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창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여성운동과 자선사업, 독립운동, 민주인권운동 등에 평생을 바친 '광주의 어머니'라 불리는 소심당 조아라는 1912년...)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3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__NOTOC__
 
__NOTOC__
 
==Definition==
 
==Definition==
*여성운동과 자선사업, 독립운동, 민주인권운동 등에 평생을 바친 '광주의 어머니'라 불리는 소심당  [[조아라]]는 1912년 3월 28일 나주군 반남면 대안리에서 출생, 사재를 털어 교회와 학교를 세워 계몽운동에 힘썼던 기독교 장로인 부친의 영향을 받아 기독교인으로 성장한다. 1927년 [[수피아여학교]]에 입학하게 되었는데  담임선생이었던 [[김필례]] 선생과의 만남은 평생 [[광주 YWCA]]에 봉사하는 계기가 되었다.<br/>
+
*고 [[한창기]]선생은 1936년 11월11일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고읍리에서 태어나 순천중, 광주고를 거쳐 서울대법대에 진학했다. 1968년 1월 브리테니커 백과사전의 한국지사인 [[한국브리테니커]] 회사를 설립해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현대적인 세일즈 기법을 도입하고 마케팅을 시도하였다.<br/>
*1931년 [[수피아여학교]] 졸업과 동시에 [[이일학교]] 교사로 가게 되었다. 1933년 1월, 교사로 근무한 지 1년 10개월이 되던 날 광주학생독립운동에 참여했던 비밀결사조직인 백청단 사건이 뒤늦게 밝혀지면서 주동자로 지목되어서 조사를 받고 1개월 후 석방되었지만 교직은 박탈당한다. 이후 청년회 활동을 하면서 이택규를 만나 1935년에 결혼하였다. <br/>
+
*박정희 독재정권에 맞서 전통문화와 전통예술, 인권과 민주주의의 가치를 지키기 위해 1976년 잡지 '[[뿌리깊은나무]]'를 창간했다. '[[뿌리깊은나무]]'는 한글 전용과 가로쓰기를 처음 시도한 잡지이다, 그러나 전두환 정권은 계급의식과 사회불안을 조성한다는 이유로 1980년 8월 '[[뿌리깊은나무]]'를 강제 폐간시켰다. 1984년 다시 여성잡지, 가정잡지 성격의 '[[샘이깊은물]]' 을 창간하였고, 잡지와 책을 통해 한글의 꼴과 쓰임을 다시 디자인했다.<br/>
*해방 후 [[김필례]] 선생님과 함께 [[수피아여학교]]를 다시 개교하고 1947년에 [[광주 YWCA]] 재건에 앞장서며, 한국전쟁 시에는 전쟁 고아들을 위한 아동복지시설 성빈여사와  1953년 야간 중학교 호남여숙을 설립했다. 1961년 초등교육을 받지 못한 여성들을 위한 청소년 야학 별빛학교를 설립해 한글을 가르치고 문맹 퇴치에 앞장섰으며, 1962년에는 윤락여성을 위한 직업교육 학교인 계명여사를 설립해 빈민여성의 직업교육에도 힘썼다.<br/>
+
*[[한창기]]선생은 한국의 토박이 문화를 대중에게 소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남한 땅 종합인문지리지 '[[한국의 발견]]'(11권), '[[뿌리깊은나무 민중 자서전]]' 시리즈를 발간하였는데 이 시리즈는 한국일보의 출판문화상를 수상했다. '[[브리테니커 판소리전집]]', '[[뿌리깊은 판소리 다섯마당]]', '[[뿌리깊은나무 산조 전집]]', '[[뿌리깊은나무 슬픈 소리]]', '[[브리테니커 팔도소리 전집]]', '[[해남 강강술래]]' 등을 출간하였다. '[[브리테니커 판소리 전집]]'은 한국방송공사(KBS) 국악대상을 수상하였고, 1974년 부터 <[[브리테니커 판소리 감상회]]>를 정기적으로 열어 100회가 되던 1978년까지 진행하였으며, 판소리의 보존과 보급에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다.<br/>
*[[5.18민주화운동]] 때는 광주 여성들과 함께 주먹밥을 만들며 항쟁을 도왔고, 5·18 수습대책위원으로 계엄군의 만행에 끝까지 항쟁하다 결국 내란 음모죄로 체포되어 6개월간 옥살이를 한다. 2003년 92세의 나이로 소천하시어 [[국립5.18민주묘지]]에 잠드셨고 나라에서는 국민훈장 무궁화장과 독립유공 건국포장을 추서했다.<br/>
+
*평생을 독신으로 살다가 1997년 2월 3일 간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2007년 9월 선생의 글을 모은 '[[뿌리깊은나무의 생각]]', '[[샘이깊은물의 생각]]', '[[배움나무의 생각]]'이 출간되었으며, 2008년 '[[특집!한창기]]'가 추모집으로 출간되었다.
*양림동에 [[소심당 조아라 기념관]]은 기독교 운동, 여성운동과 민주화운동 및 여성복지향상을 통한 사랑·정의·평화·봉사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
*순천시는 [[한창기]]선생이 평생동안 모은 문화재 6500 여점을 영구 기증받고 그중에서 800 여점을 상시 관람할 수 있는 <[[뿌리깊은나무 박물관]]>을 개관하였다. 박물관에는 '[[한창기실]]'을 마련하여, 선생이 생전에 사용했던 문구류, 서적, 책상 등으로 재현된 집무실, 발행했던 잡지와 단행본, 전통문화 사업부의 자료, 개인유품으로 꾸며져 있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4번째 줄: 14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조아라]] || Actor || 인물 || || 조아라 || 조아라 ||  ||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조아라 ||  
+
| [[한창기]] || Actor || 인물-사회언론 || 출판인 || 한창기(韓彰璂, 1936~1997) || 한창기 ||  ||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한창기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1/1a/한창기9.jpeg
 
