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시민 대상 디지털 스토리텔링 교육(3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교육일정)
(교육 프로그램)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6번째 줄: 6번째 줄:
 
! No  !!  교육명  !!  일시  !!  주요내용  !!  비고
 
! No  !!  교육명  !!  일시  !!  주요내용  !!  비고
 
|-
 
|-
| 1 || 스토리 소개 및개별 과제 리뷰 || 2024. 04. 06. 09:00 ~ 09:50 || 1. 스토리 예시 소개 <br/>2. (참석자)소개하고 싶은 광주 문화유산 글 리뷰 & 위키페이지를 통해 그래프 보기 실습 ||  
+
| 1 || 스토리 소개 및 개별 과제 리뷰 || 2024. 04. 06. 09:00 ~ 09:50 || 1. (참석자)소개하고 싶은 광주 문화유산 글 리뷰 & 노드-릴레이션 뽑기 실습 ||  
 
|-
 
|-
 
| - || - || 2024. 04. 06. 09:50 ~ 10:00 || 휴식 || -
 
| - || - || 2024. 04. 06. 09:50 ~ 10:00 || 휴식 || -
 
|-
 
|-
| 2 || 스토리 작성 실습 || 2024. 04. 06. 10:00 ~ 10:50 || 1.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데이터로 만들기1<br/>2.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데이터로 만들기2 <br/>(엑셀로 만들기) [/workshop/2023_civil/2023_시민교육_디지털스토리텔링_3차_실습양식.xlsx 엑셀 양식 다운로드]<br/>(한글파일로 만들기)[/workshop/2023_civil/2023_시민교육_디지털스토리텔링_3차_실습양식.hwp 한글 양식 다운로드] ||  
+
| 2 || 스토리 작성 실습 || 2024. 04. 06. 10:00 ~ 10:50 || 2.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데이터로 만들기- 스토리 데이터 만들어보기 실습  ||  
 
|-
 
|-
 
| - || - || 2024. 04. 06. 10:50 ~ 11:00 || 휴식 || -
 
| - || - || 2024. 04. 06. 10:50 ~ 11:00 || 휴식 || -
 
|-
 
|-
| 3 || lst를 이용한 스토리 세트 만들기 || 2024. 04. 06. 11:00 ~ 11:350 || 1. lst를 통한 고스트 노드 해결하기 <br/>2. lst를 통해 원하는 relation 추가하기<br/>3. 네트워크 그래프 만들기[[S2023-700:스토리.lst|위키페이지에서 lst 파일 작성 샘플]]<br/>4. 내가 만든 스토리 페이지 보기 ||  
+
| 3 || lst를 이용한 스토리 세트 만들기 || 2024. 04. 06. 11:00 ~ 11:350 || 3.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데이터로 만들기- 스토리 네트워크 만들어보기 실습  <br/>4. 내가 만든 스토리 페이지 설명하기 ||  
 
|-
 
|-
 
|}
 
|}
26번째 줄: 26번째 줄:
 
* [[한중연:이효림|한중연:이효림(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연구원)]]
 
* [[한중연:이효림|한중연:이효림(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연구원)]]
  
 +
== 교육 프로그램 ==
 +
* 참여자는 3차 교육을 통해 기존에 작성하셨던 페이지에 실습 내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 기존에 편집하셨던 페이지를 메인으로 사용해주세요.
 +
* 3차 교육에서는 기존에 만든 각자의 스토리 페이지에 작성하신 관심 있는 문화유산 내용을 바탕으로 진행됩니다.
 +
* 각자 준비한 문화유산 소개 글에서 데이터로 만들 것을 뽑고, 개체와 개체 간 관계를 설정하는 실습을 합니다.
 +
* 실습을 하면서 정리된 내용을 가지고, 위키 문서를 통해 컴퓨터가 읽어 들일 수 있도록 데이터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각자 만들어드린 실습 링크 페이지에서 작업해주신 것을, 위키 문서로 만들기 위해 새로운 페이지를 생성합니다.
 +
* 새로 만드는 페이지의 이름은 S2023-70*:스토리.lst 입니다. 701~707번까지 부여 받으신 번호를 입력하시고, 스토리 뒤에 '''.lst'''를 붙이고, 해당 명칭을 검색창에 입력합니다.
 +
* 항목명이 빨간 글씨로 뜨는 것을 확인하신 후, 빨간색의 항목명을 클릭해주세요. 그럼 해당 페이지 편집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
 +
 +
=== 참가자 실습 페이지 ===
 +
* [[S2023-700:스토리]]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RH7yChc20QtcoiGC7zSINawhjq72YHsl/edit?usp=sharing&ouid=107270276049379250319&rtpof=true&sd=true 실습 미리 보기]<br/>
 +
 +
 +
* [[S2023-701:스토리]]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y3po7Q9bXBlvbzkXpsjPkbMU_N0r4CUp/edit?usp=sharing&ouid=107270276049379250319&rtpof=true&sd=true 실습 양식]
 +
* [[S2023-702:스토리]]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VSoc9_u-8b_jyL4eOwGua0CIZuiFTony/edit?usp=sharing&ouid=107270276049379250319&rtpof=true&sd=true 실습 양식]
 +
* [[S2023-703:스토리]]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wqf8mVq_-3mBs1OYsjBH3o1Bebkt74Tw/edit?usp=sharing&ouid=107270276049379250319&rtpof=true&sd=true 실습 양식]
 +
* [[S2023-704:스토리]]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agX2cJ-_Tq47OXHC_yNPoIR5Lfc3k2b/edit?usp=sharing&ouid=107270276049379250319&rtpof=true&sd=true 실습 양식]
 +
* [[S2023-705:스토리]]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ADkL-cMqkA0lQPmXzJNlpaFc7eXILjio/edit?usp=sharing&ouid=107270276049379250319&rtpof=true&sd=true 실습 양식]
 +
* [[S2023-706:스토리]]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u8jR07P6zThWG4lnYRcClG1OxQjV2-N-/edit?usp=sharing&ouid=107270276049379250319&rtpof=true&sd=true 실습 양식]
 +
* [[S2023-707:스토리]]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_agMo2J6SDnIyadQeUY8RLiqtD-mBeYD/edit?usp=sharing&ouid=107270276049379250319&rtpof=true&sd=true 실습 양식]
 +
* [[S2023-708:스토리]]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jBuZAgsqDuUvDUBK7ktppNA2E98Fi9-r/edit#gid=551744901 실습 양식]
 +
 +
 +
=== 3차 시 참가자 실습 결과물 ===
 +
* [[S2023-701:스토리.lst]]
 +
* [[S2023-702:스토리.lst]]
 +
* [[S2023-703:스토리.lst]]
 +
* [[S2023-706:스토리.lst]]
 +
* [[S2023-707:스토리.lst]]
  
