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광기술원테스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__NOTOC__
 
__NOTOC__
 
<!-- ETB_KEY_SEPARATOR -->
 
<!-- ETB_KEY_SEPARATOR -->
<div class="hide-txt">한국광기술원테스트</div>
+
<div class="hide-txt">광주사범학교</div>
 
{{기본정보테이블
 
{{기본정보테이블
|이름=<ref>한국광기술원테스트</ref>
+
|이름=광주사범학교
|한자명=한국광기술원(한자)
+
|한자명=光州師範學校
|영문명=한국광기술원(영문)
+
|영문명=
|이칭=광기술원, KOPTI
+
|이칭=광주교육대학교
|종류=기술원
+
|유형=교육
|형성시기=2000년 1월
+
|설립/폐지시기=1938년
|소재지=광주광역시 북구 첨단벤처로 108번길 9
+
|소재지=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필문대로 55
|위도(latitude)=35.1599578
+
|위도(latitude)=35.1649771
|경도(longitude)=126.8523582
+
|경도(longitude)=126.9264369
|국가유산 지정/등록 여부=무
+
|InfoURL=https://public.aks.ac.kr/~gwangju/wiki/index.php/광주사범학교
|InfoURL=https://public.aks.ac.kr/~gwangju/wiki/index.php/한국광기술원
+
|iconURL=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4/광주사범학교.jpg
|iconURL=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4/한국광기술원.jpg
 
 
}}
 
}}
  
 
== 정의 및 개요 ==
 
== 정의 및 개요 ==
한국광기술원은 광융합산업의 기술개발과 육성, 기술{{#tag:html| <pre class="etb-pre-container">혁신을 통해 국가 </pre> }}산업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ref>목적으로 설립되었다.
+
{{#tag:html| <pre class="etb-pre-container">[[광주사범학교]](光州師範學校)는 1938년 조선총독부 고시 제319호에 의거 설립된 관립 초등교원 양성 학교이다.</pre> }}
</ref>
 
 
 
 
 
== 특징 ==
 
 
 
* 한국광기술원은 2023년 장애인 스포츠{{#tag:html| <pre class="etb-pre-container">目前正在进行测试 / 今はテスト中です / В настоящее время проводятся испытания. </pre> }}광주광역시장애인체육회, 한국장애인고용공단_광주지역본부와 업무협약을 맺었다. 맺었다.
 
  
  
 
== 시기별 관련 사건/주요활동 ==
 
== 시기별 관련 사건/주요활동 ==
  
* 한국광기술원은 1999년 광주광산업육성계획이 승인되면서 2001년 4월 개원했다. 광주광역시 북구 월출동 광주첨단과학국가산업단지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체 인력은 270여명 수준으로 운영되고 있다.
+
* [[광주사범학교]]는 광복{{#tag:html| <pre class="etb-pre-container"> 이후 1950년 4월 공립에서 국립으로, 1961년 4월 사범대학으로 개편</pre> }}되었고, 1962년 3월 2년제 전남대학교 병설 교육대학으로 개편되었다. 1963년 광주교육대학이 되었으며, 1981년 4년제 교육대학으로, 1993년 3월 국립대학교 설치령에 따라 [[광주교육대학교]]로 변경하였다.
{{#tag:html| <pre class="etb-pre-container">한국광기술원은
+
* [[광주사범학교]]는 전라남도 광주군 서방면 신안리(현 광주광역시 북구 [[임동]])에 있었던 [[광주공립농업학교]]의 교사 일부를 사용하여 개교하였고, 그 후 1939년 9월 전라남도 광산군 서방면 풍향리(현 광주광역시 북구 [[풍향동]] 1-1)에 교사를 신축하여 이전하였다.
LED, 광통신 부품, 광응용 모듈,
+
* [[광주사범학교]]의 사범과는 1962년 3월 교육대학으로 개편 시 제17회 졸업식 후 폐지되었다.
초정밀 광학부품(렌즈, 미러), 산업용 레이저 및 다양한 광산
+
* 전남대학교 병설 교육대학은 1963년 전남대학교에서 분리되어 2년제 광주교육대학이 되었으며, 1981년 4년제 대학으로 개편되었고, 1993.3.1. 국립대학교 설치령에 따라 [[광주교육대학교]]로 변경되었다.
업 분야에서 첨단 기술 개발을 통한 광산업계의 기술 경쟁력 확보와
 
