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Definition)
3번째 줄: 3번째 줄:
 
* [[5.18민주화운동|항쟁]] 당시 광주시민의 증언을 수록한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최초의 체계적인 기록물.
 
* [[5.18민주화운동|항쟁]] 당시 광주시민의 증언을 수록한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최초의 체계적인 기록물.
 
* 『[[죽음을_넘어_시대의_어둠을_넘어|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는 [[5.18민주화운동]] 당시 목격, 참여한 시민 약 200명의 구술에 의지해 쓰였다. 그들의 생생한 증언이 책의 주춧돌이다. 1부는 [[10.26사태]]에서 [[5.18민주화운동|5.18]]까지의 정치적 상황과 [[5.18민주화운동|5.18]] 이후의 투쟁에 관한 서술이 주를 이룬다. 2부에는 투쟁 이후의 상황을 서술했다.
 
* 『[[죽음을_넘어_시대의_어둠을_넘어|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는 [[5.18민주화운동]] 당시 목격, 참여한 시민 약 200명의 구술에 의지해 쓰였다. 그들의 생생한 증언이 책의 주춧돌이다. 1부는 [[10.26사태]]에서 [[5.18민주화운동|5.18]]까지의 정치적 상황과 [[5.18민주화운동|5.18]] 이후의 투쟁에 관한 서술이 주를 이룬다. 2부에는 투쟁 이후의 상황을 서술했다.
* 1980년, [[5.18민주화운동|항쟁]] 직후 당국의 엄혹한 감시를 피해 비밀리에 시작된 취재는 참여하는 사람 전체가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집단작업이었다. [[조양훈]]과 [[이재의]]의 집에서 주로 집필되었으며 [[최동술]], [[임철규]], [[조익문]], [[고선아]], [[조아라]] 등 독서토론 동아리 [[RUSA]] 후배들이 도왔다. 이후 [[정상용]], [[정용화]], [[이양현]], [[정해직]], [[윤강옥]] 등 [[5.18민주화운동|항쟁]] 지도부 출신 10여 명이 감수를 맡았다. 집필 책임자와 출판 책임자가 구속될 상황이 되자 소설가 [[황석영]]과 [[풀빛출판사]] 대표 [[나병식]]이 모든 책임을 지기로 했다.  
+
* 1980년, [[5.18민주화운동|항쟁]] 직후 당국의 엄혹한 감시를 피해 비밀리에 시작된 취재는 참여하는 사람 전체가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집단작업이었다. [[조양훈]]과 [[이재의]]의 집에서 주로 집필되었으며 [[최동술]], [[임철규]], [[조익문]], [[고선아]], [[조아라]] 등 독서토론 동아리 [[RUSA]] 후배들이 도왔다. 이후 [[정상용]], [[정용화]], [[이양현]], [[정해직]], [[윤강옥]] 등 [[5.18민주화운동|항쟁]] 지도부 출신 10여 명이 감수를 맡았다. 집필 책임자와 출판 책임자가 구속될 상황이 되자 소설가 [[황석영]]과 [[풀빛출판사]] 대표 [[나병식]]이 모든 책임을 지기로 했다. 1985년, 이런 제한된 여건 속에서 출간된 초판은 320면에 불과했다.  
* 1985년, 이런 제한된 여건 속에서 출간된 초판은 320면에 불과했다.  
 
 
* [[황석영]], [[이재의]], [[전용호]]의 집필로 2017년, 출판사 [[창비]]에서 전면 개정판이 출간되었다. 개정판은 그간의 [[5.18민주화운동|5.18]]청문회와 재판, 특별법 제정 등에 따른 진상 조사와 연구를 토대로 방대한 추가자료를 정리해 초판의 1.8배에 달하는 580면이 넘는 분량으로 2017년 출간되었다. [[5.18기념재단]], [[5.18민주화운동기록관]], [[전남대학교_5.18연구소|전남대학교 5.18연구소]], [[5.18민주화운동|5.18]] 당시 《[[구_전남매일신문|전남매일신문]]》의 사진기자였던 [[나경택]]의 적극적인 협조가 있었다.
 
* [[황석영]], [[이재의]], [[전용호]]의 집필로 2017년, 출판사 [[창비]]에서 전면 개정판이 출간되었다. 개정판은 그간의 [[5.18민주화운동|5.18]]청문회와 재판, 특별법 제정 등에 따른 진상 조사와 연구를 토대로 방대한 추가자료를 정리해 초판의 1.8배에 달하는 580면이 넘는 분량으로 2017년 출간되었다. [[5.18기념재단]], [[5.18민주화운동기록관]], [[전남대학교_5.18연구소|전남대학교 5.18연구소]], [[5.18민주화운동|5.18]] 당시 《[[구_전남매일신문|전남매일신문]]》의 사진기자였던 [[나경택]]의 적극적인 협조가 있었다.
 
* 초판이 ‘폭도들의 무장난동’으로 왜곡된 [[5.18민주화운동|항쟁]]의 진실을 알리기 위해서였다면 개정판은 2008년 보수정부 집권 이후 노골화된 [[5.18민주화운동|항쟁]]의 진상과 참여자에 대한 날조와 폄훼에 대항책으로 출간되었다. 최근까지 공개된 [[5.18민주화운동|5.18]] 당시 계엄군의 군사작전 내용과 [[5.18민주화운동|5.18]] 관련 재판 결과를 반영해 역사적·법률적 성격을 규명하는 데도 애썼다. 또한 항쟁의 당사자 외에 당시 현장을 취재했던 내외신기자들의 증언과 기사 등을 통해 입체적이고 객관적으로 기술하고자 노력하였다.
 
