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산국립공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국가민속문화재" 문자열을 "국가민속유산" 문자열로)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 Definition ==
 
== Definition ==
  
*[[무등산]]은 도립공원에서 2012년 우리나라 21번째로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
*[[무등산]]은 도립공원에서 2013년 우리나라 21번째로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무등산국립공원]]은 산봉, 기암, 계곡, 폭포, 약수 등의 경관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역사·문화자원으로는 보물, 사적, [[국가민속유산]], [[천연기념물]], [[광주광역시_유형문화유산]], [[광주광역시_기념물]], [[광주광역시_문화재자료]] 등이 있으며, 다양한 동·식물 자원이 분포하고 있다.
+
*[[무등산국립공원]]은 산봉, 기암, 계곡, 폭포, 약수 등의 경관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역사·문화자원으로는 보물, 사적, [[국가민속유산]], [[천연기념물]], [[광주광역시_유형문화유산]], [[광주광역시_기념물]], [[광주광역시_문화유산자료]] 등이 있으며, 다양한 동·식물 자원이 분포하고 있다.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서 면적이 2.5배 규모로 확대되어 완충 공간을 확보하였다.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서 면적이 2.5배 규모로 확대되어 완충 공간을 확보하였다.  
 
*2014년 12월 무등산이 [[무등산권_국가지질공원|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인증을 획득하였다.
 
*2014년 12월 무등산이 [[무등산권_국가지질공원|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인증을 획득하였다.
14번째 줄: 14번째 줄: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무등산국립공원|| Place|| || || 무등산국립공원|| 무등산국립공원|| ||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무등산국립공원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무등산국립공원.jpg
+
| 무등산국립공원|| Place|| 공원|| || 무등산국립공원|| 무등산국립공원|| ||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무등산국립공원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무등산국립공원.jpg
 
|}
 
|}
  
21번째 줄: 21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무등산국립공원]] || [[무등산]] ||  ||  || 2012년 무등산도립공원이 무등산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
| [[무등산국립공원]] || [[무등산]] ||  ||  || 2013년 무등산도립공원이 무등산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
 
|-
 
| [[무등산국립공원]] || [[무등산_주상절리대]] ||  ||  || 무등산국립공원에는 무등산 주상절리대가 있다.
 
| [[무등산국립공원]] || [[무등산_주상절리대]] ||  ||  || 무등산국립공원에는 무등산 주상절리대가 있다.
60번째 줄: 60번째 줄:
 
|-
 
|-
 
| 참고|| 무등산권지질공원|| 유네스코무등지오파크|| || https://geopark.gwangju.go.kr/contents.do?S=S01&M=010102020000
 
| 참고|| 무등산권지질공원|| 유네스코무등지오파크|| || https://geopark.gwangju.go.kr/contents.do?S=S01&M=010102020000
 +
|-
 +
| 사진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무등산국립공원 ||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무등산국립공원/무등산국립공원.jpg
 +
|-
 +
| 사진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무등산국립공원 표지석 ||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무등산국립공원/무등산국립공원_표지석.jpg
 
|-
 
|-
 
|}
 
|}

2024년 4월 29일 (월) 11:13 기준 최신판

Definition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무등산국립공원 Place 공원 무등산국립공원 무등산국립공원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무등산국립공원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무등산국립공원.jpg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무등산국립공원 무등산 2013년 무등산도립공원이 무등산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무등산국립공원 무등산_주상절리대 무등산국립공원에는 무등산 주상절리대가 있다.
무등산_입석대 무등산_주상절리대 입석대는 무등산 주상절리대 일부이다.
무등산_서석대 무등산_주상절리대 서석대는 무등산 주상절리대 일부이다.
무등산_광석대 무등산_주상절리대 광석대는 무등산 주상절리대 일부이다.
무등산국립공원 무등산권_국가지질공원 2014년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인증을 얻었다.
무등산국립공원 국립공원_100경 2016년 무등산국립공원 대표 지형인 주상절리대 등 국립공원 100경에 추가되었다.
무등산국립공원 무등산권_유네스코_세계지질공원 2018년 무등산국립공원이 무등산권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되었다.

Spatial Data

id latitude longitude address
무등산국립공원 35.14408228861818 126.98899897382528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1550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무등산국립공원 http://aks.ai/GC60005416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무등산 국립공원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8993
참고 국립공원공단 무등산국립공원 https://www.knps.or.kr/front/portal/visit/visitCourseMain.do?parkId=122000&menuNo=7020090
참고 무등산권지질공원 유네스코무등지오파크 https://geopark.gwangju.go.kr/contents.do?S=S01&M=010102020000
사진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무등산국립공원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무등산국립공원/무등산국립공원.jpg
사진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무등산국립공원 표지석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무등산국립공원/무등산국립공원_표지석.jpg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