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미장 문맥 예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 | NOTOC__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 | + | *청미장(淸美莊)은 1950년대 한국전쟁 직후 이옥경이 광주시 동구 황금동에 문을 연 한정식집이다. 제일극장(현재 롯데시네마 충장로점) 뒷골목 초가집에서 개업했으며 광주가 자랑할 만한 격조높은 음식을 냈다고 한다. 전남 연해안에서 나는 맛좋은 해산물 요리 특히 젓갈이 유명했다. |
+ | *이옥경은 호남은행 대표이자 미식가, 식도락가로 알려진 무송 현준호의 생질녀(누이의 딸)이며 해방 후 전남도시제사공장을 경영한 이시복과 은행가 이상복과 남매간이다. | ||
+ | *전남 상류사회에 속했던 외가와 친가, 시댁에서 배운 솜씨로 양반들의 전통 모둠요리라고 할 수 있는 밥상과 술상을 겸한 교자상을 선보였는데, 오늘날 광주를 대표하는 다섯 가지 음식 ‘오미’ 가운데 하나인 한정식의 원조격인 셈이다. | ||
+ | *전국 방방곡곡 향토 맛집을 여행하였던 소설가 홍성유(洪性裕)가 1991년 8월 18일자 『주간 조선』에 청미장의 음식 맛에 대하여 칭찬하는 글을 찾아 볼 수 있어, 이 시기까지는 청미장의 명성이 유지되고 있던 것으로 보이나 이후 폐업하였다. | ||
+ | *2016년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한 ‘쿡 폴리’를 통하여, ‘청미장’의 이름을 딴 ‘쿡폴리 청미장’이 탄생하였고 1970년대 지어진 한옥을 리모델링하여 광주광역시 동구 산수동에 자리잡았다. | ||
+ | |||
+ | == Semantic Data == | ||
+ | === | ||
+ | Node Description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98%;word-break:break-all;" | ||
+ |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
+ | | id || 항목분류 || 하위분류1 || 하위분류2 || 라벨 || 한글 || 한자 || 영어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id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id.jpg | ||
+ | |} | ||
+ | |||
+ | === | ||
+ | Contextual Relations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98%;word-break:break-all;" | ||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 |- | ||
+ | | [[주어]] || [[목적어]] || || || 관계 | ||
+ | |- | ||
+ | | [[주어]] || [[목적어]] || || || 관계 | ||
+ | |- | ||
+ | |} | ||
+ | |||
+ | == | ||
+ | Spatial Data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98%;word-break:break-all;" | ||
+ | ! id || latitude || longitude || address | ||
+ | |- | ||
+ | | [[id]] || 위도 || 경도 || 주소 | ||
+ | |- | ||
+ | |} | ||
+ | |||
+ | {{구글지도 |위도=위도 |경도=경도 |줌=16}} | ||
+ | |||
+ | == | ||
+ | Web Resource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98%;word-break:break-all;" | ||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유형 || 제공기관 || 제목 || 설명 || http://aks.ai/GC60000844 | ||
+ | |- | ||
+ | | 유형 || 제공기관 || 제목 || 설명 || https://www.simi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84731 | ||
+ | |- | ||
+ | |} | ||
+ | |||
+ | == Bibliography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98%;word-break:break-all;" | ||
+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 | ||
+ | | 단행본 || 박선홍, 『광주 1백년』2-개화기 이후 광주의 삶과 풍속, 광주문화재단, 2014. || 광주문화재단 || https://www.gjcf.or.kr/cf/Board/7617/detailView.do | ||
+ | |- | ||
+ | | 유형 || 출처내용 || 제공기관 || | ||
+ | https://www.riss.kr/link?id=M7180005 | ||
+ | |- | ||
+ | |} | ||
+ | |||
+ | == Notes == | ||
+ | <references/> | ||
+ | |||
+ | == Semantic Network Graph == | ||
+ | {{SemanticGraph | key=id}} | ||
+ | |||
+ | |||
+ | [[분류:Class]] [[분류:Class/2023]] [[분류:작성자]] [[분류:팀명/2023]] | ||
+ | [[분류:문맥항목/2022]] [[분류:심재식]] | ||
+ | <!-- | ||
[[분류:문맥항목]] [[분류:심재식]] | [[분류:문맥항목]] [[분류:심재식]] | ||
+ | --> |
2024년 1월 19일 (금) 16:24 기준 최신판
NOTOC__
Definition
- 청미장(淸美莊)은 1950년대 한국전쟁 직후 이옥경이 광주시 동구 황금동에 문을 연 한정식집이다. 제일극장(현재 롯데시네마 충장로점) 뒷골목 초가집에서 개업했으며 광주가 자랑할 만한 격조높은 음식을 냈다고 한다. 전남 연해안에서 나는 맛좋은 해산물 요리 특히 젓갈이 유명했다.
- 이옥경은 호남은행 대표이자 미식가, 식도락가로 알려진 무송 현준호의 생질녀(누이의 딸)이며 해방 후 전남도시제사공장을 경영한 이시복과 은행가 이상복과 남매간이다.
- 전남 상류사회에 속했던 외가와 친가, 시댁에서 배운 솜씨로 양반들의 전통 모둠요리라고 할 수 있는 밥상과 술상을 겸한 교자상을 선보였는데, 오늘날 광주를 대표하는 다섯 가지 음식 ‘오미’ 가운데 하나인 한정식의 원조격인 셈이다.
- 전국 방방곡곡 향토 맛집을 여행하였던 소설가 홍성유(洪性裕)가 1991년 8월 18일자 『주간 조선』에 청미장의 음식 맛에 대하여 칭찬하는 글을 찾아 볼 수 있어, 이 시기까지는 청미장의 명성이 유지되고 있던 것으로 보이나 이후 폐업하였다.
- 2016년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한 ‘쿡 폴리’를 통하여, ‘청미장’의 이름을 딴 ‘쿡폴리 청미장’이 탄생하였고 1970년대 지어진 한옥을 리모델링하여 광주광역시 동구 산수동에 자리잡았다.
Semantic Data
=
Node Description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id | 항목분류 | 하위분류1 | 하위분류2 | 라벨 | 한글 | 한자 | 영어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id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id.jpg |
=
Contextual Relations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주어 | 목적어 | 관계 | ||
주어 | 목적어 | 관계 |
== Spatial Data ==
id | latitude | longitude | address |
---|---|---|---|
id | 위도 | 경도 | 주소 |
==
Web Resource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유형 | 제공기관 | 제목 | 설명 | http://aks.ai/GC60000844 |
유형 | 제공기관 | 제목 | 설명 | https://www.simi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84731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단행본 | 박선홍, 『광주 1백년』2-개화기 이후 광주의 삶과 풍속, 광주문화재단, 2014. | 광주문화재단 | https://www.gjcf.or.kr/cf/Board/7617/detailView.do |
유형 | 출처내용 | 제공기관 |
https://www.riss.kr/link?id=M7180005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