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목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기초) |
(→교육) |
||
334번째 줄: | 334번째 줄: | ||
! id || 범주 || 스토리라인 || 에피소드 || 관련 핵심항목 || 관련 문맥항목 || 관련 메타버스 Scene || 큐레이터 | ! id || 범주 || 스토리라인 || 에피소드 || 관련 핵심항목 || 관련 문맥항목 || 관련 메타버스 Scene || 큐레이터 | ||
|- | |- | ||
− | | [[S2023-101]] || 교육 || 5.18민주화 운동-학교교육과정연계 || || || || || 박현정 | + | | [[S2023-101]] || 교육 || 5.18민주화 운동-학교교육과정연계 || || ||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1a]] || 교육 || 5.18민주화 운동-학교교육과정연계 || 가만히 있으라 ||[[전남대학교_정문]],[[계엄령]],[[금남로]] ||[[신군부]],[[계엄군]],[[김경철]],[[전두환]] || || 박현정 | + | | [[S2023-101a]] || 교육 || 5.18민주화 운동-학교교육과정연계 || 가만히 있으라 ||[[전남대학교_정문]],[[계엄령]],[[금남로]] ||[[신군부]],[[계엄군]],[[김경철]],[[전두환]]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1b]] || 교육 || 5.18민주화 운동-학교교육과정연계 || 가만히 있을 수 없어요 ||[[5.18민주화운동]],[[5.18민주화운동기록관]],[[무등경기장]],[[금남로]],[[시민군]] || [[카톨릭센터]],[[5.18민주화운동_차량시위]],[[광주MBC]],[[광주KBS]],[[영화_택시운전사]],[[계엄군]],[[광주역_광장]],[[5.18민주화운동_헬기사격설]] || || 박현정 | + | | [[S2023-101b]] || 교육 || 5.18민주화 운동-학교교육과정연계 || 가만히 있을 수 없어요 ||[[5.18민주화운동]],[[5.18민주화운동기록관]],[[무등경기장]],[[금남로]],[[시민군]] || [[카톨릭센터]],[[5.18민주화운동_차량시위]],[[광주MBC]],[[광주KBS]],[[영화_택시운전사]],[[계엄군]],[[광주역_광장]],[[5.18민주화운동_헬기사격설]]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1c]] || 교육 || 5.18민주화 운동-학교교육과정연계 || 우리는 폭도가 아닙니다 ||[[5.18민주화운동]],[[광주_주먹밥]],[[시민군]],[[전일빌딩245]],[[광주적십자병원]],[[5.18시민수습대책위원회]] || [[계엄군]],[[시민군_주먹밥_제공]],[[광주_주먹밥_체험관]],[[5.18민주화운동기록관_양은함지박]],[[5.18민주화운동_헌혈운동]],[[주남마을_버스_총격사건]],[[방광범]],[[전재수]] || || 박현정 | + | | [[S2023-101c]] || 교육 || 5.18민주화 운동-학교교육과정연계 || 우리는 폭도가 아닙니다 ||[[5.18민주화운동]],[[광주_주먹밥]],[[시민군]],[[전일빌딩245]],[[광주적십자병원]],[[5.18시민수습대책위원회]] || [[계엄군]],[[시민군_주먹밥_제공]],[[광주_주먹밥_체험관]],[[5.18민주화운동기록관_양은함지박]],[[5.18민주화운동_헌혈운동]],[[주남마을_버스_총격사건]],[[방광범]],[[전재수]]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1d]] || 교육 || 5.18민주화 운동-학교교육과정연계 || 광주의 따뜻한 봄 ||[[5.18민주화운동]],[[5.18시민수습대책위원회]],[[5.18학생수습위원회]] ||[[김성용]],[[들불야학]],[[윤상원]],[[5.18민주화운동기록관]],[[임을_위한_행진곡]],[[국립5.18민주묘지]],[[투사회보]],[[투사회보체]],[[5.18민주화운동기록물]],[[세계기록유산]]|| || 박현정 | + | | [[S2023-101d]] || 교육 || 5.18민주화 운동-학교교육과정연계 || 광주의 따뜻한 봄 ||[[5.18민주화운동]],[[5.18시민수습대책위원회]],[[5.18학생수습위원회]] ||[[김성용]],[[들불야학]],[[윤상원]],[[5.18민주화운동기록관]],[[임을_위한_행진곡]],[[국립5.18민주묘지]],[[투사회보]],[[투사회보체]],[[5.18민주화운동기록물]],[[세계기록유산]]||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2]] || 교육 || 광주의 박물관 || 광주 박물관 메타아카이브 ||[[광주역사민속박물관]],[[전라남도농업박물관]], [[전남대학교_박물관]],[[국립광주박물관]],[[세계카메라영화박물관]],[[광주교육대학교 교육박물관]],[[남도향토음식박물관]],[[아시아문화박물관]],[[5.18민주화운동기록관]],[[비움박물관]],[[분청사기박물관]],[[광주김치박물관]],[[KJB금융박물관]],[[조선대학교박물관]],[[조선대학교치의학박물관]],[[조선대학교_장황남정보통신박물관]],[[전남대학교_학동캠퍼스간호역사관]] || || || 박현정 | + | | [[S2023-102]] || 교육 || 광주의 박물관 || 광주 박물관 메타아카이브 ||[[광주역사민속박물관]],[[전라남도농업박물관]], [[전남대학교_박물관]],[[국립광주박물관]],[[세계카메라영화박물관]],[[광주교육대학교 교육박물관]],[[남도향토음식박물관]],[[아시아문화박물관]],[[5.18민주화운동기록관]],[[비움박물관]],[[분청사기박물관]],[[광주김치박물관]],[[KJB금융박물관]],[[조선대학교박물관]],[[조선대학교치의학박물관]],[[조선대학교_장황남정보통신박물관]],[[전남대학교_학동캠퍼스간호역사관]] ||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3]] || 교육 || 다섯가지를 버려요 || || || || ||박현정 | + | | [[S2023-103]] || 교육 || 다섯가지를 버려요 || ||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3a]] || 교육 || 다섯가지를 버려요 || 광주의 지도자 || [[최흥종]],[[광주_3.1운동]], [[광주_YMCA]],[[경양방죽_매립_반대_투쟁위원회]], [[삼애학원]] || [[허백련]], [[김구]], [[화광동진]], [[농업실습학교]], [[국립대전현충원]], [[오방최흥종기념관]] || || 박현정 | + | | [[S2023-103a]] || 교육 || 다섯가지를 버려요 || 광주의 지도자 || [[최흥종]],[[광주_3.1운동]], [[광주_YMCA]],[[경양방죽_매립_반대_투쟁위원회]], [[삼애학원]] || [[허백련]], [[김구]], [[화광동진]], [[농업실습학교]], [[국립대전현충원]], [[오방최흥종기념관]]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3b]] || 교육 || 다섯가지를 버려요 || 광주 최초의 목사 || [[최흥종]], [[오기원]], [[배유지]], [[오방]], [[광주_양림교회]] || [[미국남장로교]], [[김윤수]], [[평양대부흥회]], [[포사이드]] || || 박현정 | + | | [[S2023-103b]] || 교육 || 다섯가지를 버려요 || 광주 최초의 목사 || [[최흥종]], [[오기원]], [[배유지]], [[오방]], [[광주_양림교회]] || [[미국남장로교]], [[김윤수]], [[평양대부흥회]], [[포사이드]]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3c]] || 교육 || 다섯가지를 버려요 || 한센병의 아버지 || [[최흥종]], [[광주_제중병원]], [[광주나병원]], [[포사이드]], [[서서평]], [[구라행진]] || [[한센병자]], [[애양원]], [[우일선]] || || | + | | [[S2023-103c]] || 교육 || 다섯가지를 버려요 || 한센병의 아버지 || [[최흥종]], [[광주_제중병원]], [[광주나병원]], [[포사이드]], [[서서평]], [[구라행진]] || [[한센병자]], [[애양원]], [[우일선]]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4]] || 교육 || 사통팔달 광주 || || || || ||박현정 | + | | [[S2023-104]] || 교육 || 사통팔달 광주 || ||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4a]] || 교육 || 사통팔달 광주 || 광주의 옛길 || [[무등산_옛길]], [[무돌길]], [[너릿재]], [[까치고개]], [[돌고개]] || [[화순]], [[너릿재터널]], [[양동시장]] || || 박현정 | + | | [[S2023-104a]] || 교육 || 사통팔달 광주 || 광주의 옛길 || [[무등산_옛길]], [[무돌길]], [[너릿재]], [[까치고개]], [[돌고개]] || [[화순]], [[너릿재터널]], [[양동시장]]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4b]] || 교육 || 사통팔달 광주 || 광주의 철도 || [[광주역]], [[광주송정역(기차역)]], [[광주_도시철도]], [[경양역]] || [[1913송정역시장]], [[경양방죽]], [[광주역_광장]], [[극락강역]] || || 박현정 | + | | [[S2023-104b]] || 교육 || 사통팔달 광주 || 광주의 철도 || [[광주역]], [[광주송정역(기차역)]], [[광주_도시철도]], [[경양역]] || [[1913송정역시장]], [[경양방죽]], [[광주역_광장]], [[극락강역]]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4c]] || 교육 || 사통팔달 광주 || 광주의 버스 || [[광주_버스]], [[광주_버스_운송업체]], [[버스_518번]], [[버스_419번]] || [[대창운수]], [[광남운수]], [[을로운수]], [[천일버스]], [[5.18민주화운동]], [[4.19혁명]] || || 박현정 | + | | [[S2023-104c]] || 교육 || 사통팔달 광주 || 광주의 버스 || [[광주_버스]], [[광주_버스_운송업체]], [[버스_518번]], [[버스_419번]] || [[대창운수]], [[광남운수]], [[을로운수]], [[천일버스]], [[5.18민주화운동]], [[4.19혁명]]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4d]] || 