광학 관련 제품의 시험ㆍ인증 및 시험생산, 창업보육, 인력양성 동의 업무를 수행하는 광(光) 전문생산기술연구소다.</pre> }}
 
* 한국광기술원은 LED, 레이저, 광의료, 3D 분야, 에너지 분야 등의 역량을 바탕{{#tag:html| <pre class="etb-pre-container">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 대응을 위한 광융합 선도 전문연구기관이 되고자 다양</pre> }}
 
* 한 연구 분야의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4개 연구개발본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광원, 광응용, 조명융합, 광ICT융합에 관련된 제품개발을 수행하고 있다.1)
 
  
  
== 지역문화적 가치 ==
+
== 관련 인물/단체/사건 등 ==
  
* 광원 연구본부에서는 마이크로 LED, 광에너지. 레이저 핵심 광원 기술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광응용 연구본부는 헬스케어 및 바이오 분야, 조명융합 연구본부는 조명용 광원의 원천소재, 부품 개발과 환경평가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광ICT융합 연구본부는 스ICT 융합, 클라우드, 빅데이터를 통한 초실감성, 초지능성, 초연결성 구현이 가능한 센싱, 디스플레이 기술과 관련된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
* [[<ref>광주사범학교</ref>]]의 당초 학제는 5년제의 심상과, 1년제의 강습과와 6년제의 부속 소학교를 두었다. 1946년 9월 학제 개편으로 사범과와 중학교로 개편되고 사범과의 입학자격은 중학교 수료자로 했다.
 +
* [[<ref>광주사범학교</ref>]] 전신인 [[도립전남사범학교]]는 1923년에 개교 후 재정난으로 1930년에 폐교하였다. [[도립전남사범학교]] 학생들은 1929년 [[광주학생운동]]에 참여하였다.
  
  
 
== 그 외 정보 ==
 
== 그 외 정보 ==
  
{{#tag:html| <pre class="etb-pre-container">아-풍운! 아- 霹靂(벽력)!!/ 모래가 날리고 돍
+
* [[<ref>광주교육대학교</ref>]]는 2008년 U-러닝 기반 미래교육 거점대에, 2020년 클라우드 중점대학 및 5G 네트워크 고도화 사업에도 선정되었다.
이 닷도다/ 나무가 부러지며 풀이 쓸어지도다/ 아-黑天地(흑천지)로다 修羅場(수라장)이로다/ 天(천)의 惡(악)이냐?
+
* [[광주사범학교]]가 있었던 현재 [[광주교육대학교]] 앞 도로는 [[필문대로]]이다. 필문로는 조선 초기 문신인 [[이선제]]호를 따라 풍향동 서방사거리부터 학동 남광주교차로까지 4.1㎞의 도로다.
世(세)罪(죄)이냐?/ 아니 이것이 混沌(혼돈)이 아닌가?/ 아-銃創(총창)! 아-殺到(살도)!!/ 머리가 떨어지고 다리가 끈혀지도다/.  
 
 
 
 
 
이놈도 거꿀어지고 저놈도 잣바지도다/ 아-와텔루로다 아 垓下野(해하야)로다/ 生(생)을 爲(위
 
)함이냐?/ 아니 이것이 翻覆(번복)이 아닌가?/ 새바람이 일도다 한 빛이 빛이도다/ 왼 세계는 燦爛(찬란)한 光(
 
광)의 세계로다/ 평화의 소리가 높도다 개조를 부르짖도다/ 왼 인류는 新鮮(신선)한 自由(자유)의 人類(인류
 
)로다/ 운이 來(내)함이냐? 時(시)가 到(도)함이냐?/ 아니 이것이 開闢(개벽)이로다.</pre> }}
 
  
 
== 관련 항목 ==
 
== 관련 항목 ==
 
{{관련항목태그
 
{{관련항목태그
| 광주광산업육성계획
+
| 광주사범학교
| 광주첨단과학국가산업단지
+
| 광주교육대학교
 +
| 도립전남사범학교
 +
| 광주공립농업학교
 +
| 전남대학교
 +
| 광주학생운동
 +
| 임동
 +
| 필문대로
 +
| 이선제
 