* 초판이 ‘폭도들의 무장난동’으로 왜곡된 [[5.18민주화운동|항쟁]]의 진실을 알리기 위해서였다면 개정판은 2008년 보수정부 집권 이후 노골화된 [[5.18민주화운동|항쟁]]의 진상과 참여자에 대한 날조와 폄훼에 대항책으로 출간되었다. 최근까지 공개된 [[5.18민주화운동|5.18]] 당시 계엄군의 군사작전 내용과 [[5.18민주화운동|5.18]] 관련 재판 결과를 반영해 역사적·법률적 성격을 규명하는 데도 애썼다. 또한 항쟁의 당사자 외에 당시 현장을 취재했던 내외신기자들의 증언과 기사 등을 통해 입체적이고 객관적으로 기술하고자 노력하였다.

2024년 2월 21일 (수) 20:40 판

Definition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죽음을_넘어_시대의_어둠을_넘어 Work 문학 죽음을_넘어_시대의_어둠을 _넘어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죽음을_넘어_시대의_어둠을_넘어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죽음을_넘어_시대의_어둠을_넘어.jpg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죽음을_넘어_시대의_어둠을_넘어 5.18민주화운동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는 5.18민주화운동과 관련이 있다
죽음을_넘어_시대의_어둠을_넘어 오월문학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는 오월문학과 관련이 있다
죽음을_넘어_시대의_어둠을_넘어 풀빛출판사 초판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는 풀빛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
풀빛출판사 나병식 대표 나병식은 풀빛출판사의 멤버이다
죽음을_넘어_시대의_어둠을_넘어 나병식 출판책임자, 구속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의 출판책임자는 나병식이다
죽음을_넘어_시대의_어둠을_넘어 황석영 집필편집자, 구속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의 창작자는 황석영이다
죽음을_넘어_시대의_어둠을_넘어 이재의 공동집필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의 창작자는 이재의이다
죽음을_넘어_시대의_어둠을_넘어 조양훈 공동집필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의 창작자는 조양훈이다
RUSA 죽음을_넘어_시대의_어둠을_넘어 독서토론 동아리 RUSA는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집필을 조력했다
죽음을_넘어_시대의_어둠을_넘어 창비 개정판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는 창비에서 출간되었다
5.18기념재단 죽음을_넘어_시대의_어둠을_넘어 5.18기념재단은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의 전면 개정에 조력했다
5.18민주화운동기록관 죽음을_넘어_시대의_어둠을_넘어 5.18민주화운동기록관은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의 전면 개정에 조력했다
전남대학교_5.18연구소 죽음을_넘어_시대의_어둠을_넘어 전남대학교_5.18연구소은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의 전면 개정에 조력했다
나경택 죽음을_넘어_시대의_어둠을_넘어 나경택은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의 전면 개정에 조력했다
나경택 구_전남매일신문 기자 나경택은 《전남매일신문》의 멤버였다
죽음을_넘어_시대의_어둠을_넘어 광주_청문회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는 광주 청문회에 자료로 제공되었다
죽음을_넘어_시대의_어둠을_넘어 12.12_군사반란_재판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는 12.12 군사반란 재판에 자료로 제공되었다
죽음을_넘어_시대의_어둠을_넘어 5.18 재판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는 5.18 재판에 자료로 제공되었다
죽음을_넘어_시대의_어둠을_넘어] 국방부_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는 국방부_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의 5.18민주화운동 사건 보고서 작성 자료로 제공되었다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참고 풀빛출판사 공식홈페이지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광주 5월 민중항쟁의 기록 http://www.pulbit.co.kr/book/book_detail.asp?p_code=481&cIdx=17&gotopage=1&searchtxt=%EC%A3%BD%EC%9D%8C%EC%9D%84%20%EB%84%98%EC%96%B4
참고 광주in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영문판 저작권 기증 (2016-11-24, 이상현 기자) https://www.gwangjuin.com/news/articleView.html?idxno=93269
참고 민중의 소리 광주항쟁 알린 지하 베스트셀러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32년만에 재출간 (2017-05-10, 권종술 기자) https://vop.co.kr/A00001157478.html
참고 더팩트 영국 Verso 출판사, ‘죽음을 넘어~’ 영문판 Gwangju Uprising 출간 ‘화제’ (2022-07-04, 박호재 기자) https://news.tf.co.kr/read/national/1949352.htm
참고 서울문화투데이 서울기록원 ‘넘어 넘어: 진실을 말하는 용기’展, "5‧18민주화운동 40주년 의미 담아" (2020-05-15, 김지현 기자) http://www.s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583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단행본 전남사회운동협의회(엮은이), 황석영,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풀빛출판사, 1985. https://www.google.co.kr/search?q=89-7474-802-9+02900
단행본 전남사회운동협의회(엮은이), 황석영 이재의, 전용호,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창비, 2017. https://www.google.co.kr/search?q=9788936486143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