교육 || 사통팔달 광주 || 소식을 전해요 || [[광주우체국]], [[광주우체사]], [[충장로]], [[우다방]], [[제봉로]] || [[광주충장로우체국]]|| || 박현정 | + | | [[S2023-104d]] || 교육 || 사통팔달 광주 || 소식을 전해요 || [[광주우체국]], [[광주우체사]], [[충장로]], [[우다방]], [[제봉로]] || [[광주충장로우체국]]||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5]] || 교육 || 광주의 예루살렘 || || || || ||박현정 | + | | [[S2023-105]] || 교육 || 광주의 예루살렘 || ||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5a]] || 교육 || 광주의 예루살렘 || 양림동에 묻힌 이방인 || [[양림동_선교사_묘역]],[[오기원]], [[배유지]], [[서서평]],[[타에리사]],[[허철선]],[[유수만]],[[엄언라]],[[해리]],[[부란도]],[[배주량]],[[이철원]],[[유애진]],[[유우선]] || [[호남신학대학교]], [[신사참배]], [[오웬기념각]], [[양림동_선교기념비]] || || 박현정 | + | | [[S2023-105a]] || 교육 || 광주의 예루살렘 || 양림동에 묻힌 이방인 || [[양림동_선교사_묘역]],[[오기원]], [[배유지]], [[서서평]],[[타에리사]],[[허철선]],[[유수만]],[[엄언라]],[[해리]],[[부란도]],[[배주량]],[[이철원]],[[유애진]],[[유우선]] || [[호남신학대학교]], [[신사참배]], [[오웬기념각]], [[양림동_선교기념비]]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5b]] || 교육 || 광주의 예루살렘 || 한국을 사랑한 이방인|| [[오기원]], [[오웬]], [[유진벨]], [[어비슨]], [[양림역사문화마을]], [[광주광역시_유형문화재]], [[우일선]], [[우일선선교사사택]], [[광주_제중병원]], [[광주광역시_기념물]], [[양림동호랑가시나무_언덕]], [[광주_구_수피아여학교_커티스_메모리얼_홀]], [[광주_구_수피아여학교_윈스브로우_홀]] || [[조지아나_휘팅]], [[김윤수]], [[드라마_각시탈]], [[기독간호대학교]], [[정율성음악축제]], [[양림동_스마트투어_모바일앱]], [[드라마_사의찬미]], [[서로득]], [[국가등록문화재]] || || 박현정 | + | | [[S2023-105b]] || 교육 || 광주의 예루살렘 || 한국을 사랑한 이방인|| [[오기원]], [[오웬]], [[유진벨]], [[어비슨]], [[양림역사문화마을]], [[광주광역시_유형문화재]], [[우일선]], [[우일선선교사사택]], [[광주_제중병원]], [[광주광역시_기념물]], [[양림동호랑가시나무_언덕]], [[광주_구_수피아여학교_커티스_메모리얼_홀]], [[광주_구_수피아여학교_윈스브로우_홀]] || [[조지아나_휘팅]], [[김윤수]], [[드라마_각시탈]], [[기독간호대학교]], [[정율성음악축제]], [[양림동_스마트투어_모바일앱]], [[드라마_사의찬미]], [[서로득]], [[국가등록문화재]]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5c]] || 교육 || 광주의 예루살렘 || 일제강점기 광주의 대형병원 || [[광주_제중병원]], [[광주기독병원]], [[놀란]], [[최흥종]], [[배유지]], [[우일선]] || [[광주기독병원_제중역사관]], [[3.1운동]], [[5.18민주화운동]] || || 박현정 | + | | [[S2023-105c]] || 교육 || 광주의 예루살렘 || 일제강점기 광주의 대형병원 || [[광주_제중병원]], [[광주기독병원]], [[놀란]], [[최흥종]], [[배유지]], [[우일선]] || [[광주기독병원_제중역사관]], [[3.1운동]], [[5.18민주화운동]]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6]] || 교육 || 광주의 고려인 || || || || || 박현정 | + | | [[S2023-106]] || 교육 || 광주의 고려인 || ||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6a]] || 교육 || 광주의 고려인 || 고려인의 역사 || [[고려인]], [[연해주]], [[중앙아시아]], [[카레이스키]], [[러시아]], [[CIS]], [[광주_고려인마을]], [[우크라이나_동포_입국]] || [[월곡_고려인_문화관_결]], [[홍범도]], [[카레예츠]]|| || 박현정 | + | | [[S2023-106a]] || 교육 || 광주의 고려인 || 고려인의 역사 || [[고려인]], [[연해주]], [[중앙아시아]], [[카레이스키]], [[러시아]], [[CIS]], [[광주_고려인마을]], [[우크라이나_동포_입국]] || [[월곡_고려인_문화관_결]], [[홍범도]], [[카레예츠]]||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6b]] || 교육 || 광주의 고려인 || 고려인 마을의 공간 || [[광주_고려인마을]], [[새날학교]], [[GBS고려방송]], [[고려인_교회]], [[고려인마을_깔끔이_봉사단]], [[고려인마을_자율방범대]], [[바람개비_꿈터_공립지역아동센터]], [[고려인_인문사회연구소]], [[고려인_광주진료소]], [[NK비전센터]],[[광주한글학교]] || [[하남공업단지]], [[월곡동]], [[이천영]] || ||박현정 | + | | [[S2023-106b]] || 교육 || 광주의 고려인 || 고려인 마을의 공간 || [[광주_고려인마을]], [[새날학교]], [[GBS고려방송]], [[고려인_교회]], [[고려인마을_깔끔이_봉사단]], [[고려인마을_자율방범대]], [[바람개비_꿈터_공립지역아동센터]], [[고려인_인문사회연구소]], [[고려인_광주진료소]], [[NK비전센터]],[[광주한글학교]] || [[하남공업단지]], [[월곡동]], [[이천영]]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6c]] || 교육 || 광주의 고려인 || 고려인 마을 사람들 || [[광주_고려인마을]], [[고려인마을협동조합]], [[고려인종합지원센터]], [[신조야]], [[김블라지미르]], [[텐올가]], [[고려인마을_어린이_합창단]] || [[GBS고려방송]], [[고려인마을_가족카페]] || || 박현정 | + | | [[S2023-106c]] || 교육 || 광주의 고려인 || 고려인 마을 사람들 || [[광주_고려인마을]], [[고려인마을협동조합]], [[고려인종합지원센터]], [[신조야]], [[김블라지미르]], [[텐올가]], [[고려인마을_어린이_합창단]] || [[GBS고려방송]], [[고려인마을_가족카페]]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6d]] || 교육 || 광주의 고려인 || 고려인 마을 사람들의 의식주 || [[광주_고려인마을]], [[고려인의_날]], [[세계음식문화거리]], [[고려인가족식당]], [[러시아마트]] || [[광주_먹자골목]], [[냠냠]], [[소그지아나_마트]], [[사마르나_식당]], [[투르키스탄_식당]], [[스마크_식당]], [[코리아나]], [[V미용실]], [[강엘레나무용학원]],[[한복]]|| || 박현정 | + | | [[S2023-106d]] || 교육 || 광주의 고려인 || 고려인 마을 사람들의 의식주 || [[광주_고려인마을]], [[고려인의_날]], [[세계음식문화거리]], [[고려인가족식당]], [[러시아마트]] || [[광주_먹자골목]], [[냠냠]], [[소그지아나_마트]], [[사마르나_식당]], [[투르키스탄_식당]], [[스마크_식당]], [[코리아나]], [[V미용실]], [[강엘레나무용학원]],[[한복]]||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7]] || 교육 || 광주의 도로명 || ||[[도로명주소]],[[김태원]].[[정지]],[[고경명]],[[전상의]],[[허백련]],[[오지호]],[[김덕령]],[[정충신]],[[정율성]],[[최흥종]],[[박광옥]],[[박용철]],[[임방울]],[[서서평]],[[조아라]] ||[[죽봉대로]],[[제봉로]],[[구성로]],[[의재로]],[[충장로]],[[금남로]],[[회재로]],[[용아로]],[[경열로]],[[임방울대로]],[[지호로]],[[정율성로]],[[오방로]],[[서서평길]] || || 박현정 | + | | [[S2023-107]] || 교육 || 광주의 도로명 || ||[[도로명주소]],[[김태원]].[[정지]],[[고경명]],[[전상의]],[[허백련]],[[오지호]],[[김덕령]],[[정충신]],[[정율성]],[[최흥종]],[[박광옥]],[[박용철]],[[임방울]],[[서서평]],[[조아라]] ||[[죽봉대로]],[[제봉로]],[[구성로]],[[의재로]],[[충장로]],[[금남로]],[[회재로]],[[용아로]],[[경열로]],[[임방울대로]],[[지호로]],[[정율성로]],[[오방로]],[[서서평길]]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7a]] || 교육 || 광주의 도로명 || 이선제의 필문대로 ||[[이선제]],[[필문대로]] ||[[희경루]][[무진군_강등_사건]],[[광주목_복호]], [[광주향약]],[[기축옥사]],[[이발]],[[괘고정수]],[[괘고정수축제]],[[필문이선제부조묘]],[[이선제_묘지_귀환]],[[분청사기_상감_경태5년명_이선제_묘지]] || || 박현정 | + | | [[S2023-107a]] || 교육 || 광주의 도로명 || 이선제의 필문대로 ||[[이선제]],[[필문대로]] ||[[희경루]][[무진군_강등_사건]],[[광주목_복호]], [[광주향약]],[[기축옥사]],[[이발]],[[괘고정수]],[[괘고정수축제]],[[필문이선제부조묘]],[[이선제_묘지_귀환]],[[분청사기_상감_경태5년명_이선제_묘지]]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7b]] || 교육 || 광주의 도로명 || 전상의의 구성로 ||[[전상의]],[[구성로]] ||[[경열사]],[[정묘호란]],[[광주_충민사]],[[전상의장군예장석묘]]|| || 박현정 | + | | [[S2023-107b]] || 교육 || 광주의 도로명 || 전상의의 구성로 ||[[전상의]],[[구성로]] ||[[경열사]],[[정묘호란]],[[광주_충민사]],[[전상의장군예장석묘]]||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7c]] || 교육 || 광주의 