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가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Definition)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호가정]]은 조선 중·명종대의 문신 설강 유사(雪江柳泗)(1502~1571)가 만년에 지은 정자이다. [[호가정]]이라는 이름은 송나라 소강절이 말한 호가지의(浩歌之意)에 담긴 뜻을 취하여 지었다. 이 정자는 1558년(명종 13) 처음 세웠으나,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겪으면서 불타 없어져, 1871년(고종 8년)에 다시 세웠다.<ref>호가정, https://korean.visitkorea.or.kr/detail/ms_detail.do?cotid=689c35c3-dc81-4c8f-b36b-2af52abd8915&big_category=A02&mid_category=A0201&big_area=5. 대한민국 구석구석.</ref> | *[[호가정]]은 조선 중·명종대의 문신 설강 유사(雪江柳泗)(1502~1571)가 만년에 지은 정자이다. [[호가정]]이라는 이름은 송나라 소강절이 말한 호가지의(浩歌之意)에 담긴 뜻을 취하여 지었다. 이 정자는 1558년(명종 13) 처음 세웠으나,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겪으면서 불타 없어져, 1871년(고종 8년)에 다시 세웠다.<ref>호가정, https://korean.visitkorea.or.kr/detail/ms_detail.do?cotid=689c35c3-dc81-4c8f-b36b-2af52abd8915&big_category=A02&mid_category=A0201&big_area=5. 대한민국 구석구석.</ref> | ||
− | + | ==Web Resource==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 | |- | ||
+ | | 사진 || 한국관광공사 || 호가정 || || https://tong.visitkorea.or.kr/cms/resource/74/2493674_image2_1.jpg | ||
+ | |- | ||
+ | |} | ||
+ | |||
+ | * type: 해설, 참고, 원문,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 ||
==Notes== | ==Notes== | ||
10번째 줄: | 19번째 줄: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분류: | + | [[분류:문맥항목]] [[분류:박종평]] |
2022년 8월 12일 (금) 12:06 판
Definition
- 호가정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곡분토길 195(본덕동), 동곡 꽃게장골목 가까운 곳에 있다. 1990년,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 호가정은 조선 중·명종대의 문신 설강 유사(雪江柳泗)(1502~1571)가 만년에 지은 정자이다. 호가정이라는 이름은 송나라 소강절이 말한 호가지의(浩歌之意)에 담긴 뜻을 취하여 지었다. 이 정자는 1558년(명종 13) 처음 세웠으나,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겪으면서 불타 없어져, 1871년(고종 8년)에 다시 세웠다.[1]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사진 | 한국관광공사 | 호가정 | https://tong.visitkorea.or.kr/cms/resource/74/2493674_image2_1.jpg |
- type: 해설, 참고, 원문,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