|-
 
|-
 
|}
 
|}
23번째 줄: 23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조아라]] || [[김필례]]  ||  || 학생-스승
+
| [[한창기]] || [[한국브리테니커]]  ||  ||~가 ~을 설립
 
|-
 
|-
| [[조아라]] || [[이택규]]  ||  || 아내-남편
+
| [[한창기]] || [[뿌리깊은나무]]  ||  || ~가 만든 잡지
 
|-
 
|-
| [[조아라]] || [[광주_YWCA]]  ||  || 활동했던 단체
+
| [[한창기]] || [[샘이깊은물]]  ||  || ~가 만든 잡지
 
|-
 
|-
| [[조아라]] || [[이일학교]]  ||  || 교사로 근무
+
| [[한창기]] || [[한국의_발견]]  ||  || ~가 만든 인문지리지
 
|-
 
|-
| [[조아라]] || [[소심당_조아라_기념관]]  ||  || 기념관
+
| [[한창기]] || [[뿌리깊은나무_민중_자서전 ]]  ||  || ~가 만든 책
 
|-
 
|-
| [[조아라]] || [[성빈여사]]  ||  || 전쟁고아들을 위해 설립
+
| [[한창기]] || [[브리테니커_판소리_전집]]  ||  || ~가 만든 판소리모음 책
 
|-
 
|-
| [[조아라]] || [[호남여숙]]  ||  || 설립한 중학교
+
| [[한창기]] || [[뿌리깊은_판소리_다섯마당]]  ||  || ~가 만든 판소리 책
 
|-
 
|-
| [[조아라]] || [[별빛학교]]  ||  || 문맹퇴치를 위해 설립한 청소년야학
+
| [[한창기]] || [[뿌리깊은나무_산조_전집]]  ||  || ~가 만든 산조모음 책
 
|-
 
|-
| [[조아라]] || [[계명여사]]  ||  || 빈민여성들을 위해 설립한 직업교육학교
+
| [[한창기]] || [[뿌리깊은나무_슬픈_소리 ]]  ||  || ~가 만든 소리모음 책
 
