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9민주혁명역사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Alstjd0418 (토론 | 기여)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__NOTOC__ | |
+ | <!-- ETB_KEY_SEPARATOR --> | ||
+ | <div class="hide-txt">4.19민주혁명역사관</div> | ||
+ | {{기본정보테이블 | ||
+ | |이름=4.19민주혁명역사관 | ||
+ | |한자명=四一九民主革命歷史館 | ||
+ | |영문명= | ||
+ | |이칭= | ||
+ | |종류=시설/역사관 | ||
+ | |건립연도=2019년 | ||
+ | |소재지 (주소)=광주광역시 동구 중앙로 302 | ||
+ | |위도(latitude)=35.1588609 | ||
+ | |경도(longitude)=126.9218786 | ||
+ | |국가유산 지정/등록 여부= | ||
+ | |InfoURL=https://public.aks.ac.kr/~gwangju/wiki/index.php/4.19민주혁명역사관 | ||
+ | |iconURL=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4/4.19민주혁명역사관.jpg | ||
+ | }} | ||
− | == | + | == 정의 및 개요 == |
+ | * [[4.19민주혁명역사관]]은 2019년 동구 계림동 [[광주고등학교]] 내 건립된 역사관이다. | ||
+ | * [[4.19민주혁명역사관]]은 [[광주고등학교]] 안에 전체 면적 840㎡, 3층 규모로 구성되어 있다. | ||
+ | * [[광주고등학교]] 입구에 있는 4.19혁명 발상 기념탑 옆에 자리하고 있다. | ||
+ | === 건립 경위 === | ||
+ | * [[광주 4.19혁명]]은 1960년 3월 15일 정·부통령 선거 시 자유당 정권이 영구 집권을 위해 선거 중 부정행위를 저지른 것에 대한 반발로 광주, 마산, 서울에서 시위가 발생하였다. | ||
+ | * 광주에서는 1960년 3월 15일 12시 45분 [[금남로]] 민주당사에 모인 시민들이 상복을 입고 상여를 든 채 곡(哭) 민주주의 장송곡을 부르며 [[금남로]]를 행진하였다. | ||
+ | * [[광주 4.19혁명]]을 주도한 [[광주고등학교]]에서는 2006년 [[광주고등학교]] 인근 계림동에 4.19혁명기념관을 설립하였으나 당초 계획보다 훨씬 축소되어서 공간 부족으로 인해 이후 2014년 '4.19민주혁명발상지 역사교육관 건립추진위원회'를 결성하여 [[광주고등학교]] 내에 역사관을 건립하게 되었다. | ||
+ | * [[4.19민주혁명역사관]]은 2019년 개관하였다.<ref>각주1번</ref> | ||
+ | === 구성 === | ||
+ | * [[4.19민주혁명역사관]]은 1층 로비와 세미나실, 2층 상설전시관, 3층 사무실로 구성되어 있다. | ||
+ | * 2층 상설전시관은 인트로, 역사 코너, 체험 코너, 영상, 소통 코너로 구성되어 있다. 역사 구역에는 4.19혁명 전개 과정, 4.19 그날의 일들, 4.19민주혁명의 승리로 구분되어 사진과 신문 기사를 전시해 두었다. 체험 구역에서는 시위에 참여했던 고등학교([[광주고등학교]], [[광주공업고등학교]], [[조선대학교 부속고등학교]], [[광주상업고등학교]], [[광주농업고등학교]], [[숭일고등학교]], [[광주여자고등학교]], [[수피아여자고등학교]], [[전남여자고등학교]]) 교복들이 비치되어 있어 교복을 입고 당시의 분위기를 느끼며 사진 촬영 체험을 할 수 있다.<ref>각주2번</ref> | ||
+ | === 현황 === | ||
+ | * [[4.19민주혁명역사관]]은 평일과 토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개방하며, 공휴일에는 휴관한다. | ||
+ | * [[4.19민주혁명역사관]]은 관람료를 받지 않는다. | ||
+ | * [[4.19민주혁명역사관]]에서는 4.19 참가자 및 개인 소장 자료(교복, 교모, 가방 등 시위 참가 품목, 4.19 사상자 관련 진료 기록 등의 유품)와 [[4.19혁명]] 관련 참가 학교 및 단체 소장 사료를 수집하고 있다. | ||
+ | * [[우제길]] 화백은 4.19민주혁명역사관에 '혁명의 빛' 작품을 기증하였다. | ||
− | {|class="wikitable" style=" | + | == 관련 항목 == |
− | ! | + | {{관련항목태그 |
