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원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잔글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 [[율원군栗元君‘매방’이란 이름은, 대련에서 소학교에 다닐때 다녔던 무용학원에서 스승이었던 중국의 경극 배우 매란방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
* [[율원군|율원군(栗元君,1433~ 1476)]]: 조선 제3대 왕 태종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의 손자이자 보성군(寶城君)의 둘째 아들.  
* 목포의 권번에서 예기(藝妓) [[함국향]]을 통해 춤과 가락을 접하고 이후 [[이대조]], [[박영구]], [[이창조]] 등 당대의 예인들로부터 승무, 검무, 살풀이춤 등 전통 무용을 사사받았다.
+
* 1467년(세조 12) 5월 이시애의 난이 일어나자 출정하여 난을 토벌하는 데 큰 공을 세웠으며 이후 적개공신 3등에 책봉되었다.
* 1987년 국가중요 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보유자로 지정되었으며, 1990년 중요무형문화재 제97호 살풀이춤 보유자로 지정됐다.  
+
* 묘소는 경기도 고양군 원당면 원당리(현,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왕릉골 곤좌(坤坐)에 있으며, 부인 무안현부인 동래정씨와 쌍분으로 되어 있다.  
* 삼현승무·보현승무, 살풀이, 검무, 산조 등 다양한 방면에서 두각을 드러냈다.<ref>[https://www.culture.go.kr/knowledge/encyclopediaView.do?vvm_seq=5879 이매방, 문화포털]</ref>
+
* 불천지위를 받아 사당은 부조묘가 되고  재실 이름은 훗날 충의재(忠義齋)라 이름붙여졌다.  
* 참조: https://www.culture.go.kr/knowledge/encyclopediaView.do?vvm_seq=5879
+
* [[광주_장덕동_근대_한옥|장덕동 근대 한옥]]은 율원군의 후손들이 1920년대 근대식 개량 한옥을 지어 거주하였던 곳이다.
 +
* 참조: https://ko.wikipedia.org/wiki/율원군
 
----
 
----
 
<references/>
 
<references/>
  
 
[[분류:문맥항목/2023]] [[분류:선현정]] [[분류:예술/2023]]
 
[[분류:문맥항목/2023]] [[분류:선현정]] [[분류:예술/2023]]

2024년 2월 26일 (월) 13:08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율원군(栗元君,1433~ 1476): 조선 제3대 왕 태종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의 손자이자 보성군(寶城君)의 둘째 아들.
  • 1467년(세조 12) 5월 이시애의 난이 일어나자 출정하여 난을 토벌하는 데 큰 공을 세웠으며 이후 적개공신 3등에 책봉되었다.
  • 묘소는 경기도 고양군 원당면 원당리(현,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왕릉골 곤좌(坤坐)에 있으며, 부인 무안현부인 동래정씨와 쌍분으로 되어 있다.
  • 불천지위를 받아 사당은 부조묘가 되고 재실 이름은 훗날 충의재(忠義齋)라 이름붙여졌다.
  • 장덕동 근대 한옥은 율원군의 후손들이 1920년대 근대식 개량 한옥을 지어 거주하였던 곳이다.
  • 참조: https://ko.wikipedia.org/wiki/율원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