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양방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 유림숲은 옛날 광주읍성의 북문 쪽( 현 충장로 5가와 광주제일고등학교 인근)에서 현재의 누문동, 유...)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광주군사 (光州郡史)" 문자열을 "광주군사(光州郡史)" 문자열로)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6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__NOTOC__
 
__NOTOC__
 
==Definition==
 
==Definition==
* [[유림숲|유림숲]]은 옛날 광주읍성의 북문 쪽( 현 [[충장로]] 5가와 [[광주제일고등학교]] 인근)에서 현재의 누문동, 유동, 임동을 거쳐 [[무등경기장]] 정문 쪽까지 이어져 있던 울창한 숲과 숲길을 말한다.  
+
* [[경양방죽|경양방죽]]은 1968년 매립될 때까지 광주시 동구 계림동 일대에 있었던 인공 호수이다. 조선 세종 시기 전라도 관찰사였던 [[김방]]이 3년에 걸쳐 만들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한 편이지만, 통일신라 말기에 [[남원 부인]](견훤의 어머니)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설 등 다른 전설도 있다.
*조선 후기에 조성된 인공숲으로 추측되며, 300여 년간 광주를 숲의 고을로 지켜왔으나 1968년에 시가지 정비 계획이 추진되면서 모두 사라졌다. [[광주_태봉산]] , [[경양방죽]] 과 같은 시기에 없어졌다.
+
*주변 논밭에 필요한 농업용수를 확보하고, 홍수를 예방하기 위한 수리 시설이었으며, 현재 광주 서구 풍암동에 있는 [[풍암호수공원]]과 비슷한 크기였다고 한다. 호수 안에는 작은 섬이 2개 있었고, 주변은 버드나무, 팽나무, 억새 등 다양한 나무들이 숲길을 이루고 있었다.  
*조선은 하천의 범람을 막기 위해 둑을 쌓은 후 거기에 숲을 만들었는데, 유림숲도 중의 하나이다. 이 숲들은 수해를 방지하는 기능과 함께 바람도 막아주고 전시에는 수비를 용이하게 해주는 역할까지 해주었다. 광주 사람들은 가뭄이 들면 이 숲에서 기우제를 지냈으며, 광주에서 행여나 좋은 기운이 빠져 나가는 것을 유림숲이 막아준다고 믿었다. 처음에는 숲의 이름처럼 버드나무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세월이 흐르면서 나무의 종류도 80여 종으로 차차 다양해지고 규모도 울창해졌다.  
+
*무려 500년이 넘게 광주를 아름다운 호수 마을로 만들어주었던 경양방죽은 일제강점기에 약 3분의 2가 사라졌다(1차 매립).
*옛날에는 광주에서 한양으로 올라갈 때 이 길을 거쳐 장성을 지나 상경하였고, 반대로 한양에서 광주읍성으로 들어올 때는 반드시 이 숲 길을 지나야 했다. 광주에 부임한 지방 수령들은 여기에서 사슴, 꿩, 호랑이 등을 사냥하기도 했는데, 입을 모아 유림숲의 아름다움과 풍성함을 칭송했다고 한다.
+
*1935년부터 당시 전남 지사였던 [[야지마 스기조]]를 중심으로, 호수를 매립하여 일본인 거주 지역을 만들려는 계획이 세워졌고, [[최흥종]] 목사가 주축이 된 '[[경양방죽_매립_반대_투쟁위원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1938~1939년에 호수의 약 70%가 매립지로 변하였다. 호수 북쪽에 있던 산을 허물어 흙으로 매립하였다.  
*유림숲이 사라진 자리에는 도로, 병원, 학교, 공장 시설, 주택가 등이 들어섰고, 현재는 [[유동]], [[임동]] 등 동네 이름에서만 그 흔적을 엿볼 수 있다.
+
*작아진 경양방죽은 해방과 6.25전쟁 이후 무섭게 늘어나는 도시 인구 때문에 점차 쓰레기가 넘쳐 나는 고인 물이 되어갔고, 1968년 광주시가 추진한 광주 시가지 정비 및 확장 과정에서 완전히 사라졌다(2차 매립). 그 자리에 [[옛_광주시청]](1969~2004)(현 홈플러스 광주계림점)이 들어섰고, 도로와 주택지가 만들어졌다. 이 2차 매립 때 바로 [[광주_태봉산]]을 허물어 생긴 흙을 사용했고, 매립지를 매각하여 생긴 수익은 [[금남로]]를 8차선으로 확장하는데 사용되었다.
 +
*효율을 앞세운 근대화와 도시 행정은 넓어진 도로와 택지를 얻은 대신 수백 년 동안 광주를 지켰던 태봉산과 경양방죽을 포기했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2번째 줄: 13번째 줄:
 