+ | | [[광주고등학교]] | ||
+ | | [[광주 4.19혁명]] | ||
+ | | [[우제길]] | ||
+ | }} | ||
+ | |||
+ | == Contextual Relations ==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
+ | ! style="width:15%" | Source || style="width:15%" | Target || style="width:20%" | Relation || style="width:25%" | Attribute || style="width:25%" | Remark(Note) | ||
|- | |- | ||
− | | | + | | 4.19민주혁명역사관 || 광주고등학교 || || 4.19민주혁명역사관은 광주고등학교 안에 있다. || |
|- | |- | ||
+ | | 4.19민주혁명역사관 || 광주 4.19혁명 || || 4.19민주혁명역사관과 광주 4.19혁명은 관련이 있다. || | ||
+ | |- | ||
+ | | 4.19민주혁명역사관 || 우제길 || || 4.19민주혁명역사관과 우제길은 관련이 있다. || | ||
|} | |} | ||
− | + | == 참고자료 ==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
+ | ! style="width:15%" | Type || style="width:20%" | Resource || style="width:35%" | Title/Index || style="width:30%" | URL | ||
+ | |- | ||
+ | | 웹리소스 || 광주역사문화자원스토리텔링 스토리 100 || 광주고등학교 || http://gjstory.or.kr/sub.html?pid=11&formtype=view&code=59 | ||
+ | |- | ||
+ | | 웹리소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4.19민주혁명역사관 || http://aks.ai/GC60005415 | ||
+ | |- | ||
+ | | 웹리소스 || 광주in || 광주고에 ‘4·19민주혁명 역사관’ 개관(2019-03-18, 조지연 기자) || https://www.gwangjuin.com/news/articleView.html?idxno=201863 | ||
+ | |- | ||
+ | | 웹리소스 || 시민의 소리 || ‘4.19민주혁명역사관’ 개관에 부쳐(2019-03-13, 이병열 4.19민주혁명기념사업회장) || https://www.simi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208052 | ||
+ | |- | ||
+ | | 웹리소스 || 남도일보 || 우제길 화백, 4·19민주혁명역사관에 '혁명의 빛' 작품 기증(2020-04-21, 김명식 기자) || https://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568632 | ||
+ | |- | ||
+ | | 동영상 || YouTube || [광주뉴스][리포트] 그 날의 함성 속으로 4 19 역사관 개관 || https://www.youtube.com/watch?v=vma92UEW32g | ||
+ | |} | ||
+ | |||
+ | == 동영상 == | ||
+ | {{동영상스와이퍼 | ||
+ | | https://www.youtube.com/watch?v-vma92UEW32g | ||
+ | }} | ||
+ | |||
+ | == 지도 == | ||
+ | {{구글지도 | 위도=35.1588609| 경도=126.9218786| 줌=16 }} | ||
+ | == Semantic Network Graph == | ||
+ | {{SemeanticGraph | key=4.19민주혁명역사관}} | ||
− | [[분류: | + | [[분류:핵심항목]] [[분류:Place]] [[분류:Place/2024]] [[분류:Building]] [[분류:Building/2024]] [[분류:이수경]] |
2025년 6월 13일 (금) 16:48 기준 최신판
기본 정보
이름 | 4.19민주혁명역사관 |
---|---|
한자명 | 四一九民主革命歷史館 |
종류 | 시설/역사관 |
건립연도 | 2019년 |
정의 및 개요
- 4.19민주혁명역사관은 2019년 동구 계림동 광주고등학교 내 건립된 역사관이다.
- 4.19민주혁명역사관은 광주고등학교 안에 전체 면적 840㎡, 3층 규모로 구성되어 있다.
- 광주고등학교 입구에 있는 4.19혁명 발상 기념탑 옆에 자리하고 있다.
