주 동구청은 충장로 4~5가 구 '한복의 거리'를 새 이름 '혼수의 거리'로 칭하고 상징 조형물(Go,Go,Go)도 새롭게 설치하였다.  
+
*나무와 사람이 통하는 길이라는 의미를 담은 [[계림동_나무전거리]]는 [[계림동_헌책방거리]]와 [[대인시장]], [[동리단길카페거리|동명동 카페거리]]이어주는 거리이기도 하다.
*그동안 이곳에서 한복점을 비롯하여 많은 점포가 사라졌지만, 살아남은 곳은 창업주 2세대, 3세대가 이어받아, 30년 이상 영업 중인 [[노포]] 는 60여 개에 이른다. 이들 가게 앞 보도에는 연혁이 새겨진 동판이 설치되어, 평생 또는 대를 이어 한 길을 걸어온 장인들의 역사를 잘 보여 주고 있다. 충장 상인회는 2020년에 『충장로 오래된 가게-충장로를 지켜온 상인들의 이야기』(임인자, 황지운 집필, 소년의서 발행)발행하였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4번째 줄: 13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혼수의_거리]] || Place || 장소 ||특색 거리 || 혼수의 거리 || 혼수의 거리 ||  ||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혼수의_거리 ||  
+
| [[계림동_나무전거리]] || Place || 생활 ||  || 계림동_나무전거리 || 계림동_나무전거리 ||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계림동_나무전거리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e/e7/계림동_나무전거리2.jpeg
 
|-
 
|-
 
|}
 
|}
23번째 줄: 22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혼수의_거리]] || [[충장로4가]]  ||  || 위치  
+
| [[계림동_나무전거리]] || [[계림_오거리]]  ||  || 위치  
 
|-
 
|-
| [[혼수의_거리]] || [[충장로5가]]  ||  || 위치
+
| [[계림동_나무전거리]] || [[계림목공소]]  ||  || 나무전거리의 가게
 
|-
 
|-
| [[혼수의_거리]] || [[GO,GO,GO]]  ||  || 상징조형물 
+
| [[계림동_나무전거리]] || [[대림목공소]]  ||  || 나무전거리의 가게
 
|-
 
|-
| [[혼수의_거리]] || [[광주_동구청]]  ||  || 관할관청 
+
| [[계림동_나무전거리]] || [[대송문집]]  ||  || 나무전거리의 가게
 
|-
 
|-
| [[혼수의_거리]] || [[양동시장]]  ||  || 혼수 시장의 경쟁 관계
+
| [[계림동_나무전거리]] || [[땔감장]]  ||  || 땔나무를 팔았다는 나무전거리의 유래 
 
|-
 
|-
| [[혼수의_거리]] || [[금호월드]]  ||   ||  혼수 시장의 경쟁 관계
+
| [[계림동_나무전거리]] || [[계림동_헌책방거리]]  || || 이어지는 길  
 
|-
 
|-
| [[혼수의_거리]] || [[한복점]]  ||  || 판매보다는 대여 위주로 변화 시도
+
| [[계림동_나무전거리]] || [[대인시장]]  ||  || 이어지는 길 
 
|-
 
|-
| [[혼수의_거리]] || [[노포]]  ||   || 대를 이어 영업하는 오래된 가게
+
| [[계림동_나무전거리]] || [[동리단길카페거리]]  || || 이어지는 길 
 
|-
 
|-
| [[혼수의_거리]] || [[충장_22]]  ||   || 문화 예술 창작을 위한 청년들 공간
+
|}
 +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target||relation
 
|-
 
|-
| [[혼수의_거리]] || [[충장로_오래된_가게-충장로를_지켜온_상인들의_이야기]] || || 충장 상인회가 출간한 책
+
|[[계림동_나무전거리]]||[[계림_오거리]]||isLocatedIn
 +
|-
 +
|[[계림동_나무전거리]]||[[계림동_헌책방거리]]||isNear
 +
|-
 +
|[[계림동_나무전거리]]||[[대인시장]]||isNear
 +
|-
 +
|[[계림동_나무전거리]]||[[동리단길카페거리]]||isNear
 +
|-
 +
|[[계림동_나무전거리]]||[[땔감장]]||hasOldName
 +
|-
 +
|[[계림목공소]]||[[계림동_나무전거리]]||isLocatedIn
 +
|-
 +
|[[대림목공소]]||[[계림동_나무전거리]]||isLocatedIn
 +
|-
 +
|[[대송문집]]||[[계림동_나무전거리]]||isLocatedIn
 
