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과학기술원(GIST)"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잔글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1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__NOTOC__
 
==Definition==
 
==Definition==
*1993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정부출연 이공계 연구중심 특수 대학원 및 대학이다.1995년에 첫 석사과정이 시작되었으며 1997년 3월에 박사과정을 개설하고 2010년 학사과정을 설립하였다. 2020년도까지 총 6,813명(학사820명, 석사4,462명, 박사1,531명)의 졸업생을 배출했고 2023년 영국 글로벌 대학평가 기관 QS가 실시한 2023 QS 세계대학평가에서 '교수 1인당 SCI급 논문 피인용지수(Citations per faculty)' 부문 세계 6위로, 15년 연속 국내 1위를 기록하였다. 2008년부터 [[국립광주광주과학관]]과 협력하여 과학교육 프로그램 [[과학스쿨]]을 운영하고 있고 2017년에는 산하 한국문화기술연구소에서 국보 2점을 디지털 콘텐츠업체 조형물로 제작하여 [[국립광주박물관]]전시하기도 하는 등 광주지역 문화교육단체와 긴밀한 협력을 하고 있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는 1993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정부출연 이공계 연구중심 특수 대학원 및 대학이다.
 +
*1995년에 첫 석사과정이 시작되었으며 1997년 3월에 박사과정을 개설하고 2010년 학사과정을 설립하였다.
 +
*물리‧화학‧생명과학‧지구환경공학‧기계공학‧신소재공학‧전기전자컴퓨터의 7개 전공과정과 수학‧인문학‧사회과학‧문화기술‧에너지‧지능로봇‧의생명공학의 7개 부전공과정이 설치되어 있으며 2021년도까지 총 6,813명(학사820명, 석사4,462명, 박사1,531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
*2023년 영국 글로벌 대학평가 기관 QS가 실시한 2023 QS 세계대학평가에서 '교수 1인당 SCI급 논문 피인용지수(Citations per faculty)' 부문 세계 6위로, 15년 연속 국내 1위를 기록하였다.
 +
*2008년부터 [[국립광주과학관]]과 협력하여 과학교육 프로그램 [[과학스쿨]]을 운영하고 있고 2017년에는 산하 한국문화기술연구소에서 국보 2점을 디지털 콘텐츠업체 조형물로 제작하여 [[국립광주박물관]]전시하기도 하는 등 광주지역 문화교육단체와 긴밀한 협력을 하고 있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7번째 줄: 12번째 줄:
 
! style="width: 100px" | id||class||groupName||partName||label||hangeul||hanja||english||infoUrl||iconUrl
 
! style="width: 100px" | id||class||groupName||partName||label||hangeul||hanja||english||infoUrl||iconUrl
 
|-
 
|-
|[[광주과학기술원(GIST) ]]|| Actor||단체||기관||광주과학기술원(GIST)||광주과학기술원||光州科學技術院||||||<html><img width = "80" src=""/></html>
+
|[[광주과학기술원(GIST) ]]|| Actor|| 단체-교육체육 || 학교 ||광주과학기술원(GIST)||광주과학기술원||光州科學技術院||||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광주과학기술원(GIST)||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이재열/광주과학기술원_오룡관.jpg
 
|}
 
|}
 
  
 
===Contextual Relations===
 
===Contextual Relations===
35번째 줄: 39번째 줄:
 
|[[디지털콘텐츠입체조형물_송광사_목조삼존불감]]||[[순천_송광사_목조삼존불감]]||isDerivativeOf||순천_송광사_목조삼존불감을 디지털콘텐츠 입체조형물로 제
 
|[[디지털콘텐츠입체조형물_송광사_목조삼존불감]]||[[순천_송광사_목조삼존불감]]||isDerivativeOf||순천_송광사_목조삼존불감을 디지털콘텐츠 입체조형물로 제
 
|-
 
|-
|[[디지털콘텐츠입체조형물_송광사_목조삼존불감상]]||[[광주과학기술원_한국문화기술연구소]]||creator||
+
|[[디지털콘텐츠입체조형물_송광사_목조삼존불감]]||[[광주과학기술원_한국문화기술연구소]]||creator||
 