! style="width: 100px" | id||class||groupName||partName||label||hangeul||hanja||english||infoUrl||iconUrl
 
! style="width: 100px" | id||class||groupName||partName||label||hangeul||hanja||english||infoUrl||iconUrl
 
|-
 
|-
|[[유림숲 ]]|| Place ||자연|| || 유림숲(柳林) )||유림숲|||柳林 || Willow Forest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유림숲 ||
+
|[[경양방죽 ]]|| Place ||자연|| 호수 || 경양방죽(景陽防築)||경양방죽|||(景陽防築) || GyeongYang Embankment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경양방죽 ||http://gjarchive.kr/photo-archives/view/collections/photo/cp0601/1940-cp0601-0037.jpg
 
|-
 
|-
 
|}
 
|}
20번째 줄: 21번째 줄:
 
!source||target||relation||attribute
 
!source||target||relation||attribute
 
|-
 
|-
|[[유림숲]]||[[유동]]|| || 동네 이름의 유래
+
|[[경양방죽]]||[[계림동]]|| || 원래 방죽이 있던 위치
 
|-
 
|-
|[[유림숲]]||[[임동]]|| || 동네 이름의 유래
+
|[[경양방죽]]||[[김방]]|| || 조선 세종 때 경양방죽을 만들었다는 전라도 관찰사
 
|-
 
|-
|[[유림숲]]||[[버드리]]|| || 유림숲길의 별칭
+
|[[경양방죽]]||[[정약용]]|| || 경양방죽에 대한 시를 씀
 
|-
 
|-
|[[유림숲]]||[[버드나무]]|| || 주류 수목
+
|[[경양방죽]]||[[경양의_못_가를_지나며]]|| || 경양방죽의 아름다움을 표현한 시(1779)
 
|-
 
|-
|[[유림숲]]||[[공북문]]|| || 숲의 시작점
+
|[[경양방죽]]||[[광주_태봉산]]|| || 2차 매립을 위해 허물었던 산
 
|-
 
|-
|[[유림숲]]||[[제방림]]|| || 숲 조성 목적
+
|[[경양방죽]]||[[금남로]]|| ||매립지 매각 수익으로 확장된 도로
 
|-
 
|-
|[[유림숲]]||[[송종면]]|| ||1900년대 유림숲 보존 주장한 광주군수
+
|[[경양방죽]]||[[최흥종]]|| || 1차 매립때 반대 운동을 이끌었던 인물(1937~1939)
 
|-
 
|-
|[[유림숲]]|| [[입탑보]] || || 관련 수리 시설
+
|[[경양방죽]]||[[경양방죽_매립_반대_투쟁위원회]]|| || 최흥종이 중심이 되어 만들어진 매립 반대 모임
 
|-
 
|-
|[[유림숲]]||[[조정만]]|| || 1708년 광주목사, 숲에서의 사냥 과정을 시로 씀
+
|[[경양방죽]]||[[광여도]] || || 경양방죽이 표기된 지도(1800년경)
 