|-
 
|-
 
|}
 
|}
48번째 줄: 64번째 줄: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id || latitude || longitude || altitude || address
+
! id || latitude || longitude || address
 
|-
 
|-
| [[혼수의 거리]] || 35.151740 || 126.911198  ||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동구 충장로 4,5가
+
| [[계림동_나무전거리]] || 35.154407977629496 || 126.92194596110149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동구 경양로 298
 
|-
 
|-
 
|}
 
|}
  
{{구글지도 | 위도=35.151740 | 경도=126.911198 | 줌=16 }}
+
{{구글지도 | 위도=35.154407977629496 | 경도=126.92194596110149| 줌=16 }}
  
 
==Web Resource==
 
==Web Resource==
61번째 줄: 77번째 줄: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 참고 || 서울매일 || 광주 충장로 한복의 거리 꽃단장(2016-06-09, 정현택 기자) ||  || http://www.s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228385
+
| 해설 || 광주역사문화자원스토리텔링 || 나무전거리 ||  || http://gjstory.or.kr/sub.html?pid=11&formtype=view&code=39
 
|-
 
|-
| 참고 || 조선일보 || "영화여 다시 한번!"(2020-07-25, 권경안 기자) || 광주 충장로엔 노포가 즐비하다.||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25/2020072500462.html
+
| 참고 || 광주드림 ||나무로 불쏘시게 하던 그 시절 (2022-02-14, 조광철 기자) || || https://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612933
 
|-
 
|-
| 영상 || 영상뉴스무등일보 || 광주新상권을 가다<6>(2018-08-22, 김영솔 기자) || 동구 충장로,금남로 일대||https://www.youtube.com/watch?v=hXKGGs7py6g
+
| 동영상 || WITH동구 || 광주 동구 나무전거리를 아시나요? ||||https://www.youtube.com/watch?v=pT1mziHZvhI
 
|-
 
|-
| 참고 || 전남매일 || 충장로 4,5가 '명가골목'으로 거듭난다(2022-03-28, 최환준 기자)|| 명성회복 기대 || http://www.jndn.com/article.php?aid=1648460568333756005
+
| 사진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 계림동_나무전거리|| 나무전거리 시작을 알리는 조형물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파일:계림동_나무전거리1.jpeg
 
|-
 
|-
| 참고 || 광주동구청홈페이지 홍보실 || 동구 충장로 4,5가 '혼수의 거리'(2018-4-11) || 상징조형물 제막 || http://www.donggu.kr/menu.es?mid=a10504023001
+
| 사진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 계림동_나무전거리 ||나무전거리의 역사를 알려주는 조형물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파일:계림동_나무전거리2.jpeg
 
|-
 
|-
| 영상 || 광주MBC || 충장로 혼수의 거리(2020-10-15) || 한복도 뉴트로 시대 || https://www.youtube.com/watch?v=GqGbYc5-lLQ
+
| 사진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 계림동_나무전거리 || 나무전거리의 가게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파일:계림동_나무전거리3.jpeg
 
|-
 
|-
| 영상 || 광주KBS || 한복,다시 새롭게(2019-01-04) || 명장 정인순 || https://www.youtube.com/watch?v=2cZME-w5M4A
+
| 사진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계림동_나무전거리 || 나무전거리의 가게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파일:계림동_나무전거리4.jpeg
|-
 
| 영상 || 유튜브 '노잼광주' || 알고 있으면 쓸모 있는 광주의 거리들(2022-06-24, 홍진실) ||  || https://www.youtube.com/watch?v=7EGUJXexXNQ
 
|-
 
|}
 
 
 