도로명 || 박상의 눌재로 ||[[박상]],[[눌재로]] ||[[눌재집]],[[눌재집목판각]],[[설화_박눌재와_고양이]],[[월봉서원]],[[송호영당]],[[고경명]],[[송순]],[[정철]],[[임억령]]|| || 박현정 | + | | [[S2023-107c]] || 교육 || 광주의 도로명 || 박상의 눌재로 ||[[박상]],[[눌재로]] ||[[눌재집]],[[눌재집목판각]],[[설화_박눌재와_고양이]],[[월봉서원]],[[송호영당]],[[고경명]],[[송순]],[[정철]],[[임억령]]||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7d]] || 교육 || 광주의 도로명 || 박용철의 용아로 ||[[박용철]],[[용아로]] || [[광주공원_박용철_시비]],[[떠나가는_배]],[[밤_기차에_그대를_보내고]],[[시_고향]],[[시_무제]],[[용아생가]]|| || 박현정 | + | | [[S2023-107d]] || 교육 || 광주의 도로명 || 박용철의 용아로 ||[[박용철]],[[용아로]] || [[광주공원_박용철_시비]],[[떠나가는_배]],[[밤_기차에_그대를_보내고]],[[시_고향]],[[시_무제]],[[용아생가]]||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7e]] || 교육 || 광주의 도로명 || 정엄의 양촌길 ||[[정엄]],[[양촌길]] ||[[양림동_개비]],[[정엄의_충견]],[[효자_광주_정공엄지려]],[[애니메이션_이야기배달부_동개비]],[[충견상]]|| || 박현정 | + | | [[S2023-107e]] || 교육 || 광주의 도로명 || 정엄의 양촌길 ||[[정엄]],[[양촌길]] ||[[양림동_개비]],[[정엄의_충견]],[[효자_광주_정공엄지려]],[[애니메이션_이야기배달부_동개비]],[[충견상]]||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7f]] || 교육 || 광주의 도로명 || 정지의 경열로 ||[[정지]],[[경열로]] ||[[경열사]],[[정지장군예장석묘]],[[정지장군_갑옷]],[[정지장군예장석묘]],[[SS-073_정지]],[[관음포전투]]|| || 박현정 | + | | [[S2023-107f]] || 교육 || 광주의 도로명 || 정지의 경열로 ||[[정지]],[[경열로]] ||[[경열사]],[[정지장군예장석묘]],[[정지장군_갑옷]],[[정지장군예장석묘]],[[SS-073_정지]],[[관음포전투]]||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7g]] || 교육 || 광주의 도로명 || 박광옥의 회재로 ||[[박광옥]],[[회재로]] ||[[광주향교]],[[개산방죽(전평호수)]],[[벽진서원]],[[회재유집]],[[회재유집목판]],[[고경명]],[[회재유집목판]],[[국립광주박물관]] || || 박현정 | + | | [[S2023-107g]] || 교육 || 광주의 도로명 || 박광옥의 회재로 ||[[박광옥]],[[회재로]] ||[[광주향교]],[[개산방죽(전평호수)]],[[벽진서원]],[[회재유집]],[[회재유집목판]],[[고경명]],[[회재유집목판]],[[국립광주박물관]]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7h]] || 교육 || 광주의 도로명 || 오지호의 지호로 ||[[오지호]],[[지호로]] ||[[오지호가]], [[오지호미술문화회]],[[오지호기념관]],[[광주미술연구회]],[[조선대학교_미술학과]]|| || 박현정 | + | | [[S2023-107h]] || 교육 || 광주의 도로명 || 오지호의 지호로 ||[[오지호]],[[지호로]] ||[[오지호가]], [[오지호미술문화회]],[[오지호기념관]],[[광주미술연구회]],[[조선대학교_미술학과]]||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8]] || 교육 || 나라를 사랑한 의로운 병사들 || || || || || 박현정 | + | | [[S2023-108]] || 교육 || 나라를 사랑한 의로운 병사들 || || ||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8a]] || 교육 || 나라를 사랑한 의로운 병사들 || 나라의 큰일이 생기면 우리 모두 의병 || [[호남의병]], [[임진왜란_호남_의병]], [[임진왜란]], [[고경명]], [[금산전투]], [[김덕령]], [[김천일]], [[박광옥]] || [[정렬사]], [[포충사]], [[광주_환벽당]], [[권율]], [[광주_충장사]], [[충장로]], [[제봉로]], [[벽진서원]], [[광주향교]], [[회재로]] || || 박현정 | + | | [[S2023-108a]] || 교육 || 나라를 사랑한 의로운 병사들 || 나라의 큰일이 생기면 우리 모두 의병 || [[호남의병]], [[임진왜란_호남_의병]], [[임진왜란]], [[고경명]], [[금산전투]], [[김덕령]], [[김천일]], [[박광옥]] || [[정렬사]], [[포충사]], [[광주_환벽당]], [[권율]], [[광주_충장사]], [[충장로]], [[제봉로]], [[벽진서원]], [[광주향교]], [[회재로]]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8b]] || 교육 || 나라를 사랑한 의로운 병사들 || 동학농민운동으로 시작된 항일 의병 || [[동학농민운동]], [[무돌길]], [[정미의병]], [[김태원]], [[어등산]], [[호남창의회맹소]], [[심남일]], [[전라도_을미의병]], [[양방매]], [[김율]] || [[죽봉대로]], [[호남의병기념관]], [[광주공원]], [[남도의병역사공원]], [[쌍산의소]], [[여성의병]]|| || 박현정 | + | | [[S2023-108b]] || 교육 || 나라를 사랑한 의로운 병사들 || 동학농민운동으로 시작된 항일 의병 || [[동학농민운동]], [[무돌길]], [[정미의병]], [[김태원]], [[어등산]], [[호남창의회맹소]], [[심남일]], [[전라도_을미의병]], [[양방매]], [[김율]] || [[죽봉대로]], [[호남의병기념관]], [[광주공원]], [[남도의병역사공원]], [[쌍산의소]], [[여성의병]]||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8c]] || 교육 || 나라를 사랑한 의로운 병사들 || 아버지와 아들은 길에서 만나요 || [[양진여]], [[양상기]], [[호남_항일운동]], [[서암대로]], [[설죽로]], [[남한폭도대토벌작전]] || [[신안교]], [[백마산]], [[매월동]], [[부자의병]], [[부자의병장_묘]] || || 박현정 | + | | [[S2023-108c]] || 교육 || 나라를 사랑한 의로운 병사들 || 아버지와 아들은 길에서 만나요 || [[양진여]], [[양상기]], [[호남_항일운동]], [[서암대로]], [[설죽로]], [[남한폭도대토벌작전]] || [[신안교]], [[백마산]], [[매월동]], [[부자의병]], [[부자의병장_묘]]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9]] || 교육 || 광주의 축제 || || || || || 박현정 | + | | [[S2023-109]] || 교육 || 광주의 축제 || || ||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9a]] || 교육 || 광주의 축제 || 우리 조상들도 축제를 즐겼어요 ||[[광주_칠석_고싸움놀이]],[[서창만드리풍년제]]|| || || 박현정 | + | | [[S2023-109a]] || 교육 || 광주의 축제 || 우리 조상들도 축제를 즐겼어요 ||[[광주_칠석_고싸움놀이]],[[서창만드리풍년제]]||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09b]] || 교육 || 광주의 축제 || 오늘날의 광주의 축제 ||[[추억의_충장축제]],[[광주세계김치축제]],[[기역이_니은이_축제]],[[광주_서창_억새축제]],[[장성_황룡강_가을꽃축제]]|,[[광주향교_사직_단오잔치]],[[정율성음악축제]] || [[광주_주남마을]],[[광주향교]] || || 박현정 | + | | [[S2023-109b]] || 교육 || 광주의 축제 || 오늘날의 광주의 축제 ||[[추억의_충장축제]],[[광주세계김치축제]],[[기역이_니은이_축제]],[[광주_서창_억새축제]],[[장성_황룡강_가을꽃축제]]|,[[광주향교_사직_단오잔치]],[[정율성음악축제]] || [[광주_주남마을]],[[광주향교]]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0]] || 교육 || 광주는 무등산, 무등산은 광주 || || || || || 박현정 | + | | [[S2023-110]] || 교육 || 광주는 무등산, 무등산은 광주 || ||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0a]] || 교육 || 광주는 무등산, 무등산은 광주 || 이야기가 있는 무등산의 길 || [[무등산]], [[무등산_옛길]], [[무등산]], [[광주_원효사]], [[광주_충장사]], [[가사문화권]], [[무등산장,광주_환벽당_일원]], [[광주_환벽당_일원]], [[광주_충효동_왕버들_군]] || [[김덕령]], [[김윤제]], [[소쇄원]], [[양산보]], [[송시열]]|| || 박현정 | + | | [[S2023-110a]] || 교육 || 광주는 무등산, 무등산은 광주 || 이야기가 있는 무등산의 길 || [[무등산]], [[무등산_옛길]], [[무등산]], [[광주_원효사]], [[광주_충장사]], [[가사문화권]], [[무등산장,광주_환벽당_일원]], [[광주_환벽당_일원]], [[광주_충효동_왕버들_군]] || [[김덕령]], [[김윤제]], [[소쇄원]], [[양산보]], [[송시열]]||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0a]] || 교육 || 광주는 무등산, 무등산은 광주 || 세계자연유산 주상절리 || [[무등산]], [[무등산_주상절리대]], [[무등산_지공너덜]], [[국가지정문화재_명승]], [[무등산_광석대]], [[무등산_입석대]], [[무등산_서석대]], [[무등산_규봉]] || [[유서석록]], [[고경명]]|| ||박현정 | + | | [[S2023-110a]] || 교육 || 광주는 무등산, 무등산은 광주 || 세계자연유산 주상절리 || [[무등산]], [[무등산_주상절리대]], [[무등산_지공너덜]], [[국가지정문화재_명승]], [[무등산_광석대]], [[무등산_입석대]], [[무등산_서석대]], [[무등산_규봉]] || [[유서석록]], [[고경명]]||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0b]] || 