|-
 
|-
|[[유림숲]]||[[양경지]]|| || 유림숲에서의 사냥을 시로 씀
+
|[[경양방죽]]||[[해동지도]]|| || 경양방죽이 표기된 지도(1750년대 초)
 
|-
 
|-
|[[유림숲]]||[[광주시가지정리계획]]|| || 1968년 유림숲을 없애고 도로, 택지 등을 만든 도시 계획
+
|[[경양방죽]]||[[경양역]]|| || 고려~조선말기 광주읍성 서쪽에 있던 역(호수 이름의 유래)
 
|-
 
|-
|[[유림숲]]||[[광주_태봉산]] || || 같은 시기에 없어짐
+
|[[경양방죽]]||[[추억이_깃든_경양마을_만들기_사업]] || || 계림1동 주민들이 추진하는 사업
 
|-
 
|-
|[[유림숲]]||[[경양방죽]]|| || 같은 시기에 없어짐
+
|[[경양방죽]]||[[기원2600년기념사업]]|| || 일본이 1935~1940년 시기에 추진한 일본 건국 기념 사업. 경양방죽 매립도 포함.
 
|-
 
|-
|[[유림숲]]||[[국도1호선]]|| || 20세기초에 만들어진 국도 1호선의 일부에 속함
+
|[[경양방죽]]||[[황성신문]]|| || 경양방죽의 축조 시기에 대한 전설 게재된 신문(1902)
 
|-
 
|-
|[[유림숲]]||[[기우제]] || || 가뭄때 유림숲에서 지냄
+
|[[경양방죽]]||[[ 광주군사]] (光州郡史)|| || 경양방죽 김방 축조설의 뒷받침이 된 책(1933)
 +
|-
 +
|}
 +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target||relation
 +
|-
 +
|[[경양방죽]]||[[경양방죽_ 축조_시기에_대한_전설]]||isMentionedIn
 +
|-
 +
|[[경양방죽]]||[[경양방죽_김방_축조설]]||isRelatedTo
 +
|-
 +
|[[경양방죽]]||[[경양방죽_매립_반대_투쟁위원회]]||isRelatedTo
 +
|-
 +
|[[경양방죽]]||[[경양역]]||isNamedAfter
 +
|-
 +
|[[경양방죽]]||[[계림동]]||isPreviouslySituatedOn
 +
|-
 +
|[[경양방죽]]||[[광여도]]||isRelatedTo
 +
|-
 +
|[[경양방죽]]||[[광주_태봉산]]||isRelatedTo
 +
|-
 +
|[[경양방죽]]||[[기원2600년기념사업]]||isVictimOf
 +
|-
 +
|[[경양방죽]]||[[김방]]||founder
 +
|-
 +
|[[경양방죽]]||[[시_경양의_못_가를_지나며]]||isDepictedIn
 +
|-
 +
|[[경양방죽]]||[[추억이_깃든_경양마을_만들기_사업]]||isRelatedTo
 +
|-
 +
|[[경양방죽]]||[[해동지도]]||isRelatedTo
 +
|-
 +
|[[경양방죽_ 축조_시기에_대한_전설]]||[[황성신문]]||isPostedIn
 +
|-
 +
|[[경양방죽_김방_축조설]]||[[광주군사(光州郡史)]]||isMentionedIn
 +
|-
 +
|[[시_경양의_못_가를_지나며]]||[[정약용]]||creator
 +
|-
 +
|[[최흥종]]||[[경양방죽_매립_반대_투쟁위원회]]||leads
 
|-
 
|-
 
|}
 
|}
54번째 줄: 92번째 줄:
 
== Spatial Data ==
 
== Spatial Data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id||위도||경도||고도||주소
+
! id || latitude || longitude || address
 
|-
 
|-
|유림숲||35.159720 ||126.900750 || || 광주광역시 북구 태봉로, 서림로 인근
+
|경양방죽||35.161430 ||126.916509 || 광주광역시 동구 무등로 314
 
|-
 
|-
|}{{구글지도 | 위도=35.159720 | 경도= 126.900750 |줌=16}}
+
|}{{구글지도 | 위도=35.161430 | 경도= 126.916509 |줌=16}}
  