== 참가자 실습 페이지 ==
 
* [[S2023-701:스토리]]
 
* [[S2023-703:스토리]]
 
* [[S2023-704:스토리]]
 
* [[S2023-705:스토리]]
 
* [[S2023-706:스토리]]
 
  
== 교육 프로그램 ==
 
* 참여자는 3차 교육을 통해 기존에 작성하셨던 페이지에 실습 내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 기존에 편집하셨던 페이지를 메인으로 사용해주세요.
 
* 3차 교육에서는 기존에 만든 각자의 스토리 페이지에 스토리 네트워크를 추가하는 교육을 진행합니다.
 
* 스토리 네트워크를 제작하기 위한 전 단계로, 각자 준비한 문화유산 소개 글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만드는 것을 실습 합니다.
 
* 데이터로 만드는 것에 대한 브레인스토밍을 하며, 이 위키에 스토리 페이지 외에 .lst 를 맨 뒤에 붙인 네트워크 그래프를 출력하기 위한 페이지를 만들어보겠습니다.
 
  
1. 데이터로 스토리 보기 - [[S2023-011b|판화와 민중운동]], [[S2023-033c|광주가 낳은 세계 최강 신궁]] <br/>
+
1. 나의 스토리 적어보기 (6~7문장으로 적어주세요)
 +
- 예시: [[S2023-700:스토리|광주 환벽당에 대한 이야기]] <br/>
  
2.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데이터로 만들기1 - 데이터로 만들고 싶은 내용을 '노드'와 '관계'로 표현해보기<br/>
+
2.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데이터로 만들기
 +
- 데이터로 만들고 싶은 내용을 '노드'와 '관계'로 표현해보기<br/>
  
예시) 페이지 상단의 읽기 | 편집 |역사 보기 → 에서 '편집'을 눌러서 아래에 해당하는 부분을 ctrl.+ C & ctrl + V 하여 자신의 페이지에 기입합니다.
+
위키에서 직접 편집할 경우) <br/>
 +
페이지 상단의 읽기 | 편집 |역사 보기 → 에서 '편집'을 눌러서 아래에 해당하는 부분을 ctrl.+ C & ctrl + V 하여 자신의 페이지에 기입합니다.
  
 
{|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 노트 !!  노드(source)  !!  노드(target)  !!  관계어(relation)  
+
!   노드(source)  !!  노드(target)  !!  관계어(relation) !! 노트
|-
 
|  ||  ||  ||
 
 
|-
 
|-
|   ||   ||   ||  
+
| 광주_환벽당_일원  || 김윤제  || ~의_중건자는_~이다. ||광주 환벽당 일원은 김윤제가 중건하였다
 
|-
 
|-
|   ||   ||   ||
+
| 광주_환벽당  || 신잠  || ~는~가_이름_붙였다  || 광주 환벽당이라는 이름은 신잠이 붙였다
|-
 
|  ||  ||  ||  
 
 
|}
 
|}
 
<br/>
 
<br/>
  
3.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데이터로 만들기2 - 엑셀로 데이터 기술해보기 [/workshop/2023_civil/2023_시민교육_디지털스토리텔링_3차_실습양식.xlsx 엑셀 양식 다운로드]<br/>
+
3.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데이터로 만들기2 - lst 형식의 파일을 만들기<br/>
4.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데이터로 만들기3 - lst 형식의 파일을 만들고, 위키문서로 편찬하여 네트워크 그래프로 보기 [[S2023-700:실습2.lst|위키페이지에서 lst 파일 작성 샘플]]
+
 
