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2023-040a"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Bibliography)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
 
#Links
 
#Links
S2023-040a 유무등산기 hasContextualElement
+
S2023-040a 1574_고경명의_무등산유람 hasContextualElement
 +
S2023-040a 1778_정약용의_무등산등반 hasContextualElement
 +
S2023-040a 고경명 hasContextualElement
 +
S2023-040a 광주무등산천황봉 hasContextualElement
 +
S2023-040a 김남주 hasContextualElement
 +
S2023-040a 김윤식 hasContextualElement
 +
S2023-040a 김종인 hasContextualElement
 +
S2023-040a 김호영 hasContextualElement
 +
S2023-040a 나옹화상 hasContextualElement
 +
S2023-040a 등서석산-정약용 hasContextualElement
 +
S2023-040a 무등산을_위하여 hasContextualElement
 +
S2023-040a 무등산 hasContextualElement
 +
S2023-040a 무등산_광석대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무등산문학백일장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무등산문학백일장 hasContextualElement
 +
S2023-040a 무등산상의_무등등관 hasContextualElement
 +
S2023-040a 범대순 hasContextualElement
 +
S2023-040a 서석산기-김호영 hasContextualElement
 +
S2023-040a 서석산기-송병선 hasContextualElement
 +
S2023-040a 석실무등산 hasContextualElement
 +
S2023-040a 소설_무등산 hasContextualElement
 +
S2023-040a 송병선 hasContextualElement
 +
S2023-040a 승려_조선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시_서석산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시_서석산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시집_무등산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시집_무등산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신재만록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신재만록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김윤식 hasContextualElement
+
S2023-040a 운양집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송병선 hasContextualElement
+
S2023-040a 유무등산기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김호영 hasContextualElement
+
S2023-040a 유서석록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서석산기-김호영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무등산상의_무등등관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최남선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유서석산기-정약용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유서석산기-정약용 hasContextualElement
 +
S2023-040a 유서석산기-정지유 hasContextualElement
 +
S2023-040a 이순인 hasContextualElement
 +
S2023-040a 임훈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정약용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정약용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광주무등산천황봉 hasContextualElement
+
S2023-040a 정지유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조봉묵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조봉묵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고경명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정지유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범대순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김종인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김남주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나옹화상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석실무등산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무등산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운양집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임훈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이순인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소설_무등산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승려_조선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증심사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증심사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증심사_취백루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증심사_취백루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무등산_광석대 hasContextualElement
+
S2023-040a 최남선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등서석산-정약용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유서석산기-정지유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1778_정약용의_무등산등반 hasContextualElement
 
S2023-040a 1574_고경명의_무등산유람 hasContextualElement
 
 
 
 
#End
 
#End
 
-->
 
-->
 
__NOTOC__
 
__NOTOC__
='''[[S2023-040a | 무등산이 품은 이야기]]  》 무등산과 문학'''=
+
='''[[S2023-040 | 무등산이 품은 이야기]]  》 무등산과 문학'''=
 +
 
 +
==Story==
 +
* 조선시대 문인들에게 무등산은 유람의 공간이자, 문학의 영감을 주는 곳이기도 했다. 무등산에 대한 문학인들의 사랑은 현재도 이어지며 다양한 작품의 중심 소재가 되고 있다.
 +
* 또한 무등산 등반 자체를 시계열적으로 기록한 문집을 통해서 어느 계절에 무등산을 올라 어디를 발로 딛었는지, 어떤 풍경을 보았는지 그 기록을 따라가 보며, 텍스트 너머의 실재를 상상해볼 수 있다.
  
 +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Node Description===
51번째 줄: 58번째 줄:
 