 
==Web Resource==
 
==Web Resource==
64번째 줄: 102번째 줄:
 
!type||resource||title||description||url
 
!type||resource||title||description||url
 
|-
 
|-
|해설||광주광역시 시청각자료실||유림숲 |||| http://gjarchive.kr/cp05/3716
+
|해설||위키백과||경양방죽 |||| https://ko.wikipedia.org/wiki/경양방죽
 +
|-
 +
|해설||인문360 사이트 || 경양방죽(2019-11-14, 김지원) ||그 산과 호수가 정말 거기 있었을까? || https://inmun360.culture.go.kr/content/382.do?mode=view&cid=2366000
 +
|-
 +
|해설 || 광주역사문화자원 스토리텔링 ||경양방죽 |||| http://gjstory.or.kr/sub.html?pid=121
 +
|-
 +
|참고||광주드림 || [광주갈피갈피] 경양방죽이 간직한 비밀(2016-06-21, 조광철 학예연구사-현재 광주역사민속박물관 학예연구실장) ||||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473895
 +
|-
 +
|참고||광주드림|| [광주갈피갈피] 경양방죽, 역사와 추억도 함께 파묻히고(2020-07-21, 조광철)||||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601266
 
|-
 
|-
|해설||광주광역시 서구 문화원 빛고을 문화 ||유림숲 |||| http://www.gjsgcc.or.kr/ko/60?query=유림숲
+
|참고||광주일보 || 1930년대 물길 덮어 도로, 주거지로..개발에 묻힌 '물의 도시'(2012-05-16, 윤현석 기자) |||| www.kwangju.co.kr/article.php?aid=1337094000467949188
 
|-
 
|-
|해설 || 광주역사문화자원 스토리텔링 ||유림숲 |||| http://gjstory.or.kr/sub.html?pid=115
+
|참고||광주일보 || 경양방죽의 추억(2020-03-30, 박석무 교수) |||| www.kwangju.co.kr/article.php?aid=1585494000692428078
 
|-
 
|-
|참고||광주드림 || [광주갈피갈피] '유동,'임동' 지명만 남기고 숲은 사라져(2004-11-30, 조광철 학예연구사-현재 광주역사민속박물관 학예연구실장) ||||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331879
+
|참고||뉴스포털1 || 광주이야기-경양방죽(2015-06-05, 정의행 단장) |||| http://www.civilreport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8843
 
|-
 
|-
|참고||광주드림|| [광주갈피갈피] 버드나무 울창했던 유림숲(2007-04-08, 조광철)||||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363097
+
|참고||광주광역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 경양방죽이야기1~3(2014-06-23,07-10,10-10, 윤희철 부장) |||| http://greengj21.or.kr/contents/board/default/view.php?top_menu=board&menu=10&sub_menu=&bbs_uid=4575
 
|-
 
|-
|참고||광주드림 || [풍경+생각] 유림숲을 꿈꾼다.(2008-08-11, 조선 기자) |||| 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388877
+
|동영상||광주MBC || 남도는 깊다:김방#경양방죽(2014-07-09) |||| https://www.youtube.com/watch?v=WkJNafcR0As
 
|-
 
|-
|참고||광주드림 || [광주갈피갈피] 아득한 얘기로 전해지는 숲(2009-08-12, 조광철) |||| 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406941
+
|동영상||지역N문화 || 경양방죽에 얽힌 설화(2021-02-04) |||| https://www.nculture.org/ton/localToonDetail.do?contentId=11025
 
|-
 
|-
|참고||광주드림 || [광주갈피갈피] 광주도 '관방제림'같은 숲이 있었다.(2012-05-22, 조광철) |||| 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439688
+
|동영상||유튜브 || [입문학수다#47] 사라진 호수 이야기 - 광주 경양호(2022-11-19) |||| https://www.youtube.com/embed/K1mhslyXHEU
 