}}
 
}}
  
 
== 의미관계망 ==
 
== 의미관계망 ==
{{SemanticGraph  | key=한국광기술원테스트}}
+
{{SemanticGraph  | key=광주사범학교}}
 
 
{{이야기조각
 
| 이야기 조각 버튼입니다.
 
| http://www.naver.com
 
| 이야기 조각 버튼입니다2
 
| http://www.naver.com
 
}}
 
  
 
== 이미지 ==
 
== 이미지 ==
 
{{이미지스와이퍼
 
{{이미지스와이퍼
| https://uxdev.etribe.co.kr/honamWikiEditor/test01.png
+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사범학교/광주사범학교.jpg
| https://uxdev.etribe.co.kr/honamWikiEditor/test02.png
+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사범학교/광주교육대학교_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탑.jpg
| https://uxdev.etribe.co.kr/honamWikiEditor/test01.png
+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사범학교/광주교육대학교_교육박물관_표지.jpg
| https://uxdev.etribe.co.kr/honamWikiEditor/test01.png
+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사범학교/광주교육대학교_비석(뒷면).jpg
}}
+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사범학교/광주교육대학교_비석(앞면).jpg
 
+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사범학교/광주교육대학교_정문.jpg
== 동영상 ==
 
{{동영상스와이퍼
 
| https://www.youtube.com/embed/C1zyvrK3L_c?si-KHo3OXBtGbpEyQQA
 
| https://www.youtube.com/embed/C1zyvrK3L_c?si-KHo3OXBtGbpEyQQA
 
| https://www.youtube.com/embed/C1zyvrK3L_c?si-KHo3OXBtGbpEyQQA
 
 
}}
 
}}
  
 
== 지도 ==
 
== 지도 ==
{{구글지도 | 위도=35.1599578| 경도=126.8523582| 줌=16 }}
+
{{구글지도 | 위도=35.1649771| 경도=126.9264369| 줌=16 }}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94번째 줄: 72번째 줄:
 
! style="width:15%" | Type || style="width:20%" | Resource || style="width:35%" | Title/Index || style="width:30%" | URL
 
! style="width:15%" | Type || style="width:20%" | Resource || style="width:35%" | Title/Index || style="width:30%" | URL
 
|-
 
|-
| 웹리소스 || 웹페이지 || 한국광기술원 공식 홈페이지 ||  
+
| 웹리소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광주사범학교 || http://aks.ai/GC60001110
 
|-
 
|-
| 웹리소스 || 연합뉴스 || 한국광기술원, 19일 광융합 산업 세미나 개최 (2023-12-18, 송행일 기자) || https://daily.hankooki.com/news/articleView.html?idxno=1022853
+
| 웹리소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도립전남사범학교 || http://aks.ai/GC60005392
 
|-
 
|-
| 웹리소스 || 데일리한국 || 박경귀 아산시장, “한국광기술원분원 유치로 광자시대 선 도”(2023-11-22, 인장교 기자) || https://daily.hankooki.com/news/articleView.html?idxno=1022853
+
| 웹리소스 || 광주교육대학교 || 연혁 || https://www.gnue.ac.kr/index.9is?contentUid=ff8080815bf1bf8b015bf5df59560079
 
|-
 
|-
| 이미지 ||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1 || 한국광기술원 전경 1 || https://uxdev.etribe.co.kr/honamWikiEditor/test01.png
+
| 웹리소스 || 연합뉴스 || 광주교대 “89년 역사가 맞습니다” (2012-03-28. 송형일 기자) || https://www.yna.co.kr/view/AKR20120328102000054
 
|-
 
|-
| 이미지 ||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2 || 한국광기술원 전경 2 || https://uxdev.etribe.co.kr/honamWikiEditor/test02.png
+
| 이미지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광주사범학교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사범학교/광주사범학교.jpg
 
|-
 
|-
| 이미지 ||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3 || 한국광기술원 전경 3 || https://uxdev.etribe.co.kr/honamWikiEditor/test01.png
+
| 이미지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광주교육대학교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탑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사범학교/광주교육대학교_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탑.jpg
 
