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운 묘 출토 유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새 문서: 조선 중기 호남사림의 대표적 학자이며 화가였던 고운(高雲)의 무덤에서 출토된 옷과 유물들이다.이 유물들은 1986년 9월에 문중에서 묘지...) |
잔글 (J1622님이 고운 묘 출토유물 문서를 고운 묘 출토 유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공식명칭수정)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조선 중기 호남사림의 대표적 학자이며 화가였던 고운(高雲)의 무덤에서 출토된 옷과 유물들이다. | + | __NOTOC__ |
+ | ==Definition== | ||
+ | *조선 중기 호남사림의 대표적 학자이며 화가였던 고운(高雲)의 무덤에서 출토된 옷과 유물들이다.1986년 9월에 문중에서 묘지를 옮기다가 발견되었다. 옷들은 포(袍)의 일종으로 옷깃이 둥근형태의 옷인 단령 1점, 옷깃이 곧은 형태의 옷인 직령 2점, 웃옷에 치마가 연결된 형태의 옷인 철릭 6점, 직령과 비슷하나 소매가 짧은 형태의 옷인 답호 3점과 바지류 5점, 모자 2점, 버선 2점, 이불 2점 등이고, 만장(輓章)은 16점이며, 그밖에 죽은 사람의 관직·성씨 등을 기록하여 상여 앞에 들고 가는 긴 기(旗) 1점, 널 1점, 자리 1점, 칠성판 1점 등 모두 43점이다. 무덤 주인의 신분을 확실히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태도 매우 양호하여 복식사와 시대고증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2001년에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
+ | [[분류:문맥항목]] [[분류:이재열]] |
2022년 12월 1일 (목) 11:57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조선 중기 호남사림의 대표적 학자이며 화가였던 고운(高雲)의 무덤에서 출토된 옷과 유물들이다.1986년 9월에 문중에서 묘지를 옮기다가 발견되었다. 옷들은 포(袍)의 일종으로 옷깃이 둥근형태의 옷인 단령 1점, 옷깃이 곧은 형태의 옷인 직령 2점, 웃옷에 치마가 연결된 형태의 옷인 철릭 6점, 직령과 비슷하나 소매가 짧은 형태의 옷인 답호 3점과 바지류 5점, 모자 2점, 버선 2점, 이불 2점 등이고, 만장(輓章)은 16점이며, 그밖에 죽은 사람의 관직·성씨 등을 기록하여 상여 앞에 들고 가는 긴 기(旗) 1점, 널 1점, 자리 1점, 칠성판 1점 등 모두 43점이다. 무덤 주인의 신분을 확실히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태도 매우 양호하여 복식사와 시대고증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2001년에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