|-
 
|-
|참고||광주드림 || [광주갈피갈피] "광주 원님 어디를 가나 입만 뻥긋하면 유림숲 자랑"(2022-05-11, 조광철) |||| 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614500
+
|사진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광주인문스토리플랫폼사업단]||경양방죽||경양방죽-4.19기념관_버스정류장에_부착된_설명||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daidong1/경양방죽-4.19기념관_버스정류장에_부착된_설명.JPG
 +
|-
 +
|사진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광주인문스토리플랫폼사업단]||경양방죽||경양방죽-4.19기념관_버스정류장에_부착된_안내도||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daidong1/경양방죽-4.19기념관_버스정류장에_부착된_안내도.JPG
 +
|-
 +
|사진||[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광주인문스토리플랫폼사업단]||경양방죽||옛터 비석||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daidong1/경양방죽-옛터비석.JPG
 +
|-
 +
|사진||[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광주인문스토리플랫폼사업단]||경양방죽||옛터 안내판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a/a6/경양방죽-옛터_안내.JPG
 
|-
 
|-
 
|}
 
|}
91번째 줄: 143번째 줄:
 
|-
 
|-
 
|단행본||정운채, 조광철, 정기진, 주인택, 김형주, 김지현, 『光州 : 사진으로 만나는 도시 光州의 어제와 오늘 』, 광주시립박물관, 2007.|| Riss ||http://www.riss.kr/link?id=M11195880  
 
|단행본||정운채, 조광철, 정기진, 주인택, 김형주, 김지현, 『光州 : 사진으로 만나는 도시 光州의 어제와 오늘 』, 광주시립박물관, 2007.|| Riss ||http://www.riss.kr/link?id=M11195880  
 +
|-
 +
|단행본|| 변동명, 김희태, 이옥희, 배재훈, 조상현, 『 광주 역사와 함께 한 경양방죽 그리고 태봉산』,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20-02-28. || Riss ||http://www.riss.kr/link?id=M15599360
 +
|-
 +
|단행본|| 광주광역시립민속박물관, 『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광역시립민속박물관, 2018. ||구글|| https://www.google.com/search?q=9791185499215
 
|-
 
|-
 
|}
 
|}
96번째 줄: 152번째 줄:
 
== Notes ==
 
== Notes ==
 
<references/>
 
<references/>
[[분류:Place]][[분류: 김윤희]]
+
 
 +
==Semantic Network Graph==
 +
 
 +
<html>
 +
<iframe width="90%" height="400px" src="https://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gwangju&project=gwangju&key=경양방죽"></iframe>
 +
<br/>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s://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gwangju&project=gwangju&key=경양방죽'">
 +
</html>
 +
 
 +
[[분류:Place]][[분류: 김윤희]] [[분류:가]]