|-
 
|-
| [[조아라]] || [[5.18민주화운동]]  ||  || 항쟁참여 및 5.18 수습대책위원
+
| [[한창기]] || [[해남_강강술래]]  ||  || ~가 만든 책
 +
|-
 +
| [[한창기]] || [[브리테니커_판소리_감상회]]  ||  || ~가 열었던 판소리 공연
 +
|-
 +
| [[한창기]] || [[특집!한창기]]  ||  || ~를 추모하여 낸 추모집
 +
|-
 +
| [[한창기]] || [[순천시립뿌리깊은나무박물관]]  ||  || ~가 기증한 유품으로 조성한 박물관
 +
|-
 +
|}
 +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target||relation
 +
|-
 +
|[[한창기]]||[[광주고등학교]]||hasAffiliation
 +
|-
 +
|[[한창기]]||[[브리테니커_판소리_감상회]]||administrates
 +
|-
 +
|[[브리테니커_판소리_전집]]||[[한창기]]||publisher
 +
|-
 +
|[[뿌리깊은_판소리_다섯마당]]||[[한창기]]||publisher
 +
|-
 +
|[[뿌리깊은나무]]||[[한창기]]||publisher
 +
|-
 +
|[[뿌리깊은나무_민중_자서전]]||[[한창기]]||publisher
 +
|-
 +
|[[뿌리깊은나무_산조_전집]]||[[한창기]]||publisher
 +
|-
 +
|[[뿌리깊은나무_슬픈_소리]]||[[한창기]]||publisher
 +
|-
 +
|[[샘이깊은물]]||[[한창기]]||publisher
 +
|-
 +
|[[특집!한창기]]||[[한창기]]||documents
 +
|-
 +
|[[한국브리테니커]]||[[한창기]]||founder
 +
|-
 +
|[[한국의_발견]]||[[한창기]]||publisher
 +
|-
 +
|[[한창기_유품]]||[[한창기]]||doner
 +
|-
 +
|[[해남_강강술래]]||[[한창기]]||publisher
 +
|-
 +
|[[한창기_유품]]||[[순천시립뿌리깊은나무박물관]]||currentLocation
 
|-
 
|-
 
|}
 
|}
50번째 줄: 91번째 줄: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 참고 || 오픈 아카이브 || 5·18민주화 운동과 '광주 어머니 조아라'||  || https://archives.kdemo.or.kr/contents/view/373
+
|해설 || 위키백과 || 한창기||  || https://ko.wikipedia.org/wiki/%ED%95%9C%EC%B0%BD%EA%B8%B0
 +
|-
 +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뿌리깊은나무||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5330
 
|-
 
|-
| 참고 || 한경닷컴 || 조아라는 누구인가? ( 2006-04-03, 남현호 기자)||  ||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03070907498
+
|참고 || 한겨레  || 아 그리운 사람, '잡지계 혁명가' 한창기 (2008-01-25, 고명섭 기자) ||  || https://www.hani.co.kr/arti/culture/book/265739.html
 
|-
 
|-
| 참고 || 중앙일보 || <삶과 주억> 조아라여사 별세(2003-07-09, 천창환 기자) ||  || https://www.joongang.co.kr/article/198468#home
+
|참고 || 아주경제 || <지역혼의 재발견 - (1) 광주정신>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 전남 보성이 낳은 문화운동의 '뿌리' (2021-04-29, 이재호 논설위원) ||  || https://www.ajunews.com/view/20210428142210267
 
|-
 
|-
| 참고 || 전남일보 || '광주의 어머니' 조아라선생 일대기 만화로 (2017-07-06, 박종호 기자) ||  || https://jnilbo.com/view/media/view?code=20170707000000527445870
+
|참고 || 시사인 || 시대를 앞서간 한 문화인을 추억함 (2008-01-28, 차형석 기자) ||  ||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88
 
|-
 
|-
| 참고 || 여성신문  ||' 광주의 어머니' 소심당(素心堂)조아라 (2018-10-04,, 이정실 기자) ||  || https://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4811
+
|참고 || 중앙일보 ||뿌리 깊은 사람 한창기 (2008-01-26, 중앙선데이) ||  || https://www.joongang.co.kr/article/3023624#home
 
|-
 
|-
| 동영상 || 소심당 조아라  ||광주 남구 가볼만한 곳, 광주의 어머니 광주 YWCA 소심당 조아라 기념관 ||  || https://www.youtube.com/watch?v=S3-2xy7oAvA
+
|참고 || 서울문화투데이 ||순천시립 뿌리깊은나무박물관, '한창기' 상설 전시실 마련 (2020-07-28, 이가온 기자) ||  || http://www.s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246
 
|-
 
|-
 +
|동영상|| 광주MBC ||    전설의 세일즈맨, 한국 전통문화발굴에 나서다 [다큐 '뿌리깊은 나무 한창기' 1부] ||  ||    https://www.youtube.com/watch?v=G3zzpDVmBjA
 +
|-                                                                                                 
 
|}
 
|}
  
69번째 줄: 114번째 줄: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단행본 || 문순태, 『낮은 땅의 어머니: 소심당 조아라 실명소설』, 광주:광주YMCA소심당 조아라 기념사업회, 2013 ||  || http://www.riss.kr/link?id=M13225829
+
| 논문 ||이광표, 「월간 뿌리깊은나무와 한창기의 전통인식」, 『한국학연구』57No-2020,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  KCI || http://www.riss.kr/link?id=A107799039
 