|}
 
|}
  
==Semantic Data==
+
==Web Resource==
<pre>
+
 
유무등산기
+
{|class="wikitable" style="width:98%"
무등산문학백일장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서석산
+
|-
김윤식
+
| 해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무등산을 노래한 고전문학[산문] || || http://aks.ai/GC60004680
송병선
+
|-
김호영
+
| 해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무등산을 노래한 고전문학[시문] || || http://aks.ai/GC60004679
서석산기-김호영
+
|-
무등산상의_무등등관
+
| 해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유서석록」 || || http://aks.ai/GC60004934
최남선
+
|-
유서석산기-정약용
+
| 해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유서석산기」[정약용] || || http://aks.ai/GC60004937
정약용
+
|-
광주무등산천황봉
+
| 해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유서석산기」[정지유] || || http://aks.ai/GC60004936
조봉묵
+
|-
고경명
+
| 해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유서석산기」[염재신] || || http://aks.ai/GC60005370
정지유
+
|-
범대순
+
| 해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유서석산기」[양진영] || || http://aks.ai/GC60004938
김종인
+
|-
김남주
+
| 해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유서석산기」[양재경] || || http://aks.ai/GC60005369
나옹화상
+
|-
무등산
+
| 해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서석산기」[김호영] || || http://aks.ai/GC60005374
임훈
+
|-
승려_조선
+
| 해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서석산기」[양회갑] || || http://aks.ai/GC60005373
증심사
+
|-
증심사_취백루
+
| 해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서석산기」[송병선] || || http://aks.ai/GC60004942
무등산_광석대
+
|}
고경명의_무등산유람
+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
 
 +
==Bibliography==
 +
 
 +
{|class="wikitable" style="width:98%"
 +
!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RISS:A100095962  || 논문 || 탁현숙, 「제봉(霽峯)의 <유서석록(遊瑞石錄)> 서술특성」, 『인문학연구』No.46,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 RISS || https://www.riss.kr/link?id=A100095962
 +
|-
 +
| RISS:A100105726  || 논문 || 김대현, 「조선전기 "무등산권 赤壁" 공간의 문학작품 연구」, 『한국시가문화연구』No.34,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4. || RISS || https://www.riss.kr/link?id=A100105726
 +
|-
 +
| RISS:A100425442  || 논문 || 김순영, 「호남 유산기의 자료적 특징과 의의」, 『국학연구론총』No.13, 택민국학연구원, 2014. || RISS || https://www.riss.kr/link?id=A100425442
 +
|}
 +
 
 +
* id: [[인용전거]]
 +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
 
 +
==Notes==
  
</pre>
+
<references/>
  
 
==Story Network Graph==
 
==Story Network Graph==
  
* 에피소드 : {{EpisodeLoader | db=gwangju | project=storyteam | title=S2023-040a}}
+
{{EpisodeLoader | db=gwangju | project=gwangju | title=S2023-040a}}
  
  
 
[[분류:Story]] [[분류:Story/2023]] [[분류:이한나]]
 
[[분류:Story]] [[분류:Story/2023]] [[분류:이한나]]

2024년 4월 10일 (수) 18:08 기준 최신판


무등산이 품은 이야기 》 무등산과 문학

Story

  • 조선시대 문인들에게 무등산은 유람의 공간이자, 문학의 영감을 주는 곳이기도 했다. 무등산에 대한 문학인들의 사랑은 현재도 이어지며 다양한 작품의 중심 소재가 되고 있다.
  • 또한 무등산 등반 자체를 시계열적으로 기록한 문집을 통해서 어느 계절에 무등산을 올라 어디를 발로 딛었는지, 어떤 풍경을 보았는지 그 기록을 따라가 보며, 텍스트 너머의 실재를 상상해볼 수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S2023-040a Story Episode 무등산과 문학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S2023-040a http://dh.aks.ac.kr/~gwangju/icon/episode.png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무등산을 노래한 고전문학[산문] http://aks.ai/GC60004680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무등산을 노래한 고전문학[시문] http://aks.ai/GC60004679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유서석록」 http://aks.ai/GC60004934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유서석산기」[정약용] http://aks.ai/GC60004937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유서석산기」[정지유] http://aks.ai/GC60004936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유서석산기」[염재신] http://aks.ai/GC60005370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유서석산기」[양진영] http://aks.ai/GC60004938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유서석산기」[양재경] http://aks.ai/GC60005369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서석산기」[김호영] http://aks.ai/GC60005374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서석산기」[양회갑] http://aks.ai/GC60005373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서석산기」[송병선] http://aks.ai/GC60004942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RISS:A100095962 논문 탁현숙, 「제봉(霽峯)의 <유서석록(遊瑞石錄)> 서술특성」, 『인문학연구』No.46,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RISS https://www.riss.kr/link?id=A100095962
RISS:A100105726 논문 김대현, 「조선전기 "무등산권 赤壁" 공간의 문학작품 연구」, 『한국시가문화연구』No.34,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4. RISS https://www.riss.kr/link?id=A100105726
RISS:A100425442 논문 김순영, 「호남 유산기의 자료적 특징과 의의」, 『국학연구론총』No.13, 택민국학연구원, 2014. RISS https://www.riss.kr/link?id=A100425442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tory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