2024년 3월 8일 (금) 09:02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경양방죽은 1968년 매립될 때까지 광주시 동구 계림동 일대에 있었던 인공 호수이다. 조선 세종 시기 전라도 관찰사였던 김방이 3년에 걸쳐 만들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한 편이지만, 통일신라 말기에 남원 부인(견훤의 어머니)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설 등 다른 전설도 있다.
  • 주변 논밭에 필요한 농업용수를 확보하고, 홍수를 예방하기 위한 수리 시설이었으며, 현재 광주 서구 풍암동에 있는 풍암호수공원과 비슷한 크기였다고 한다. 호수 안에는 작은 섬이 2개 있었고, 주변은 버드나무, 팽나무, 억새 등 다양한 나무들이 숲길을 이루고 있었다.
  • 무려 500년이 넘게 광주를 아름다운 호수 마을로 만들어주었던 경양방죽은 일제강점기에 약 3분의 2가 사라졌다(1차 매립).
  • 1935년부터 당시 전남 지사였던 야지마 스기조를 중심으로, 호수를 매립하여 일본인 거주 지역을 만들려는 계획이 세워졌고, 최흥종 목사가 주축이 된 '경양방죽_매립_반대_투쟁위원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1938~1939년에 호수의 약 70%가 매립지로 변하였다. 호수 북쪽에 있던 산을 허물어 그 흙으로 매립하였다.
  • 작아진 경양방죽은 해방과 6.25전쟁 이후 무섭게 늘어나는 도시 인구 때문에 점차 쓰레기가 넘쳐 나는 고인 물이 되어갔고, 1968년 광주시가 추진한 광주 시가지 정비 및 확장 과정에서 완전히 사라졌다(2차 매립). 그 자리에 옛_광주시청(1969~2004)(현 홈플러스 광주계림점)이 들어섰고, 도로와 주택지가 만들어졌다. 이 2차 매립 때 바로 광주_태봉산을 허물어 생긴 흙을 사용했고, 매립지를 매각하여 생긴 수익은 금남로를 8차선으로 확장하는데 사용되었다.
  • 효율을 앞세운 근대화와 도시 행정은 넓어진 도로와 택지를 얻은 대신 수백 년 동안 광주를 지켰던 태봉산과 경양방죽을 포기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경양방죽 Place 자연 호수 경양방죽(景陽防築) 경양방죽 (景陽防築) GyeongYang Embankment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경양방죽 http://gjarchive.kr/photo-archives/view/collections/photo/cp0601/1940-cp0601-0037.jpg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경양방죽 계림동 원래 방죽이 있던 위치
경양방죽 김방 조선 세종 때 경양방죽을 만들었다는 전라도 관찰사
경양방죽 정약용 경양방죽에 대한 시를 씀
경양방죽 경양의_못_가를_지나며 경양방죽의 아름다움을 표현한 시(1779)
경양방죽 광주_태봉산 2차 매립을 위해 허물었던 산
경양방죽 금남로 매립지 매각 수익으로 확장된 도로
경양방죽 최흥종 1차 매립때 반대 운동을 이끌었던 인물(1937~1939)
경양방죽 경양방죽_매립_반대_투쟁위원회 최흥종이 중심이 되어 만들어진 매립 반대 모임
경양방죽 광여도 경양방죽이 표기된 지도(1800년경)
경양방죽 해동지도 경양방죽이 표기된 지도(1750년대 초)
경양방죽 경양역 고려~조선말기 광주읍성 서쪽에 있던 역(호수 이름의 유래)
경양방죽 추억이_깃든_경양마을_만들기_사업 계림1동 주민들이 추진하는 사업
경양방죽 기원2600년기념사업 일본이 1935~1940년 시기에 추진한 일본 건국 기념 사업. 경양방죽 매립도 포함.
경양방죽 황성신문 경양방죽의 축조 시기에 대한 전설 게재된 신문(1902)
경양방죽 광주군사 (光州郡史) 경양방죽 김방 축조설의 뒷받침이 된 책(1933)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source target relation
경양방죽 경양방죽_ 축조_시기에_대한_전설 isMentionedIn
경양방죽 경양방죽_김방_축조설 isRelatedTo
경양방죽 경양방죽_매립_반대_투쟁위원회 isRelatedTo
경양방죽 경양역 isNamedAfter
경양방죽 계림동 isPreviouslySituatedOn
경양방죽 광여도 isRelatedTo
경양방죽 광주_태봉산 isRelatedTo
경양방죽 기원2600년기념사업 isVictimOf
경양방죽 김방 founder
경양방죽 시_경양의_못_가를_지나며 isDepictedIn
경양방죽 추억이_깃든_경양마을_만들기_사업 isRelatedTo
경양방죽 해동지도 isRelatedTo
경양방죽_ 축조_시기에_대한_전설 황성신문 isPostedIn
경양방죽_김방_축조설 광주군사(光州郡史) isMentionedIn
시_경양의_못_가를_지나며 정약용 creator
최흥종 경양방죽_매립_반대_투쟁위원회 leads

