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설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Definition== * 허백련이 춘설헌을 찾은 방문객들에게 권하던 차이다. 무등산 자락에서 허백련이 일군 차밭을 일구어 재배한 찻잎으로 만든...)
 
(Definition)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 허백련이 춘설헌을 찾은 방문객들에게 권하던 차이다. 무등산 자락에서 허백련이 일군 차밭을 일구어 재배한 찻잎으로 만든 것이다. 삼애다원에서 재배된 춘설차는 무등산 특산품이다.  
 
* 허백련이 춘설헌을 찾은 방문객들에게 권하던 차이다. 무등산 자락에서 허백련이 일군 차밭을 일구어 재배한 찻잎으로 만든 것이다. 삼애다원에서 재배된 춘설차는 무등산 특산품이다.  
 +
* 송나라 나대경의 시(詩) '일구춘설승제호(一歐春雪勝醍醐, 한 사발의 춘설차를 맛보니 최상의 음식인 제호보다 낫다)'의 구절에서 '춘설'이라 이름을 붙였다.
  
 
[[분류:문맥항목]] [[분류:김나현]]
 
[[분류:문맥항목]] [[분류:김나현]]

2022년 9월 2일 (금) 10:49 판

Definition

  • 허백련이 춘설헌을 찾은 방문객들에게 권하던 차이다. 무등산 자락에서 허백련이 일군 차밭을 일구어 재배한 찻잎으로 만든 것이다. 삼애다원에서 재배된 춘설차는 무등산 특산품이다.
  • 송나라 나대경의 시(詩) '일구춘설승제호(一歐春雪勝醍醐, 한 사발의 춘설차를 맛보니 최상의 음식인 제호보다 낫다)'의 구절에서 '춘설'이라 이름을 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