==Bibliography==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단행본 ||임인자,황지운『충장로 오래된 가게-충장로를 지켜온 상인들의 이야기』, 소년의 서, 2020 || www.yna.co.kr/ naver ||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0072014280001611
 
 
|-
 
|-
 +
|
 
|}
 
|}
  
 
==Semantic Network Graph==
 
==Semantic Network Graph==
  
 +
<html>
 +
<iframe width="90%" height="400px" src="https://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gwangju&project=gwangju&key=계림동_나무전거리"></iframe>
 +
<br/>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s://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gwangju&project=gwangju&key=계림동_나무전거리'">
 +
</html>
  
 
+
[[분류:Place]] [[분류:김순정]] [[분류:로]]
[[분류:Place]] [[분류:김순정]]
 

2024년 1월 25일 (목) 11:19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계림동_나무전거리는 '땔나무'를 파는 거리라 하여 이름 지어진 거리다. 전(廛)은 본래 가게라는 뜻이지만 여기서는 (땔나무 파는) 노점상을 뜻한다.
    1940년 전후 무등산에서 나무를 해서 땔감용 나무를 팔던 지게꾼과 땔감을 사러 나온 손님들로 붐비는 땔감 장이었다.
  • 계림동_나무전거리계림 오거리에서 산수동 쪽으로 올라가는 350m에 달하는 길을 말하는데, 나무전거리에서 가장 오래된 대림 목공소를 비롯하여, 계림 목공소, 대송 문집 등 목재상과 문집, 인테리어 가게 등이 들어서 있다. 나무전거리의 시작을 알리는 조형물 옆에는 옛 철도 분기점이라는 표지석이 있는데 계림오거리로 광주선 철도가 지나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나무와 사람이 통하는 길이라는 의미를 담은 계림동_나무전거리계림동_헌책방거리대인시장, 동명동 카페거리를 이어주는 거리이기도 하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계림동_나무전거리 Place 생활 계림동_나무전거리 계림동_나무전거리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계림동_나무전거리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e/e7/계림동_나무전거리2.jpeg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계림동_나무전거리 계림_오거리 위치
계림동_나무전거리 계림목공소 나무전거리의 가게
계림동_나무전거리 대림목공소 나무전거리의 가게
계림동_나무전거리 대송문집 나무전거리의 가게
계림동_나무전거리 땔감장 땔나무를 팔았다는 나무전거리의 유래
계림동_나무전거리 계림동_헌책방거리 이어지는 길
계림동_나무전거리 대인시장 이어지는 길
계림동_나무전거리 동리단길카페거리 이어지는 길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source target relation
계림동_나무전거리 계림_오거리 isLocatedIn
계림동_나무전거리 계림동_헌책방거리 isNear
계림동_나무전거리 대인시장 isNear
계림동_나무전거리 동리단길카페거리 isNear
계림동_나무전거리 땔감장 hasOldName
계림목공소 계림동_나무전거리 isLocatedIn
대림목공소 계림동_나무전거리 isLocatedIn
대송문집 계림동_나무전거리 isLocatedIn

Spatial Data

id latitude longitude address
계림동_나무전거리 35.154407977629496 126.92194596110149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동구 경양로 298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해설 광주역사문화자원스토리텔링 나무전거리 http://gjstory.or.kr/sub.html?pid=11&formtype=view&code=39
참고 광주드림 나무로 불쏘시게 하던 그 시절 (2022-02-14, 조광철 기자) https://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612933
동영상 WITH동구 광주 동구 나무전거리를 아시나요? https://www.youtube.com/watch?v=pT1mziHZvhI
사진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계림동_나무전거리 나무전거리 시작을 알리는 조형물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파일:계림동_나무전거리1.jpeg
사진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계림동_나무전거리 나무전거리의 역사를 알려주는 조형물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파일:계림동_나무전거리2.jpeg
사진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계림동_나무전거리 나무전거리의 가게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파일:계림동_나무전거리3.jpeg
사진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계림동_나무전거리 나무전거리의 가게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파일:계림동_나무전거리4.jpeg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