 +
4.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데이터로 만들기3 - lst 형식의 파일을 위키 문서로 편찬하여 네트워크 그래프로 보고,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 적재하기 [[S2023-700:스토리.lst|위키페이지에서 lst 파일 만들기 샘플]]
  
 
== 교육 자료 ==
 
== 교육 자료 ==
* [/workshop/2023_civil/2023_시민교육_디지털스토리텔링_3차_실습양식.xlsx 실습 양식 다운로드(엑셀)]
+
* 실습에 참고할 페이지1:[[S2023-700:스토리]]
* 실습에 참고할 페이지: [[S2023-700:실습2.lst]] <br/>※ 항목명을 만들 때 맨 뒤의 .lst까지 꼭 입력해주셔야 합니다.
+
* 실습에 참고할 페이지2: [[S2023-700:스토리.lst]] <br/>※ 항목명을 만들 때 맨 뒤의 .lst까지 꼭 입력해주셔야 합니다.
  
== 참고 자료 ==
+
== 안내 사항 ==
*  
+
* 4차 교육 시작 전까지 아래 url로 들어가 회원가입을 완료해주세요.
 +
- https://chat.openai.com/
  
  
 
[[분류:2023 시민교육]] [[분류:이한나]]
 
[[분류:2023 시민교육]] [[분류:이한나]]

2024년 4월 8일 (월) 17:36 기준 최신판

2023 시민교육 교육자료

교육일정

No 교육명 일시 주요내용 비고
1 스토리 소개 및 개별 과제 리뷰 2024. 04. 06. 09:00 ~ 09:50 1. (참석자)소개하고 싶은 광주 문화유산 글 리뷰 & 노드-릴레이션 뽑기 실습
- - 2024. 04. 06. 09:50 ~ 10:00 휴식 -
2 스토리 작성 실습 2024. 04. 06. 10:00 ~ 10:50 2.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데이터로 만들기- 스토리 데이터 만들어보기 실습
- - 2024. 04. 06. 10:50 ~ 11:00 휴식 -
3 lst를 이용한 스토리 세트 만들기 2024. 04. 06. 11:00 ~ 11:350 3.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데이터로 만들기- 스토리 네트워크 만들어보기 실습
4. 내가 만든 스토리 페이지 설명하기

강사 및 조교

강사

조교

교육 프로그램

  • 참여자는 3차 교육을 통해 기존에 작성하셨던 페이지에 실습 내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 기존에 편집하셨던 페이지를 메인으로 사용해주세요.
  • 3차 교육에서는 기존에 만든 각자의 스토리 페이지에 작성하신 관심 있는 문화유산 내용을 바탕으로 진행됩니다.
  • 각자 준비한 문화유산 소개 글에서 데이터로 만들 것을 뽑고, 개체와 개체 간 관계를 설정하는 실습을 합니다.
  • 실습을 하면서 정리된 내용을 가지고, 위키 문서를 통해 컴퓨터가 읽어 들일 수 있도록 데이터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각자 만들어드린 실습 링크 페이지에서 작업해주신 것을, 위키 문서로 만들기 위해 새로운 페이지를 생성합니다.
  • 새로 만드는 페이지의 이름은 S2023-70*:스토리.lst 입니다. 701~707번까지 부여 받으신 번호를 입력하시고, 스토리 뒤에 .lst를 붙이고, 해당 명칭을 검색창에 입력합니다.
  • 항목명이 빨간 글씨로 뜨는 것을 확인하신 후, 빨간색의 항목명을 클릭해주세요. 그럼 해당 페이지 편집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참가자 실습 페이지



3차 시 참가자 실습 결과물


1. 나의 스토리 적어보기 (6~7문장으로 적어주세요) - 예시: 광주 환벽당에 대한 이야기

2.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데이터로 만들기 - 데이터로 만들고 싶은 내용을 '노드'와 '관계'로 표현해보기

위키에서 직접 편집할 경우)
페이지 상단의 읽기 | 편집 |역사 보기 → 에서 '편집'을 눌러서 아래에 해당하는 부분을 ctrl.+ C & ctrl + V 하여 자신의 페이지에 기입합니다.

노드(source) 노드(target) 관계어(relation) 노트
광주_환벽당_일원 김윤제 ~의_중건자는_~이다. 광주 환벽당 일원은 김윤제가 중건하였다
광주_환벽당 신잠 ~는~가_이름_붙였다 광주 환벽당이라는 이름은 신잠이 붙였다


3.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데이터로 만들기2 - lst 형식의 파일을 만들기

4.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데이터로 만들기3 - lst 형식의 파일을 위키 문서로 편찬하여 네트워크 그래프로 보고,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 적재하기 위키페이지에서 lst 파일 만들기 샘플

교육 자료

안내 사항

  • 4차 교육 시작 전까지 아래 url로 들어가 회원가입을 완료해주세요.

- https://chat.opena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