|-
 
|-
| 이미지 ||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3 || 한국광기술원 전경 3 || https://uxdev.etribe.co.kr/honamWikiEditor/test01.png
+
| 이미지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박물관 표지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사범학교/광주교육대학교_교육박물관_표지.jpg
 
|-
 
|-
| 동영상 || 광기술원 유튜브 || 한국광기술원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embed/C1zyvrK3L_c?si=KHo3OXBtGbpEyQQA
+
| 이미지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광주교육대학교 비석(뒷면)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사범학교/광주교육대학교_비석(뒷면).jpg
 
|-
 
|-
| 동영상 || 광기술원 유튜브2 || 한국광기술원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embed/C1zyvrK3L_c?si=KHo3OXBtGbpEyQQA
+
| 이미지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광주교육대학교 비석(앞면)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사범학교/광주교육대학교_비석(앞면).jpg
 
|-
 
|-
| 동영상 || 광기술원 유튜브3 || 한국광기술원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embed/C1zyvrK3L_c?si=KHo3OXBtGbpEyQQA
+
| 이미지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광주교육대학교 정문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사범학교/광주교육대학교_정문.jpg
 +
|-
 +
| 간행물 || 단행본 || 박선홍, 『광주 1백년 1』, 광주문화재단, 2012. ||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63810874
 
|}
 
|}
  
124번째 줄: 104번째 줄:
 
! style="width:15%" | Source || style="width:15%" | Target || style="width:20%" | Relation || style="width:25%" | Attribute || style="width:25%" | Remark(Note)
 
! style="width:15%" | Source || style="width:15%" | Target || style="width:20%" | Relation || style="width:25%" | Attribute || style="width:25%" | Remark(Note)
 
|-
 
|-
| 한국광기술원(KOPTI) || Node List ||  ||  ||  
+
| [[광주사범학교]] || [[임동]] ||  ||  || 광주사범대학은 임동에 임시로 개교했다
 +
|-
 +
| [[임동]] || [[광주공립농업학교]] ||  ||  || 광주공립농업학교는 임동에 있었다
 +
|-
 +
| [[광주사범학교]] || [[도립전남사범학교]] ||  ||  || 광주사범학교의 전신은 도립전남사범학교이다
 +
|-
 +
| [[광주사범학교]] || [[광주학생운동]] ||  ||  || 광주사범학교 학생들은 학생독립운동에 참여했다
 +
|-
 +
| [[광주사범학교]] || [[전남대학교]] ||  ||  || 광주사범학교는 전남대학교에 병설되었다
 +
|-
 +
| [[전남대학교]] || [[광주교육대학교]] ||  ||  || 광주교육대학교은 전남대학교에서 분리되었다
 +
|-
 +
| [[광주교육대학교]] || [[필문대로]] ||  ||  || 광주교육대학교 앞 도로명은 필문대로이다
 +
|-
 +
| [[필문대로]] || [[이선제]] ||  ||  || 이선제의 호인 필문을 따라 도로명을 정했다
 
|}
 
|}
  
[[분류:핵심항목]] [[분류:Place]] [[분류:Place/2024]] [[분류:Area]] [[분류:Area/2024]] [[분류:홍길동]]
+
[[분류:핵심항목]] [[분류:Class 선택]] [[분류:Class 선택/2024]] [[분류:SubClass 선택]] [[분류:SubClass 선택/2024]] [[분류:박광석]]

2025년 9월 1일 (월) 11:19 기준 최신판

광주사범학교
   
    
    

기본 정보

이름 광주사범학교
한자명 光州師範學校
이칭 광주교육대학교
유형 교육
설립/폐지시기 1938년
소재지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필문대로 55



정의 및 개요

[[광주사범학교]](光州師範學校)는 1938년 조선총독부 고시 제319호에 의거 설립된 관립 초등교원 양성 학교이다.