교육 || 광주는 무등산, 무등산은 광주 || 무등산을 사랑하고 지켜요 || [[무등산]], [[무등산_시민공유화_운동]], [[무등산생태탐방원]], [[무등산생태탐방원]], [[무등산권_유네스코_세계지질공원]] || [[충효동]], [[광주호호수생태원_산책로]], [[무등산환경지킴이]], [[내셔널트러스트]] || ||박현정 | + | | [[S2023-110b]] || 교육 || 광주는 무등산, 무등산은 광주 || 무등산을 사랑하고 지켜요 || [[무등산]], [[무등산_시민공유화_운동]], [[무등산생태탐방원]], [[무등산생태탐방원]], [[무등산권_유네스코_세계지질공원]] || [[충효동]], [[광주호호수생태원_산책로]], [[무등산환경지킴이]], [[내셔널트러스트]]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0c]] || 교육 || 광주는 무등산, 무등산은 광주 || 무등산에 살리라 || [[허백련]], [[최흥종]], [[광주_약사암]], [[허백련춘설헌]], [[증심사]], [[의재미술관]] || [[김덕령]], [[금곡동제철유적]]|| || 박현정 | + | | [[S2023-110c]] || 교육 || 광주는 무등산, 무등산은 광주 || 무등산에 살리라 || [[허백련]], [[최흥종]], [[광주_약사암]], [[허백련춘설헌]], [[증심사]], [[의재미술관]] || [[김덕령]], [[금곡동제철유적]]||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1]] || 교육 || 선사시대부터 광주 || || || || || 박현정 | + | | [[S2023-111]] || 교육 || 선사시대부터 광주 || || ||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1a]] || 교육 || 선사시대부터 광주 || 신창동 선사유적지 || [[광주_신창동_유적]], [[광주_신창동_유적_독무덤]], [[국가사적]], [[광주_신창동_유적_출토_유물]], [[국가사적]], [[마한]], [[전시회_신창동유적-2천년_전의_타임캡슐]] || [[호남고속도로]], [[국립광주박물관]], [[영산강]], [[화순고인돌유적]]|| || 박현정 | + | | [[S2023-111a]] || 교육 || 선사시대부터 광주 || 신창동 선사유적지 || [[광주_신창동_유적]], [[광주_신창동_유적_독무덤]], [[국가사적]], [[광주_신창동_유적_출토_유물]], [[국가사적]], [[마한]], [[전시회_신창동유적-2천년_전의_타임캡슐]] || [[호남고속도로]], [[국립광주박물관]], [[영산강]], [[화순고인돌유적]]||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1b]] || 교육 || 선사시대부터 광주 || 빛을 든 두마리 사자의 바쁜 여행 || [[광양_중흥산성_쌍사자_석등]], [[국립광주박물관]], [[옥룡보통학교]], [[경복궁]], [[청와대]], [[덕수궁]], [[국립중앙박물관]] || [[석등]], [[쌍사자_석등]], [[불교]], [[보은_법주사_쌍사자_석등]], [[통일신라시대]], [[광양_중흥산성]], [[일제강점기]], [[오구라_다케노스케]]|| || 박현정 | + | | [[S2023-111b]] || 교육 || 선사시대부터 광주 || 빛을 든 두마리 사자의 바쁜 여행 || [[광양_중흥산성_쌍사자_석등]], [[국립광주박물관]], [[옥룡보통학교]], [[경복궁]], [[청와대]], [[덕수궁]], [[국립중앙박물관]] || [[석등]], [[쌍사자_석등]], [[불교]], [[보은_법주사_쌍사자_석등]], [[통일신라시대]], [[광양_중흥산성]], [[일제강점기]], [[오구라_다케노스케]]||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1c]] || 교육 || 선사시대부터 광주 || 무등산의 흙으로 도자기를 빚어요. 충효동 요지 || [[광주_충효동_요지]], [[광주_충효동_요지_1번_가마터]], [[광주_충효동_요지_2번_가마터]], [[전시_가마터(광주_충효동_요지)]], [[광주역사민속박물관]], [[분청사기전라도명항아리]] || [[무등산_분청사기_전시실]], [[무등산]], [[아시아도자문화실]], [[국립중앙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 [[풍화토]] || || 박현정 | + | | [[S2023-111c]] || 교육 || 선사시대부터 광주 || 무등산의 흙으로 도자기를 빚어요. 충효동 요지 || [[광주_충효동_요지]], [[광주_충효동_요지_1번_가마터]], [[광주_충효동_요지_2번_가마터]], [[전시_가마터(광주_충효동_요지)]], [[광주역사민속박물관]], [[분청사기전라도명항아리]] || [[무등산_분청사기_전시실]], [[무등산]], [[아시아도자문화실]], [[국립중앙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 [[풍화토]]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1d]] || 교육 || 선사시대부터 광주 || 장고 모양의 두개의 무덤 || [[월계동장고분]], [[월계동장고분_1호분]], [[월계동장고분_2호분]], [[월계동장고분_원통형토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전남대학교_박물관]], [[전방후원분]], [[원통형토기]] || [[영산강]], [[나주_신촌리9호분]], [[청동기]], [[백제]]|| || 박현정 | + | | [[S2023-111d]] || 교육 || 선사시대부터 광주 || 장고 모양의 두개의 무덤 || [[월계동장고분]], [[월계동장고분_1호분]], [[월계동장고분_2호분]], [[월계동장고분_원통형토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전남대학교_박물관]], [[전방후원분]], [[원통형토기]] || [[영산강]], [[나주_신촌리9호분]], [[청동기]], [[백제]]||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2]] || 교육 || 햇볕이 드는 숲, 양림동 || || || || || 박현정 | + | | [[S2023-112]] || 교육 || 햇볕이 드는 숲, 양림동 || || ||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2a]] || 교육 || 햇볕이 드는 숲, 양림동 || 광주의 기독교 성지 || [[광주_양림교회]], [[우일선선교사사택]], [[유진벨선교사기념관]], [[양림동]], [[남장로회]], [[양림동_선교사]], [[양림동_선교사_묘역]], [[광주_구_수피아여학교_커티스_메모리얼_홀]] || [[우일선]], [[배유지]], [[한센병자]], [[숭일학교]], [[수피아여학교]], [[김현승]], [[양림동호랑가시나무]]|| || 박현정 | + | | [[S2023-112a]] || 교육 || 햇볕이 드는 숲, 양림동 || 광주의 기독교 성지 || [[광주_양림교회]], [[우일선선교사사택]], [[유진벨선교사기념관]], [[양림동]], [[남장로회]], [[양림동_선교사]], [[양림동_선교사_묘역]], [[광주_구_수피아여학교_커티스_메모리얼_홀]] || [[우일선]], [[배유지]], [[한센병자]], [[숭일학교]], [[수피아여학교]], [[김현승]], [[양림동호랑가시나무]]||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2b]] || 교육 || 햇볕이 드는 숲, 양림동 || 햇볕이 드는 따뜻한 펭귄마을 || [[펭귄마을]], [[양림동_펭귄마을공예거리]], [[양림동_벽화거리]] || [[제이홉(BTS)]], [[협동조합]], [[양림동_펭귄계단]], [[평화의소년상]], [[위안부]]|| || 박현정 | + | | [[S2023-112b]] || 교육 || 햇볕이 드는 숲, 양림동 || 햇볕이 드는 따뜻한 펭귄마을 || [[펭귄마을]], [[양림동_펭귄마을공예거리]], [[양림동_벽화거리]] || [[제이홉(BTS)]], [[협동조합]], [[양림동_펭귄계단]], [[평화의소년상]], [[위안부]]||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2c]] || 교육 || 햇볕이 드는 숲, 양림동 || 근대 건축물과 전통건축물의 조화 || [[우일선선교사사택]],[[수피아여학교]], [[이장우가옥]], [[최승효가옥]] || [[광주광역시_민속문화재]], [[정낙교]], [[이장우]], [[영화_해어화]], [[최상현]], [[최승효]]|| || 박현정 | + | | [[S2023-112c]] || 교육 || 햇볕이 드는 숲, 양림동 || 근대 건축물과 전통건축물의 조화 || [[우일선선교사사택]],[[수피아여학교]], [[이장우가옥]], [[최승효가옥]] || [[광주광역시_민속문화재]], [[정낙교]], [[이장우]], [[영화_해어화]], [[최상현]], [[최승효]]||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2d]] || 교육 || 햇볕이 드는 숲, 양림동 || 역사와 문화가 넘치는 양림동 || [[양림역사문화마을]], [[소심당_조아라_기념관]], [[정율성_거리_전시관]], [[개비]] || [[이이남스튜디오]], [[정율성]], [[다형다방]], [[러브앤프리]], [[10년후그라운드]], [[양림동호랑가시나무]]|| || 박현정 | + | | [[S2023-112d]] || 교육 || 햇볕이 드는 숲, 양림동 || 역사와 문화가 넘치는 양림동 || [[양림역사문화마을]], [[소심당_조아라_기념관]], [[정율성_거리_전시관]], [[개비]] || [[이이남스튜디오]], [[정율성]], [[다형다방]], [[러브앤프리]], [[10년후그라운드]], [[양림동호랑가시나무]]||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3]] || 교육 || 광주의 여성 || || || || || 박현정 | + | | [[S2023-113]] || 교육 || 광주의 여성 || || ||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3a]] || 교육 || 광주의 여성 || 광주의 어머니, 조아라 || [[소심당_조아라_기념관]], [[여성운동]], [[김필례]], [[광주_YWCA]], [[이일학교]], [[김구]], [[광주학생독립운동]], [[5.18민주화운동]],[[성빈여사]] || [[소심당]], [[허백련]], [[광주의_어머니]], [[백청단_사건]]|| || 박현정 | + | | [[S2023-113a]] || 교육 || 광주의 여성 || 광주의 어머니, 조아라 || [[소심당_조아라_기념관]], [[여성운동]], [[김필례]], [[광주_YWCA]], [[이일학교]], [[김구]], [[광주학생독립운동]], [[5.18민주화운동]],[[성빈여사]] || [[소심당]], [[허백련]], [[광주의_어머니]], [[백청단_사건]]||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3b]] || 교육 || 광주의 여성 || 한국을 사랑한 서서평 || [[구라행진]], [[이일학교]], [[남장교회]], [[한센병자]],[[광주_제중병원]], [[서서평]], [[천천히_평온하게]] || [[조선간호협회]], [[최흥종]], [[소록도]], [[양림동]], [[조아라]] || || 박현정 | + | | [[S2023-113b]] || 교육 || 광주의 여성 || 한국을 사랑한 서서평 || [[구라행진]], [[이일학교]], [[남장교회]], [[한센병자]],[[광주_제중병원]], [[서서평]], [[천천히_평온하게]] || [[조선간호협회]], [[최흥종]], [[소록도]], [[양림동]], [[조아라]]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3c]] || 교육 || 광주의 여성 || 한국YWCA 창설자 김필례 || [[김필례]], [[한국YWCA]], [[광주_YWCA]], [[3.1운동]], [[정신여학교]], [[근우회]], [[수피아여학교]] || [[광주여성야학교]], [[여성인권]], [[독립운동]], [[북장로회]], [[김활란]] || || 박현정 | + | | [[S2023-113c]] || 교육 || 광주의 여성 || 한국YWCA 창설자 김필례 || [[김필례]], [[한국YWCA]], [[광주_YWCA]], [[3.1운동]], [[정신여학교]], [[근우회]], [[수피아여학교]] || [[광주여성야학교]], [[여성인권]], [[독립운동]], [[북장로회]], [[김활란]]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3d]] || 교육 || 광주의 여성 || 박순이와 우일선선교사사택 || [[우일선선교사사택]], [[충현원]], [[수피아여학교]], [[광주_양림교회]] || [[전남여자고등학교]]|| || 박현정 | + | | [[S2023-113d]] || 교육 || 광주의 여성 || 박순이와 우일선선교사사택 || [[우일선선교사사택]], [[충현원]], [[수피아여학교]], [[광주_양림교회]] || [[전남여자고등학교]]||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3e]] || 교육 || 광주의 여성 || 광주의 여성을 위한 교육 || [[수피아여학교,전남여자고등학교]], [[광주여자대학교]] || [[독립운동]], [[여성교육]], [[3.1운동]]|| || 박현정 | + | | [[S2023-113e]] || 교육 || 광주의 여성 || 광주의 여성을 위한 교육 || [[수피아여학교,전남여자고등학교]], [[광주여자대학교]] || [[독립운동]], [[여성교육]], [[3.1운동]]||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4]] || 교육 || 삶이 흐르는 광주천 || || || || || 박현정 | + | | [[S2023-114]] || 교육 || 삶이 흐르는 광주천 || || ||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4a]] || 교육 || 삶이 흐르는 광주천 || 광주천옆 방직공장 || [[전남방직]], [[종연방적]], [[일신방직]], [[임동방직공장]] || [[전방주식회사]], [[뿅뿅다리]], [[광주천]], [[김용주]], [[김형남]], [[적산기업]] || || 박현정 | + | | [[S2023-114a]] || 교육 || 삶이 흐르는 광주천 || 광주천옆 방직공장 || [[전남방직]], [[종연방적]], [[일신방직]], [[임동방직공장]] || [[전방주식회사]], [[뿅뿅다리]], [[광주천]], [[김용주]], [[김형남]], [[적산기업]]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4b]] || 교육 || 삶이 흐르는 광주천 || 광주천의 다리들 || [[광주천]], [[광주천_교량,뿅뿅다리]], [[광주_배고픈다리]] || [[광주교]], [[남광보도교]], [[광주대교]], [[부동교]], [[청춘발산마을]], [[전남방직]], [[뽕뽕다리_마을전시관]], [[5.18민주화운동]], [[홍림교]] || || 박현정 | + | | [[S2023-114b]] || 교육 || 삶이 흐르는 광주천 || 광주천의 다리들 || [[광주천]], [[광주천_교량,뿅뿅다리]], [[광주_배고픈다리]] || [[광주교]], [[남광보도교]], [[광주대교]], [[부동교]], [[청춘발산마을]], [[전남방직]], [[뽕뽕다리_마을전시관]], [[5.18민주화운동]], [[홍림교]]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4c]] || 교육 || 삶이 흐르는 광주천 || 광주천 자전거길 || [[광주천_자전거길]], [[영산강_자전거길]], [[타랑께(공유자전거)]] || [[너릿재체육공원]] || || 박현정 | + | | [[S2023-114c]] || 교육 || 삶이 흐르는 광주천 || 광주천 자전거길 || [[광주천_자전거길]], [[영산강_자전거길]], [[타랑께(공유자전거)]] || [[너릿재체육공원]]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4e]] || 교육 || 삶이 흐르는 광주천 || 천따라 양동시장 || [[광주_전통시장]], [[광주천]], [[양동시장]], [[서구_8경]], [[양동_복개상가]], [[혼수의_거리]] || [[광주_주먹밥]], [[5.18민주화운동]], [[홍어]], [[양동_닭전머리]], [[1969양동통닭]] || || 박현정 | + | | [[S2023-114e]] || 교육 || 삶이 흐르는 광주천 || 천따라 양동시장 || [[광주_전통시장]], [[광주천]], [[양동시장]], [[서구_8경]], [[양동_복개상가]], [[혼수의_거리]] || [[광주_주먹밥]], [[5.18민주화운동]], [[홍어]], [[양동_닭전머리]], [[1969양동통닭]]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5]] || 교육 || 광주의 동력 || || || || || 박현정 | + | | [[S2023-115]] || 교육 || 광주의 동력 || || ||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5a]] || 교육 || 광주의 동력 || 광주의 근대산업|| [[무등양말]], [[임동방직공장]], [[일신방직]], [[전남방직]], [[종연방적]] ||[[섬유]],[[광주천]] || || 박현정 | + | | [[S2023-115a]] || 교육 || 광주의 동력 || 광주의 근대산업|| [[무등양말]], [[임동방직공장]], [[일신방직]], [[전남방직]], [[종연방적]] ||[[섬유]],[[광주천]]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5b]] || 교육 || 광주의 동력 || 광주의 산업단지들 || [[하남공업단지]],[[송암공업단지]],[[본촌산업단지]], [[소촌산업단]],[[평동일반산업단지]],[[첨단과학산업단지]] || [[첨단산업]],[[아시아자동차]], [[연탄]],[[자동차]] || || 박현정 | + | | [[S2023-115b]] || 교육 || 광주의 동력 || 광주의 산업단지들 || [[하남공업단지]],[[송암공업단지]],[[본촌산업단지]], [[소촌산업단]],[[평동일반산업단지]],[[첨단과학산업단지]] || [[첨단산업]],[[아시아자동차]], [[연탄]],[[자동차]]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5c]] || 교육 || 광주의 동력 || 광주의 기업들 ||[[금호아시아나그룹]],[[광주은행]],[[호반건설]],[[앰코테크놀로지]],[[화천기공]]|| [[금호건설]], [[금호아시아나]],[[금호고속]],[[호반베르디움]],[[서울신문]],[[김향수]], [[반도체]], [[아남산업]]|| || 박현정 | + | | [[S2023-115c]] || 교육 || 광주의 동력 || 광주의 기업들 ||[[금호아시아나그룹]],[[광주은행]],[[호반건설]],[[앰코테크놀로지]],[[화천기공]]|| [[금호건설]], [[금호아시아나]],[[금호고속]],[[호반베르디움]],[[서울신문]],[[김향수]], [[반도체]], [[아남산업]]||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5d]] || 교육 || 광주의 동력 || 광주의 미래 산업 ||[[인공지능_산업융합_집적단지]],[[에너지융복합_종합센터]],[[미래차_국가산단]] || [[에너지산업]],[[인공지능]],[[도시첨단_국가산업단지]],[[자동차]] || || 박현정 | + | | [[S2023-115d]] || 교육 || 광주의 동력 || 광주의 미래 산업 ||[[인공지능_산업융합_집적단지]],[[에너지융복합_종합센터]],[[미래차_국가산단]] || [[에너지산업]],[[인공지능]],[[도시첨단_국가산업단지]],[[자동차]]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6]] || 교육 || 광주의 불교 || || || || || 박현정 | + | | [[S2023-116]] || 교육 || 광주의 불교 || || ||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6a]] || 교육 || 광주의 불교 || 무등산의 대표사찰 증심사 || [[증심사]],[[김방]],[[증심사오백전]],[[광주_배고픈다리]],[[광주_배고픈다리_지명유래전설]] || [[무등산]],[[광주광역시_유형문화재]],[[템플스테이]] || ||박현정 | + | | [[S2023-116a]] || 교육 || 광주의 불교 || 무등산의 대표사찰 증심사 || [[증심사]],[[김방]],[[증심사오백전]],[[광주_배고픈다리]],[[광주_배고픈다리_지명유래전설]] || [[무등산]],[[광주광역시_유형문화재]],[[템플스테이]]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6b]] || 교육 || 광주의 불교 || 불교와 국가 보물들 ||[[(전)광주_성거사지_오층석탑]],[[광주_약사암_석조여래좌상]],[[광주_지산동_오층석탑]] || [[성거사]],[[광주공원]],[[국립광주박물관]],[[국가지정문화재_보물]],[[약사사]],[[백천사]],[[지산동]],[[운천사]] || ||박현정 | + | | [[S2023-116b]] || 교육 || 광주의 불교 || 불교와 국가 보물들 ||[[(전)광주_성거사지_오층석탑]],[[광주_약사암_석조여래좌상]],[[광주_지산동_오층석탑]] || [[성거사]],[[광주공원]],[[국립광주박물관]],[[국가지정문화재_보물]],[[약사사]],[[백천사]],[[지산동]],[[운천사]]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6c]] || 교육 || 광주의 불교 || 빛고을에도 자비가 || [[광주_원효사]],[[5.18민주화운동]],[[문빈정사]],[[광주_원각사]],[[광주전남불교환경연대]],[[무각사]] ||[[원효대사]],[[김홍빈]],[[5.18추모법회]] || || 박현정 | + | | [[S2023-116c]] || 교육 || 광주의 불교 || 빛고을에도 자비가 || [[광주_원효사]],[[5.18민주화운동]],[[문빈정사]],[[광주_원각사]],[[광주전남불교환경연대]],[[무각사]] ||[[원효대사]],[[김홍빈]],[[5.18추모법회]]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7]] || 교육 || 광주의 유교 || || || || || 박현정 | + | | [[S2023-117]] || 교육 || 광주의 유교 || || ||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7a]] || 교육 || 광주의 유교 || 땅과 곡식에게 감사를 || [[광주_사직공원]] || [[사직제]],[[광주_사직단]],[[사직도서관]],[[사직공원_전망타워]],[[양파정]] || ||박현정 | + | | [[S2023-117a]] || 교육 || 광주의 유교 || 땅과 곡식에게 감사를 || [[광주_사직공원]] || [[사직제]],[[광주_사직단]],[[사직도서관]],[[사직공원_전망타워]],[[양파정]]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7b]] || 교육 || 광주의 유교 || 광주의 선비 || [[기대승]],[[고경명]],[[김덕령]],[[월봉서원]],[[환벽당]],[[풍양정]],[[광주_충장사]] ||[[젇철]],[[이황]],[[과거시험]],[[호남의_선비정신]],[[김삿갓]],[[김삿갓시비]] || ||박현정 | + | | [[S2023-117b]] || 교육 || 광주의 유교 || 광주의 선비 || [[기대승]],[[고경명]],[[김덕령]],[[월봉서원]],[[환벽당]],[[풍양정]],[[광주_충장사]] ||[[젇철]],[[이황]],[[과거시험]],[[호남의_선비정신]],[[김삿갓]],[[김삿갓시비]]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7c]] || 교육 || 광주의 유교 || 양파 같은 양파정 || [[양파정]],[[정낙교]],[[광주천]]||[[이장우가옥]],[[정율성]],[[광주_사직공원]],[[김태오]] || ||박현정 | + | | [[S2023-117c]] || 교육 || 광주의 유교 || 양파 같은 양파정 || [[양파정]],[[정낙교]],[[광주천]]||[[이장우가옥]],[[정율성]],[[광주_사직공원]],[[김태오]]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7d]] || 교육 || 광주의 유교 || 광주의 서원|| [[월봉서원]], [[운암서원]],[[수암서원]],[[내산서원]],[[벽진서원]],[[무양서원]],[[유애서원]] ||[[기대승]], [[이발]],[[운암사]],[[박광옥]],[[김태오]] || ||박현정 | + | | [[S2023-117d]] || 교육 || 광주의 유교 || 광주의 서원|| [[월봉서원]], [[운암서원]],[[수암서원]],[[내산서원]],[[벽진서원]],[[무양서원]],[[유애서원]] ||[[기대승]], [[이발]],[[운암사]],[[박광옥]],[[김태오]]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8]] || 교육 || 광주의 작은 거인들 || || || || || 박현정 | + | | [[S2023-118]] || 교육 || 광주의 작은 거인들 || || ||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8a]] || 교육 || 광주의 작은 거인들 || 광주학생운동 ||[[광주학생독립운동]],[[광주제일고등학교]],[[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관]] || [[나주역_사건]],[[학생투쟁지도본부]],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탑]], [[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 [[항일운동]] || ||박현정 | + | | [[S2023-118a]] || 교육 || 광주의 작은 거인들 || 광주학생운동 ||[[광주학생독립운동]],[[광주제일고등학교]],[[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관]] || [[나주역_사건]],[[학생투쟁지도본부]],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탑]], [[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 [[항일운동]]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8b]] || 교육 || 광주의 작은 거인들 ||1980년 5월의 작은 거인들 ||[[5.18민주화운동]], [[5.18민주화운동_희생자_안치]],[[전재수]],[[방광범]]||[[5.18민주화운동기록물]] || ||박현정 | + | | [[S2023-118b]] || 교육 || 광주의 작은 거인들 ||1980년 5월의 작은 거인들 ||[[5.18민주화운동]], [[5.18민주화운동_희생자_안치]],[[전재수]],[[방광범]]||[[5.18민주화운동기록물]]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8c]] || 교육 || 광주의 작은 거인들 || 작은 거인들을 위해 || [[광주광역시_어린이시청]], [[국립광주박물관_어린이박물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_어린이문화원]],[[김태오]],[[여운교]], [[광주YMCA드림청소년오케스트라]]|| [[광주시립미술관_어린이미술관]],[[광주어린이체육센터]], [[광주어린이대공원]], [[아시아 생태예술 놀이정원]], [[5.18민주화운동]],[[항일운동]],[[봄맞이가자]],[[허연]],[[김신철]],[[정태병]],[[최상욱]] || ||박현정 | + | | [[S2023-118c]] || 교육 || 광주의 작은 거인들 || 작은 거인들을 위해 || [[광주광역시_어린이시청]], [[국립광주박물관_어린이박물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_어린이문화원]],[[김태오]],[[여운교]], [[광주YMCA드림청소년오케스트라]]|| [[광주시립미술관_어린이미술관]],[[광주어린이체육센터]], [[광주어린이대공원]], [[아시아 생태예술 놀이정원]], [[5.18민주화운동]],[[항일운동]],[[봄맞이가자]],[[허연]],[[김신철]],[[정태병]],[[최상욱]]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8d]] || 교육 || 광주의 작은 거인들 || 교육을 위한 특별한 건물들 || [[광주향교]],[[월봉서원]],[[무양서원]],[[운암서원]],[[수암서원]],[[내산서원]],[[광주 수창초등학교 본관]], [[광주교육대학교 본관]],[[광주 조선대학교 부속중학교 구 교사]],[[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구 본관]], [[광주 조선대학교 본관]], [[광주 전남대학교 인문대학 1호관]], [[광주 조선대학교 의학대학 본관]],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박물관]], [[전남대학교 용봉관]]|| || ||박현정 | + | | [[S2023-118d]] || 교육 || 광주의 작은 거인들 || 교육을 위한 특별한 건물들 || [[광주향교]],[[월봉서원]],[[무양서원]],[[운암서원]],[[수암서원]],[[내산서원]],[[광주 수창초등학교 본관]], [[광주교육대학교 본관]],[[광주 조선대학교 부속중학교 구 교사]],[[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구 본관]], [[광주 조선대학교 본관]], [[광주 전남대학교 인문대학 1호관]], [[광주 조선대학교 의학대학 본관]],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박물관]], [[전남대학교 용봉관]]||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9]] || 교육 || 맛있는 광주 || || || || || 박현정 | + | | [[S2023-119]] || 교육 || 맛있는 광주 || || ||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9a]] || 교육 || 맛있는 광주 || 광주 대표음식 주먹밥 || [[광주7미]], [[광주_주먹밥]] || [[광주_주먹밥_체험관]], [[전일빌딩245]], [[광주_주먹밥_오백국수]] || ||박현정 | + | | [[S2023-119a]] || 교육 || 맛있는 광주 || 광주 대표음식 주먹밥 || [[광주7미]], [[광주_주먹밥]] || [[광주_주먹밥_체험관]], [[전일빌딩245]], [[광주_주먹밥_오백국수]]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9b]] || 교육 || 맛있는 광주 || 광주 대표음식 상추튀김 ||[[광주7미]], [[상추튀김]] || [[무등분식]], [[진스통]], [[현완단겸]], [[바른튀김]], [[산수분식]] || ||박현정 | + | | [[S2023-119b]] || 교육 || 맛있는 광주 || 광주 대표음식 상추튀김 ||[[광주7미]], [[상추튀김]] || [[무등분식]], [[진스통]], [[현완단겸]], [[바른튀김]], [[산수분식]]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9c]] || 교육 || 맛있는 광주 || 광주 대표음식 육전 ||[[광주7미]], [[육전]] || [[육전용_소고기]],[[쌍학일식]],[[대광식당]] || ||박현정 | + | | [[S2023-119c]] || 교육 || 맛있는 광주 || 광주 대표음식 육전 ||[[광주7미]], [[육전]] || [[육전용_소고기]],[[쌍학일식]],[[대광식당]]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9d]] || 교육 || 맛있는 광주 || 광주 대표음식 오리탕 ||[[광주7미]], [[오리탕]], [[백년가게_광주]], [[광주_오리탕_골목]] ||[[금호식당]],[[영미오리탕]],[[풍년오리탕]] || ||박현정 | + | | [[S2023-119d]] || 교육 || 맛있는 광주 || 광주 대표음식 오리탕 ||[[광주7미]], [[오리탕]], [[백년가게_광주]], [[광주_오리탕_골목]] ||[[금호식당]],[[영미오리탕]],[[풍년오리탕]]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9e]] || 교육 || 맛있는 광주 || 광주 대표음식 보리밥 ||[[광주7미]], [[보리밥]] || [[보리밥_거리]],[[영빈식당]], [[온천_보리밥집]], [[팔도강산]], [[무등산_보리밥_뷔페]] || ||박현정 | + | | [[S2023-119e]] || 교육 || 맛있는 광주 || 광주 대표음식 보리밥 ||[[광주7미]], [[보리밥]] || [[보리밥_거리]],[[영빈식당]], [[온천_보리밥집]], [[팔도강산]], [[무등산_보리밥_뷔페]]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9f]] || 교육 || 맛있는 광주 || 광주 대표음식 한정식 ||[[광주7미]], [[한정식]], [[백년가게_광주]] || [[화랑궁회관]],[[5.18민주화운동]], [[민들레]], [[꽃담]], [[백년옥]],[[황톳길]] || ||박현정 | + | | [[S2023-119f]] || 교육 || 맛있는 광주 || 광주 대표음식 한정식 ||[[광주7미]], [[한정식]], [[백년가게_광주]] || [[화랑궁회관]],[[5.18민주화운동]], [[민들레]], [[꽃담]], [[백년옥]],[[황톳길]]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19g]] || 교육 || 맛있는 광주 || 광주 대표음식 떡갈비 ||[[광주7미]], [[떡갈비]], [[백년가게_광주]] ||[[송정떡갈비]],[[담양떡갈비]],[[화정떡갈비]],[[송극]],[[새송정]] || ||박현정 | + | | [[S2023-119g]] || 교육 || 맛있는 광주 || 광주 대표음식 떡갈비 ||[[광주7미]], [[떡갈비]], [[백년가게_광주]] ||[[송정떡갈비]],[[담양떡갈비]],[[화정떡갈비]],[[송극]],[[새송정]]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20]] || 교육 || 멋있는 광주 || || || || || 박현정 | + | | [[S2023-120]] || 교육 || 멋있는 광주 || || || ||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20a]] || 교육 || 멋있는 광주 || 멋있는 광주에는 아름다운 소리가 있어요 || [[광주소리]], [[서편제]], [[임방울]], [[쑥대머리]], [[광산농악]], [[용전들노래]] ,[[정율성]],[[광주권번]] || [[임방울국악제]],[[정율성음악축제]]|| ||박현정 | + | | [[S2023-120a]] || 교육 || 멋있는 광주 || 멋있는 광주에는 아름다운 소리가 있어요 || [[광주소리]], [[서편제]], [[임방울]], [[쑥대머리]], [[광산농악]], [[용전들노래]] ,[[정율성]],[[광주권번]] || [[임방울국악제]],[[정율성음악축제]]||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20b]] || 교육 || 멋있는 광주 || 멋있는 광주에는 아름다운 그림이 있어요 || [[광주비엔날레]], [[광주미술연구회]], [[국윤미술관]], [[무등현대미술관]], [[금봉미술관]], [[김보현&실비아올드_미술관]], [[남봉미술관]], [[광주시립미술관]], [[별밤미술관]], [[우제길미술관]], [[은암미술관]], [[의재미술관]] ,[[조선대학교미술관]], [[큐브미술관]],[[하정웅미술관]], [[양림미술관]], [[이강하미술관]], [[송정작은미술관]], [[드영미술관]], [[동곡미술관]], [[은암미술관]], [[소암미술관]], [[한희원미술관]], [[노의웅미술관]] || [[광주비엔날레전시관]],[[운림동_미술관거리]] ,[[허백련]], [[박행보]], [[김남중]], [[우제길]]|| ||박현정 | + | | [[S2023-120b]] || 교육 || 멋있는 광주 || 멋있는 광주에는 아름다운 그림이 있어요 || [[광주비엔날레]], [[광주미술연구회]], [[국윤미술관]], [[무등현대미술관]], [[금봉미술관]], [[김보현&실비아올드_미술관]], [[남봉미술관]], [[광주시립미술관]], [[별밤미술관]], [[우제길미술관]], [[은암미술관]], [[의재미술관]] ,[[조선대학교미술관]], [[큐브미술관]],[[하정웅미술관]], [[양림미술관]], [[이강하미술관]], [[송정작은미술관]], [[드영미술관]], [[동곡미술관]], [[은암미술관]], [[소암미술관]], [[한희원미술관]], [[노의웅미술관]] || [[광주비엔날레전시관]],[[운림동_미술관거리]] ,[[허백련]], [[박행보]], [[김남중]], [[우제길]]||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20c]] || 교육 || 멋있는 광주 || 멋있는 광주에는 아름다운 축제가 있어요 || [[광주세계김치축제]], [[광주_서창_억새축제]], [[아시아문화거리축제]], [[광주프린지페스티벌]], [[조선대학교_장미축제]], [[추억의_충장축제]], || [[광주국악상설공연]],[[충장로]], [[우일선선교사사택]],[[국립아시아문화전당]]|| ||박현정 | + | | [[S2023-120c]] || 교육 || 멋있는 광주 || 멋있는 광주에는 아름다운 축제가 있어요 || [[광주세계김치축제]], [[광주_서창_억새축제]], [[아시아문화거리축제]], [[광주프린지페스티벌]], [[조선대학교_장미축제]], [[추억의_충장축제]], || [[광주국악상설공연]],[[충장로]], [[우일선선교사사택]],[[국립아시아문화전당]]||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20d]] || 교육 || 멋있는 광주 || 멋있는 광주에는 재미있는 연극이 있어요 || [[광주공연마루]],[[마당극단_광대]],[[극단_연우랑]],[[극단_토박이]]|| [[5.18민주화운동]],[[박효선]],[[민들레소극장]],[[금희의_오월]],[[황석영]] || ||박현정 | + | | [[S2023-120d]] || 교육 || 멋있는 광주 || 멋있는 광주에는 재미있는 연극이 있어요 || [[광주공연마루]],[[마당극단_광대]],[[극단_연우랑]],[[극단_토박이]]|| [[5.18민주화운동]],[[박효선]],[[민들레소극장]],[[금희의_오월]],[[황석영]]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S2023-120e]] || 교육 || 멋있는 광주 || 멋있는 광주에는 아름다운 시가 있어요 || [[광주_사직공원_시비]],[[너릿재_시비공원]],[[광주_주남마을]],[[광주_청풍쉼터]],[[광주_원효사]],[[중외공원]] || [[박용철]],[[김현승]],[[정소파]],[[고정희]],[[김만옥]],[[김남주]],[[정철]],[[이성부]],[[범대순]],[[문병란]],[[손광은]],[[전원범]],[[조태일]],[[서정주]],[[김윤식]],[[문도채]],[[김재흔]],[[박홍원]],[[황하택]],[[조병화]],[[김재균]],[[김종]],[[고훈]],[[이수복]],[[이동주]],[[박봉우]],[[김인후]],[[임제]],[[송순]],[[윤선도]],[[이순신]],[[김덕령]],[[정춘신]] || ||박현정 | + | | [[S2023-120e]] || 교육 || 멋있는 광주 || 멋있는 광주에는 아름다운 시가 있어요 || [[광주_사직공원_시비]],[[너릿재_시비공원]],[[광주_주남마을]],[[광주_청풍쉼터]],[[광주_원효사]],[[중외공원]] || [[박용철]],[[김현승]],[[정소파]],[[고정희]],[[김만옥]],[[김남주]],[[정철]],[[이성부]],[[범대순]],[[문병란]],[[손광은]],[[전원범]],[[조태일]],[[서정주]],[[김윤식]],[[문도채]],[[김재흔]],[[박홍원]],[[황하택]],[[조병화]],[[김재균]],[[김종]],[[고훈]],[[이수복]],[[이동주]],[[박봉우]],[[김인후]],[[임제]],[[송순]],[[윤선도]],[[이순신]],[[김덕령]],[[정춘신]] || ||[[:분류:박현정|박현정]] |
|- | |- | ||
|} | |} |
2024년 2월 4일 (일) 00:52 판
- 범주: 기초(000~) / 교육(100~) / 해외(200~) / 메타버스(500~)
기초
교육
학교 지역화교재 스토리
- 주제 선정 기준:
- 광주 지역화교재 3,4학년의 내용을 전수조사하여 학교 교육과정안에서 현재 이뤄지고 있는 소재를 파악함, 참고: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광주지역화교재
- 지역화교재는 단편적인 사실을 전달하고 있어서 광주에 대한 의미있는 이야기를 알기 어려움.
- 각 학년에 맞춘 교육목표에 맞게 새롭고 흥미있는 이야기를 전달하고자 내용을 선정하고자 함.
♣예1: 교과서에서는 광주의 도로명을 배우는데 있어서 지도에 위인들과 도로명만 표시하지만, 디지털 스토리에서는 'S2023-108c: 아버지와 아들은 길에서 만나요'에서 보듯 부자 의병에 대한 이야기를 도로명과 함께 들려줌.
♣예2: 우리 고장의 문화재를 배울때에도 디지털 스토리텔링통해 교과서 외에 다양한 사료가 연결될 수 있음. 'S2023-111b :빛을 든 두마리 사자의 바쁜 여행'은 중흥쌍사자 석등에 관한 이야기를 학년 수준에 맞도록 구성할 예정.
- 진행상황(2023년 12월 6일)
- 스토리 갯수: 20개 중 20개 완성
- 에피소드 갯수 80개 중 69개 완성
- 하나의 스토리가 에피소드로 되는 경우가 있어서 목표 갯수에 11개 부족.
- 부족한 부분은 스토리의 추가를 하거나 구체적으로 작성시 진행 상황에 따라 에피소드가 변경 및 추가하여 목표 갯수에 맞출 예정.
- 진행상황(2024년 1월 16일)
- 스토리갯수: 20개, 에피소드 갯수: 80개 모두 선정
- 선정은 완료했으나 스토리를 구성하면서 변동이 있을 수도 있으나 전체 갯수는 유지할 예정임.
- 1월달 내로 내용작성 1차 완료 예정.
