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 소강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1번째 줄: | 1번째 줄: | ||
__NOTOC__ | __NOTOC__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수피아여학교]]가 당시 학교 인가를 목적으로 1928년에 신축한 소강당이다.붉은 벽돌로 건축되었으며, 독특한 박공지붕(지붕면이 양쪽 방향으로 경사진 ㅅ자 모양의 지붕), 왕대공 트러스(큰 외부하중을 지지하는, 긴 기둥간격을 가진 구조물)인 산형구조물의 중앙에 수직재가 있는 구조물 등은 당시의 건축 양식과 기술을 후세에 전하는 중요한 건축물로서 가치가 높다.2011년 7월 22일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로 등록되었으며 [[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의 소강당으로 쓰이고 있다. | + | *[[수피아여학교]]가 당시 학교 인가를 목적으로 1928년에 신축한 소강당이다. 붉은 벽돌로 건축되었으며, 독특한 박공지붕(지붕면이 양쪽 방향으로 경사진 ㅅ자 모양의 지붕), 왕대공 트러스(큰 외부하중을 지지하는, 긴 기둥간격을 가진 구조물)인 산형구조물의 중앙에 수직재가 있는 구조물 등은 당시의 건축 양식과 기술을 후세에 전하는 중요한 건축물로서 가치가 높다. 2011년 7월 22일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로 등록되었으며 [[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의 소강당으로 쓰이고 있다. |
[[분류:문맥항목]] [[분류:이재열]] | [[분류:문맥항목]] [[분류:이재열]] |
2023년 11월 8일 (수) 15:52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수피아여학교가 당시 학교 인가를 목적으로 1928년에 신축한 소강당이다. 붉은 벽돌로 건축되었으며, 독특한 박공지붕(지붕면이 양쪽 방향으로 경사진 ㅅ자 모양의 지붕), 왕대공 트러스(큰 외부하중을 지지하는, 긴 기둥간격을 가진 구조물)인 산형구조물의 중앙에 수직재가 있는 구조물 등은 당시의 건축 양식과 기술을 후세에 전하는 중요한 건축물로서 가치가 높다. 2011년 7월 22일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로 등록되었으며 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의 소강당으로 쓰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