시기별 관련 사건/주요활동

  • 광주사범학교는 광복
     이후 1950년 4월 공립에서 국립으로, 1961년 4월 사범대학으로 개편
    되었고, 1962년 3월 2년제 전남대학교 병설 교육대학으로 개편되었다. 1963년 광주교육대학이 되었으며, 1981년 4년제 교육대학으로, 1993년 3월 국립대학교 설치령에 따라 광주교육대학교로 변경하였다.
  • 광주사범학교는 전라남도 광주군 서방면 신안리(현 광주광역시 북구 임동)에 있었던 광주공립농업학교의 교사 일부를 사용하여 개교하였고, 그 후 1939년 9월 전라남도 광산군 서방면 풍향리(현 광주광역시 북구 풍향동 1-1)에 교사를 신축하여 이전하였다.
  • 광주사범학교의 사범과는 1962년 3월 교육대학으로 개편 시 제17회 졸업식 후 폐지되었다.
  • 전남대학교 병설 교육대학은 1963년 전남대학교에서 분리되어 2년제 광주교육대학이 되었으며, 1981년 4년제 대학으로 개편되었고, 1993.3.1. 국립대학교 설치령에 따라 광주교육대학교로 변경되었다.


관련 인물/단체/사건 등

  • [[[1]]]의 당초 학제는 5년제의 심상과, 1년제의 강습과와 6년제의 부속 소학교를 두었다. 1946년 9월 학제 개편으로 사범과와 중학교로 개편되고 사범과의 입학자격은 중학교 수료자로 했다.
  • [[[2]]] 전신인 도립전남사범학교는 1923년에 개교 후 재정난으로 1930년에 폐교하였다. 도립전남사범학교 학생들은 1929년 광주학생운동에 참여하였다.


그 외 정보

  • [[[3]]]는 2008년 U-러닝 기반 미래교육 거점대에, 2020년 클라우드 중점대학 및 5G 네트워크 고도화 사업에도 선정되었다.
  • 광주사범학교가 있었던 현재 광주교육대학교 앞 도로는 필문대로이다. 필문로는 조선 초기 문신인 이선제의 호를 따라 풍향동 서방사거리부터 학동 남광주교차로까지 4.1㎞의 도로다.

관련 항목



의미관계망



이미지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사범학교/광주사범학교.jpg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사범학교/광주교육대학교_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탑.jpg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사범학교/광주교육대학교_교육박물관_표지.jpg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사범학교/광주교육대학교_비석(뒷면).jpg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사범학교/광주교육대학교_비석(앞면).jpg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사범학교/광주교육대학교_정문.jpg


지도


참고자료

Type Resource Title/Index URL
웹리소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광주사범학교 http://aks.ai/GC60001110
웹리소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도립전남사범학교 http://aks.ai/GC60005392
웹리소스 광주교육대학교 연혁 https://www.gnue.ac.kr/index.9is?contentUid=ff8080815bf1bf8b015bf5df59560079
웹리소스 연합뉴스 광주교대 “89년 역사가 맞습니다” (2012-03-28. 송형일 기자) https://www.yna.co.kr/view/AKR20120328102000054
이미지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광주사범학교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사범학교/광주사범학교.jpg
이미지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광주교육대학교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탑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사범학교/광주교육대학교_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탑.jpg
이미지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박물관 표지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사범학교/광주교육대학교_교육박물관_표지.jpg
이미지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광주교육대학교 비석(뒷면)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사범학교/광주교육대학교_비석(뒷면).jpg
이미지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광주교육대학교 비석(앞면)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사범학교/광주교육대학교_비석(앞면).jpg
이미지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광주교육대학교 정문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사범학교/광주교육대학교_정문.jpg
간행물 단행본 박선홍, 『광주 1백년 1』, 광주문화재단, 2012.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63810874

주석

  1. 광주사범학교
  2. 광주사범학교
  3. 광주교육대학교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Remark(Note)
광주사범학교 임동 광주사범대학은 임동에 임시로 개교했다
임동 광주공립농업학교 광주공립농업학교는 임동에 있었다
광주사범학교 도립전남사범학교 광주사범학교의 전신은 도립전남사범학교이다
광주사범학교 광주학생운동 광주사범학교 학생들은 학생독립운동에 참여했다
광주사범학교 전남대학교 광주사범학교는 전남대학교에 병설되었다
전남대학교 광주교육대학교 광주교육대학교은 전남대학교에서 분리되었다
광주교육대학교 필문대로 광주교육대학교 앞 도로명은 필문대로이다
필문대로 이선제 이선제의 호인 필문을 따라 도로명을 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