|-
 
|-
| 논문 ||박창훈, 「광주의 현대화와 기독교: 소심당 조아라를 중심으로」, 『한국교회사학회지』Vol53No-2019, 한국교회사학회, 2019 ||  KCI || http://www.riss.kr/link?id=A106347360
+
| 단행본 || 강운구와 쉰여덟사람, 『특집!한창기』, 파주:창비, 2008 ||  || http://www.riss.kr/link?id=M11189105
 
|-
 
|-
 
|}
 
|}
  
 +
==Notes==
 +
 +
<references/>
 +
 +
 +
==Semantic Network Graph==
  
 +
{{SemanticGraph | key=한창기}}
  
  
[[분류:Actor]] [[분류:김순정]]
+
[[분류:Actor]] [[분류:김순정]] [[분류:흥]]

2024년 3월 30일 (토) 11:03 기준 최신판

Definition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한창기 Actor 인물-사회언론 출판인 한창기(韓彰璂, 1936~1997) 한창기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한창기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1/1a/한창기9.jpeg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한창기 한국브리테니커 ~가 ~을 설립
한창기 뿌리깊은나무 ~가 만든 잡지
한창기 샘이깊은물 ~가 만든 잡지
한창기 한국의_발견 ~가 만든 인문지리지
한창기 뿌리깊은나무_민중_자서전 ~가 만든 책
한창기 브리테니커_판소리_전집 ~가 만든 판소리모음 책
한창기 뿌리깊은_판소리_다섯마당 ~가 만든 판소리 책
한창기 뿌리깊은나무_산조_전집 ~가 만든 산조모음 책
한창기 뿌리깊은나무_슬픈_소리 ~가 만든 소리모음 책
한창기 해남_강강술래 ~가 만든 책
한창기 브리테니커_판소리_감상회 ~가 열었던 판소리 공연
한창기 특집!한창기 ~를 추모하여 낸 추모집
한창기 순천시립뿌리깊은나무박물관 ~가 기증한 유품으로 조성한 박물관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source target relation
한창기 광주고등학교 hasAffiliation
한창기 브리테니커_판소리_감상회 administrates
브리테니커_판소리_전집 한창기 publisher
뿌리깊은_판소리_다섯마당 한창기 publisher
뿌리깊은나무 한창기 publisher
뿌리깊은나무_민중_자서전 한창기 publisher
뿌리깊은나무_산조_전집 한창기 publisher
뿌리깊은나무_슬픈_소리 한창기 publisher
샘이깊은물 한창기 publisher
특집!한창기 한창기 documents
한국브리테니커 한창기 founder
한국의_발견 한창기 publisher
한창기_유품 한창기 doner
해남_강강술래 한창기 publisher
한창기_유품 순천시립뿌리깊은나무박물관 currentLocation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해설 위키백과 한창기 https://ko.wikipedia.org/wiki/%ED%95%9C%EC%B0%BD%EA%B8%B0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뿌리깊은나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5330
참고 한겨레 아 그리운 사람, '잡지계 혁명가' 한창기 (2008-01-25, 고명섭 기자) https://www.hani.co.kr/arti/culture/book/265739.html
참고 아주경제 <지역혼의 재발견 - (1) 광주정신>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 전남 보성이 낳은 문화운동의 '뿌리' (2021-04-29, 이재호 논설위원) https://www.ajunews.com/view/20210428142210267
참고 시사인 시대를 앞서간 한 문화인을 추억함 (2008-01-28, 차형석 기자)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88
참고 중앙일보 뿌리 깊은 사람 한창기 (2008-01-26, 중앙선데이) https://www.joongang.co.kr/article/3023624#home
참고 서울문화투데이 순천시립 뿌리깊은나무박물관, '한창기' 상설 전시실 마련 (2020-07-28, 이가온 기자) http://www.s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246
동영상 광주MBC 전설의 세일즈맨, 한국 전통문화발굴에 나서다 [다큐 '뿌리깊은 나무 한창기' 1부] https://www.youtube.com/watch?v=G3zzpDVmBjA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이광표, 「월간 뿌리깊은나무와 한창기의 전통인식」, 『한국학연구』57No-2020,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KCI http://www.riss.kr/link?id=A107799039
단행본 강운구와 쉰여덟사람, 『특집!한창기』, 파주:창비, 2008 http://www.riss.kr/link?id=M11189105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