건립 경위
- 광주 4.19혁명은 1960년 3월 15일 정·부통령 선거 시 자유당 정권이 영구 집권을 위해 선거 중 부정행위를 저지른 것에 대한 반발로 광주, 마산, 서울에서 시위가 발생하였다.
- 광주에서는 1960년 3월 15일 12시 45분 금남로 민주당사에 모인 시민들이 상복을 입고 상여를 든 채 곡(哭) 민주주의 장송곡을 부르며 금남로를 행진하였다.
- 광주 4.19혁명을 주도한 광주고등학교에서는 2006년 광주고등학교 인근 계림동에 4.19혁명기념관을 설립하였으나 당초 계획보다 훨씬 축소되어서 공간 부족으로 인해 이후 2014년 '4.19민주혁명발상지 역사교육관 건립추진위원회'를 결성하여 광주고등학교 내에 역사관을 건립하게 되었다.
- 4.19민주혁명역사관은 2019년 개관하였다.[1]
구성
- 4.19민주혁명역사관은 1층 로비와 세미나실, 2층 상설전시관, 3층 사무실로 구성되어 있다.
- 2층 상설전시관은 인트로, 역사 코너, 체험 코너, 영상, 소통 코너로 구성되어 있다. 역사 구역에는 4.19혁명 전개 과정, 4.19 그날의 일들, 4.19민주혁명의 승리로 구분되어 사진과 신문 기사를 전시해 두었다. 체험 구역에서는 시위에 참여했던 고등학교(광주고등학교, 광주공업고등학교, 조선대학교 부속고등학교, 광주상업고등학교, 광주농업고등학교, 숭일고등학교, 광주여자고등학교, 수피아여자고등학교, 전남여자고등학교) 교복들이 비치되어 있어 교복을 입고 당시의 분위기를 느끼며 사진 촬영 체험을 할 수 있다.[2]
현황
- 4.19민주혁명역사관은 평일과 토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개방하며, 공휴일에는 휴관한다.
- 4.19민주혁명역사관은 관람료를 받지 않는다.
- 4.19민주혁명역사관에서는 4.19 참가자 및 개인 소장 자료(교복, 교모, 가방 등 시위 참가 품목, 4.19 사상자 관련 진료 기록 등의 유품)와 4.19혁명 관련 참가 학교 및 단체 소장 사료를 수집하고 있다.
- 우제길 화백은 4.19민주혁명역사관에 '혁명의 빛' 작품을 기증하였다.
관련 항목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Remark(Note) |
---|---|---|---|---|
4.19민주혁명역사관 | 광주고등학교 | 4.19민주혁명역사관은 광주고등학교 안에 있다. | ||
4.19민주혁명역사관 | 광주 4.19혁명 | 4.19민주혁명역사관과 광주 4.19혁명은 관련이 있다. | ||
4.19민주혁명역사관 | 우제길 | 4.19민주혁명역사관과 우제길은 관련이 있다. |
참고자료
Type | Resource | Title/Index | URL |
---|---|---|---|
웹리소스 | 광주역사문화자원스토리텔링 스토리 100 | 광주고등학교 | http://gjstory.or.kr/sub.html?pid=11&formtype=view&code=59 |
웹리소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4.19민주혁명역사관 | http://aks.ai/GC60005415 |
웹리소스 | 광주in | 광주고에 ‘4·19민주혁명 역사관’ 개관(2019-03-18, 조지연 기자) | https://www.gwangjuin.com/news/articleView.html?idxno=201863 |
웹리소스 | 시민의 소리 | ‘4.19민주혁명역사관’ 개관에 부쳐(2019-03-13, 이병열 4.19민주혁명기념사업회장) | https://www.simi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208052 |
웹리소스 | 남도일보 | 우제길 화백, 4·19민주혁명역사관에 '혁명의 빛' 작품 기증(2020-04-21, 김명식 기자) | https://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568632 |
동영상 | YouTube | [광주뉴스][리포트] 그 날의 함성 속으로 4 19 역사관 개관 | https://www.youtube.com/watch?v=vma92UEW32g |
동영상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