|-
 
|-
 
|[[박물관_해설문_한국수어_서비스]]||[[국립광주박물관]]||isUsedIn||국립광주박물관의 전시에서 사용되다
 
|[[박물관_해설문_한국수어_서비스]]||[[국립광주박물관]]||isUsedIn||국립광주박물관의 전시에서 사용되다
 +
|-
 +
|}
 +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target||relation
 +
|-
 +
|[[광주과학기술원(GIST)]]||[[광주과학기술원_한국문화기술연구소]]||hasPart
 +
|-
 +
|[[광주과학기술원(GIST)]]||[[광주과학기술원대학]]||hasPart
 +
|-
 +
|[[광주과학기술원(GIST)]]||[[광주과학기술원대학원]]||hasPart
 +
|-
 +
|[[광주과학기술원_한국문화기술연구소]]||[[박물관_해설문_한국수어_서비스]]||isRelatedTo
 +
|-
 +
|[[국립광주박물관]]||[[전시회_마음이_곧_부처(卽心是佛)]]||curates
 +
|-
 +
|[[디지털콘텐츠입체조형물_보림사_철조비로자나불좌상]]||[[광주과학기술원_한국문화기술연구소]]||creator
 +
|-
 +
|[[디지털콘텐츠입체조형물_보림사_철조비로자나불좌상]]||[[장흥_보림사_철조비로자나불좌상]]||isDerivativeOf
 +
|-
 +
|[[디지털콘텐츠입체조형물_보림사_철조비로자나불좌상]]||[[전시회_마음이_곧_부처(卽心是佛)]]||hasExhibition
 +
|-
 +
|[[디지털콘텐츠입체조형물_송광사_목조삼존불감]]||[[광주과학기술원_한국문화기술연구소]]||creator
 +
|-
 +
|[[디지털콘텐츠입체조형물_송광사_목조삼존불감]]||[[순천_송광사_목조삼존불감]]||isDerivativeOf
 +
|-
 +
|[[디지털콘텐츠입체조형물_송광사_목조삼존불감]]||[[전시회_마음이_곧_부처(卽心是佛)]]||hasExhibition
 +
|-
 +
|[[박물관_해설문_한국수어_서비스]]||[[국립광주박물관]]||isRelatedTo
 
|-
 
|-
 
|}
 
|}
43번째 줄: 76번째 줄:
 
== Spatial Data ==
 
== Spatial Data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id||위도||경도||고도||주소
+
! id || latitude || longitude || address
 
|-
 
|-
|광주과학기술원(GIST)||35.2275945||126.8393882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과기로 123
+
|광주과학기술원(GIST)||35.2275945||126.8393882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과기로 123
 
|-
 
|-
|}{{구글지도 | 위도=35.2275945|경도= 126.8393882 |줌=16}}  
+
|}
 +
 
 +
{{구글지도 | 위도=35.2275945|경도= 126.8393882 |줌=16}}
 +
 
 
==Web Resource==
 
==Web Resource==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type||resource||title||description||url
+
!type||resource||title||description/caption||url
 
|-
 
|-
 
|해설||한국민족문화대백과||광주과학기술원(光州科學技術院)||||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5226
 
|해설||한국민족문화대백과||광주과학기술원(光州科學技術院)||||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5226
59번째 줄: 95번째 줄:
 
|-
 
|-
 
|참고||전자신문||[기술혁신 현장을 가다]GIST 한국문화기술연구소 “문화향유 기회 확대” (2022-03-30, 김한식 기자)||||https://www.etnews.com/20220330000177
 
|참고||전자신문||[기술혁신 현장을 가다]GIST 한국문화기술연구소 “문화향유 기회 확대” (2022-03-30, 김한식 기자)||||https://www.etnews.com/20220330000177
 +
|-
 +
|사진||[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광주과학기술원 캠퍼스||광주과학기술원 캠퍼스 풍경||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이재열/광주과학기술원_캠퍼스.jpg
 +
|-
 +
|사진||[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광주과학기술원 오룡관||광주과학기술원 오룡관 전경||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이재열/광주과학기술원_오룡관.jpg
 +
|-
 +
|VR360||[https://www.youtube.com/channel/UCU_UTpm5bYFNVabDs2HVCBA 흥미로운가]|| 광주과학기술원(GIST) ||||https://www.youtube.com/embed/2r87TNCmt_Y
 
|-
 
|-
 
|}
 
|}
 +
 
==Bibliography==
 
==Bibliography==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70번째 줄: 113번째 줄:
 
|-
 
|-
 
|}
 
|}
 +
 
== Notes ==
 
== Notes ==
 
<references/>
 
<references/>
[[분류:Actor]][[분류: 이재열]]
+
 
 +
==Semantic Network Graph==
 +
 
 +
{{SemanticGraph | key=광주과학기술원(GIST)}}
 +
 
 +
 
 +
[[분류:Actor]][[분류: 이재열]][[분류:로]]