Spatial Data

id latitude longitude address
경양방죽 35.161430 126.916509 광주광역시 동구 무등로 314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 url
해설 위키백과 경양방죽 https://ko.wikipedia.org/wiki/경양방죽
해설 인문360 사이트 경양방죽(2019-11-14, 김지원) 그 산과 호수가 정말 거기 있었을까? https://inmun360.culture.go.kr/content/382.do?mode=view&cid=2366000
해설 광주역사문화자원 스토리텔링 경양방죽 http://gjstory.or.kr/sub.html?pid=121
참고 광주드림 [광주갈피갈피] 경양방죽이 간직한 비밀(2016-06-21, 조광철 학예연구사-현재 광주역사민속박물관 학예연구실장) 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473895
참고 광주드림 [광주갈피갈피] 경양방죽, 역사와 추억도 함께 파묻히고(2020-07-21, 조광철) 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601266
참고 광주일보 1930년대 물길 덮어 도로, 주거지로..개발에 묻힌 '물의 도시'(2012-05-16, 윤현석 기자) www.kwangju.co.kr/article.php?aid=1337094000467949188
참고 광주일보 경양방죽의 추억(2020-03-30, 박석무 교수) www.kwangju.co.kr/article.php?aid=1585494000692428078
참고 뉴스포털1 광주이야기-경양방죽(2015-06-05, 정의행 단장) http://www.civilreport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8843
참고 광주광역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경양방죽이야기1~3(2014-06-23,07-10,10-10, 윤희철 부장) http://greengj21.or.kr/contents/board/default/view.php?top_menu=board&menu=10&sub_menu=&bbs_uid=4575
동영상 광주MBC 남도는 깊다:김방#경양방죽(2014-07-09) https://www.youtube.com/watch?v=WkJNafcR0As
동영상 지역N문화 경양방죽에 얽힌 설화(2021-02-04) https://www.nculture.org/ton/localToonDetail.do?contentId=11025
동영상 유튜브 [입문학수다#47] 사라진 호수 이야기 - 광주 경양호(2022-11-19) https://www.youtube.com/embed/K1mhslyXHEU
사진 광주인문스토리플랫폼사업단 경양방죽 경양방죽-4.19기념관_버스정류장에_부착된_설명 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daidong1/경양방죽-4.19기념관_버스정류장에_부착된_설명.JPG
사진 광주인문스토리플랫폼사업단 경양방죽 경양방죽-4.19기념관_버스정류장에_부착된_안내도 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daidong1/경양방죽-4.19기념관_버스정류장에_부착된_안내도.JPG
사진 광주인문스토리플랫폼사업단 경양방죽 옛터 비석 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daidong1/경양방죽-옛터비석.JPG
사진 광주인문스토리플랫폼사업단 경양방죽 옛터 안내판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a/a6/경양방죽-옛터_안내.JPG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_index online_resource url
단행본 박선홍, 『광주 1백년』1, 개화기 이후 광주의 삶과 풍속, 광주광역시 광주문화재단 심미안, 2012. Riss http://www.riss.kr/link?id=M13024305
단행본 정운채, 조광철, 정기진, 주인택, 김형주, 김지현, 『光州 : 사진으로 만나는 도시 光州의 어제와 오늘 』, 광주시립박물관, 2007. Riss http://www.riss.kr/link?id=M11195880
단행본 변동명, 김희태, 이옥희, 배재훈, 조상현, 『 광주 역사와 함께 한 경양방죽 그리고 태봉산』,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20-02-28. Riss http://www.riss.kr/link?id=M15599360
단행본 광주광역시립민속박물관, 『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광역시립민속박물관, 2018. 구글 https://www.google.com/search?q=9791185499215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