2024년 12월 9일 (월) 17:33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광주과학기술원(GIST)는 1993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정부출연 이공계 연구중심 특수 대학원 및 대학이다.
  • 1995년에 첫 석사과정이 시작되었으며 1997년 3월에 박사과정을 개설하고 2010년 학사과정을 설립하였다.
  • 물리‧화학‧생명과학‧지구환경공학‧기계공학‧신소재공학‧전기전자컴퓨터의 7개 전공과정과 수학‧인문학‧사회과학‧문화기술‧에너지‧지능로봇‧의생명공학의 7개 부전공과정이 설치되어 있으며 2021년도까지 총 6,813명(학사820명, 석사4,462명, 박사1,531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 2023년 영국 글로벌 대학평가 기관 QS가 실시한 2023 QS 세계대학평가에서 '교수 1인당 SCI급 논문 피인용지수(Citations per faculty)' 부문 세계 6위로, 15년 연속 국내 1위를 기록하였다.
  • 2008년부터 국립광주과학관과 협력하여 과학교육 프로그램 과학스쿨을 운영하고 있고 2017년에는 산하 한국문화기술연구소에서 국보 2점을 디지털 콘텐츠업체 조형물로 제작하여 국립광주박물관에 전시하기도 하는 등 광주지역 문화교육단체와 긴밀한 협력을 하고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광주과학기술원(GIST) Actor 단체-교육체육 학교 광주과학기술원(GIST) 광주과학기술원 光州科學技術院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광주과학기술원(GIST) 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이재열/광주과학기술원_오룡관.jpg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광주과학기술원(GIST) 광주과학기술원_한국문화기술연구소 hasPart
광주과학기술원(GIST) 광주과학기술원대학 hasPart
광주과학기술원(GIST) 광주과학기술원대학원 hasPart
광주과학기술원_한국문화기술연구소 박물관_해설문_한국수어_서비스 서비스 개발
국립광주박물관 전시회_마음이_곧_부처(卽心是佛) curates
디지털콘텐츠입체조형물_보림사_철조비로자나불좌상 광주과학기술원_한국문화기술연구소 creator
디지털콘텐츠입체조형물_보림사_철조비로자나불좌상 전시회_마음이_곧_부처(卽心是佛) hasExhibition
디지털콘텐츠입체조형물_보림사_철조비로자나불좌상 장흥_보림사_철조비로자나불좌상 isDerivativeOf 장흥_보림사_철조비로자나불좌상을 디지털 콘텐츠입체조형물
디지털콘텐츠입체조형물_송광사_목조삼존불감 전시회_마음이_곧_부처(卽心是佛) hasExhibition
디지털콘텐츠입체조형물_송광사_목조삼존불감 순천_송광사_목조삼존불감 isDerivativeOf 순천_송광사_목조삼존불감을 디지털콘텐츠 입체조형물로 제
디지털콘텐츠입체조형물_송광사_목조삼존불감 광주과학기술원_한국문화기술연구소 creator
박물관_해설문_한국수어_서비스 국립광주박물관 isUsedIn 국립광주박물관의 전시에서 사용되다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source target relation
광주과학기술원(GIST) 광주과학기술원_한국문화기술연구소 hasPart
광주과학기술원(GIST) 광주과학기술원대학 hasPart
광주과학기술원(GIST) 광주과학기술원대학원 hasPart
광주과학기술원_한국문화기술연구소 박물관_해설문_한국수어_서비스 isRelatedTo
국립광주박물관 전시회_마음이_곧_부처(卽心是佛) curates
디지털콘텐츠입체조형물_보림사_철조비로자나불좌상 광주과학기술원_한국문화기술연구소 creator
디지털콘텐츠입체조형물_보림사_철조비로자나불좌상 장흥_보림사_철조비로자나불좌상 isDerivativeOf
디지털콘텐츠입체조형물_보림사_철조비로자나불좌상 전시회_마음이_곧_부처(卽心是佛) hasExhibition
디지털콘텐츠입체조형물_송광사_목조삼존불감 광주과학기술원_한국문화기술연구소 creator
디지털콘텐츠입체조형물_송광사_목조삼존불감 순천_송광사_목조삼존불감 isDerivativeOf
디지털콘텐츠입체조형물_송광사_목조삼존불감 전시회_마음이_곧_부처(卽心是佛) hasExhibition
박물관_해설문_한국수어_서비스 국립광주박물관 isRelatedTo

Spatial Data

id latitude longitude address
광주과학기술원(GIST) 35.2275945 126.8393882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과기로 123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광주과학기술원(光州科學技術院)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5226
해설 두산백과 광주과학기술원[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光州科學技術院]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73921
참고 전자신문 GIST 한국문화기술연구소, 국보 2점 디지털 복원…전시회 개최 (2017-08-20, 김한식 기자) https://www.etnews.com/20170818000166
참고 전자신문 [기술혁신 현장을 가다]GIST 한국문화기술연구소 “문화향유 기회 확대” (2022-03-30, 김한식 기자) https://www.etnews.com/20220330000177
사진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광주과학기술원 캠퍼스 광주과학기술원 캠퍼스 풍경 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이재열/광주과학기술원_캠퍼스.jpg
사진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광주과학기술원 오룡관 광주과학기술원 오룡관 전경 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이재열/광주과학기술원_오룡관.jpg
VR360 흥미로운가 광주과학기술원(GIST) https://www.youtube.com/embed/2r87TNCmt_Y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_index online_resource url
논문 이공래‧최지선, 「지역 기술혁신에 대한 공공연구기관의 이해와 실천: 광주과학기술원 사례」, 『기술혁신학회지』 vol.8, no.3, 한국기술혁신학회, 2005. KCI https://www.etnews.com/20220330000177
단행본 광주과학기술원, 『광주과학기술원. 1997-1998』, 광주과학기술원, 1997. 국회전자도서관 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searchType=INNER_SEARCH&resultType=INNER_SEARCH_DETAIL&searchMehtod=L&searchClass=S&controlNo=MONO1199808367&queryText=&zone=&fieldText=&prevQueryTex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