해외
id | 범주 | 스토리라인 | 에피소드 | 관련 핵심항목 | 관련 문맥항목 | 관련 메타버스 Scene | 큐레이터 |
---|---|---|---|---|---|---|---|
S2023-201 | 해외 |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Witness and Remembrance | 린지 | ||||
S2023-201a | 해외 |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Witness and Remembrance | UNESCO Human Rights Documentary Heritage Archives | 5.18민주화운동기록관, 5.18민주화운동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5.18민주화운동 | 도서_오월일기, 도서_오월취재수첩, 5.18사태일지 | 린지 | |
S2023-201b | 해외 |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Witness and Remembrance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Where the Call for Democracy Began | 5.18민주화운동, 전남대학교, 전남대학교_정문, 박관현 | 전남대학교 민주길, 정의의_길, 평화의_길, 인권의_길, 최상재 | 린지 | |
S2023-201c | 해외 |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Witness and Remembrance | Witness to History: The Jeonil Building and Former Jeollanam-do Provincial Office | 전일빌딩, 옛 전남도청, 헬기사격설, 5.18민주화운동, 구_전남일보, 전일방송, 조비오, 윤상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린지 | |
S2023-201d | 해외 |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Witness and Rememberance | Rememberance through Revitalization: Jeonil Building 245 and Democracy Square | 5.18민주화운동, 전일빌딩, 전일빌딩245, 전일마루, 광주콘텐츠허브, 5.18기념공간 | 린지 | ||
S2023-202 | 해외 | Leaders of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 린지 | ||||
S2023-202a | 해외 | Leaders of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 The Role of Christian Leaders in the Gwangju Uprising | 조비오, 김성용, 정규완, 남재희, 윤공희, 천주교 광주대교구, 광주 YWCA | 녹두서점, 들불야학, 들불7열사, 이애신, 이상학, 정양숙(정마리안나), 광주_YWCA_신용협동조합, 가톨릭농민회, 금남로, 옛_전남도청, 광주가톨릭센터, 광주평화방송, 남동교회, 광천동성당 | 린지 | |
S2023-202b | 해외 | Leaders of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 Deulbul Night School and Nokdu Bookstore | 녹두서점, 들불야학, 들불7열사, 투사회보, 윤상원, 박기순, 박관현, 박용준, 신영일, 김영철, 박효선 | 광천동성당, 전태일, 광천시민아파트 | 린지 | |
S2023-202c | 해외 | Leaders of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 Women and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 광주 YWCA, 송백회, 조아라 | 정현애, 이애신, 홍희윤, 정양숙(정마리안나), 광주_YWCA_신용협동조합 | 린지 | |
S2023-203 | 해외 | Reflecting on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through Creative Works | 린지 | ||||
S2023-203b | 해외 | Reflecting on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through Creative Works | Fictional Portrayals of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Literature | 《소년이 온다》, 《Human Acts》, 《열세가지 이름의 꽃향기》, 《There a Petal Silently Falls: Three Stories》 《오래된 정원》, 《The Old Garden》, 《The Seed of Joy》 | 한강, 최윤, 황영, William Amos | 린지 | |
S2023-203c | 해외 | Reflecting on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through Creative Works | Fictional Portrayals of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Film & Dramas | 《택시운전사》, 《화려한 휴가》, 《26》, 《오월의 청춘》, 《스카우트》 | 린지 | ||
S2023-203d | 해외 | Reflecting on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through Creative Works |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s Seen through Art: Minjung Art | 민중, 민중미술, 광주자유미술인협의회 | 광주 민중미술 | 린지 | |
S2023-203f | 해외 | Reflecting on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through Creative Works |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s Seen through Music: "March for the Beloved" | 임을 위한 행진곡 5.18민주화운동, 윤상원, 박기순, 5.18구묘지 | 황석영, 백기완, 김종률, 민중가요 | 린지 | |
S2023-204 | 해외 | Understanding Traditional Culture and Society through Gwangju's Cultural Heritage | 린지 | ||||
S2023-204a | 해외 | Understanding Traditional Culture and Society through Gwangju's Cultural Heritage |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on | 광주읍성 유허, 옛 전남도청, 광주읍성 관아 터 | 린지 | ||
S2023-204b | 해외 | Understanding Traditional Culture and Society through Gwangju's Cultural Heritage | Unearthing the Past: The Lives of Ancient People as Seen Through Gwangju's Archeological Sites | 광주 신창동 유적, 명화동장고분, 운림동석실고분, 월계동 장고분 | 린지 | ||
S2023-204c | 해외 | Understanding Traditional Culture and Society through Gwangju's Cultural Heritage | Residential Architecture: Where Climate, Natural Resources, and Culture Meet | 광주 장덕동 근대 한옥, 김봉호가옥, 고원희가옥, 김용학가옥, 최승효가옥, 이장우가옥, 오지호가, 용아생가 | 린지 | ||
S2023-205 | 해외 | Understanding Traditional Culture and Society through Gwangju's Cultural Heritage: Confucianism | 린지 | ||||
S2023-205a | 해외 | Understanding Traditional Culture and Society through Gwangju's Cultural Heritage: Confucianism | The Confucian Education System | 광주향교, 월봉서원, 무양서원, 용진정사, 무각사, 원효사 | 대웅전, 오백전, 명부전, 요사채, 템플스테이 | 시대에 공명한 광주 종교 | 린지 |
S2023-205b | 해외 | Understanding Traditional Culture and Society through Gwangju's Cultural Heritage: Confucianism | Confucian Cultural Legacies in Gwangju: Shrines, Commemorative Pavilions, and Steles | 고씨삼강문, 충효동정려비각, 창녕조씨 삼강정려, 양씨삼강문, 필문이선제부조묘, 지산재, 병천사, 포충사, 빙월당, 화담사, 광산 귀후재 | 시대에 공명한 광주 종교 | 린지 | |
S2023-205c | 해외 | Understanding Traditional Culture and Society through Gwangju's Cultural Heritage: Confucianism | Pavilions: Vestiges of Confucian Literati Culture | 광주 환벽당 일원, 풍영정, 만귀정, 양과동정, 호가정, 부용정, 풍암정, 만취정, 취가정 | 린지 | ||
S2023-206 | 해외 | Understanding Traditional Culture and Society through Gwangju's Cultural Heritage: Folk Religion | 린지 | ||||
S2023-206a | 해외 | Understanding Traditional Culture and Society through Gwangju's Cultural Heritage: Folk Religion | Village Communities and Folk Religion | 광산농악, 광주 칠석 고싸움놀이, 고싸움놀이농악, 당산농악, 풍장농악, 광주 서원문 밖 석장승, 용전들노래, 광주 충효동 당산제, 입석마을입석, 광주 서원문 밖 석장승, 목장승 | 농악, 당산, 칠석동 고싸움놀이 테마파크 | 시대에 공명한 광주 종교 | 린지 |
S2023-206b | 해외 | Understanding Traditional Culture and Society through Gwangju's Cultural Heritage: Folk Religion | More Than Just A Plant: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Trees | 무등산 당산나무, 광주 충효동 왕버들 군, 칠석동은행나무, 학동느티나무, 수완동왕버들, 괘고정수/괘고정수 홍패고사, 신창동 유적에서 발견된 나무, 남문 밖에 있던 궁수 이야기, 증심사 뜰 앞의 잣나무, 환벽당 앞의 조대쌍송, 광주의 비보숲 유림수 | 광주 충효동 당산제 | 린지 | |
S2023-207 | 해외 | Modern History as Seen Through Gwangju's Famous Buildings | 린지 | ||||
S2023-207a | 해외 | Modern History as Seen Through Gwangju's Famous Buildings | The Influence of Western Missionaries in the Early Japanese Colonial Period | 광주 구 수피아여학교 수피아 홀(1911), 오웬기념각(1914), 우일선선교사사택(1920), 광주 구 수피아여학교 커티스 메모리얼 홀(1925), 광주 구 수피아여학교 윈스브로우 홀(1927), 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 소강당(1928) | 시대에 공명한 광주 종교, 양림동 선교사 마을 | 린지 | |
S2023-207b | 해외 | Modern History as Seen Through Gwangju's Famous Buildings | The Modernization of Administration and Education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 광주 전라남도청 구 본관(1930), 광주 서석초등학교 본관·별관·체육관(1930~1943), 광주 수창초등학교 본관(1931) 전남도청 회의실(1932), 광주교육대학교 본관(1939) | 린지 | ||
S2023-207c | 해외 | Modern History as Seen Through Gwangju's Famous Buildings | The Growth of Christianity in the Mid-Twentieth Century | 광주 북동 천주교회(1938),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브레디관(1961),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본관 (1961),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헨리관(1961),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식당동(1961) | 시대에 공명한 광주 종교 | 린지 | |
S2023-207d | 해외 | Modern History as Seen Through Gwangju's Famous Buildings | The Boom for Higher Education in the 1950s | 광주 조선대학교 부속중학교 구 교사(1946),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구 본관(1951), 광주 조선대학교 본관(1954), 광주 전남대학교 인문대학 1호관(1955), 광주 조선대학교 의학대학 본관(1957),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박물관(1957), 전남대학교 용봉관(1957) | 린지 | ||
S2023-208 | 해외 | Overlooking Gwangju: Mudeungsan Mountain | 린지 | ||||
S2023-208a | 해외 | Overlooking Gwangju: Mudeungsan Mountain | Where Nature Reveals Its Beauty | 무등산, 무등산국립공원, 광주 구 무등산 관광호텔, 무등산 주상절리대, 장불재, 무등산억새꽃잔치 | 무등산 천왕봉, 소백산맥, 무등산 옛길 | 무등산 | 린지 |
S2023-208b | 해외 | Overlooking Gwangju: Mudeungsan Mountain | Where Monks and Literati Meet | 광주 원효사, 광주 약사암, 풍암정, 광주_충장사 | 광주향교 | 무등산, 시대에 공명한 광주 종교 | 린지 |
S2023-208c | 해외 | Overlooking Gwangju: Mudeungsan Mountain | Where Traditional Industry Thrived | 광주 충효동 요지, 금곡동제철유적 | 무등산 | 린지 | |
S2023-208d | 해외 | Overlooking Gwangju: Mudeungsan Mountain | Where Seasonal Folk Practices Are Preserved | 광주 충효동 당산제, 무등산 관부화전놀이 왕부화전놀이, 사족화전놀이, 민관동락, 무등산 약수찜, 절기풍속, 천신의례, 조상숭배 | 무등산 당산나무 | 무등산, 시대에 공명한 광주 종교 | 린지 |
S2023-209 | 해외 | Understanding Buddhist Art through Gwangju's Masterpieces | 린지 | ||||
S2023-209a | 해외 | Understanding Buddhist Art through Gwangju's Masterpieces | Buddhist Statues | 광주 증심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광주 약사암 석조여래좌상, 광주 자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순천 매곡동 석탑 청동불감 및 금동아미타여래삼존좌상, 광주 덕림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십신사지석불, 운천사마애여래좌상, 증심사석조보살입상, 광주 대원정사 석조보살좌상 | 증심사, 광주 약사암, 자운사, 덕림사, 심신사, 대원정사, 운천사, 비로자나불, 여래, 아미타불, 지장보살, 시왕상, 관음보살, 도명존자, 무독귀왕, 보살, 입상, 회화_좌상, 마애불, 목조, 석조, 철조, 청동, 금동, 삼존상, 복장유물, 불감 | 시대에 공명한 광주 종교 | 린지 |
S2023-209b | 해외 | Understanding Buddhist Art through Gwangju's Masterpieces | Buddhist Pagodas, Stupas, Lanterns, Bells, and Steles |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재명석등, 원효사동부도, (전)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 광주 지산동 오층석탑, 증심사삼층석탑, 신룡동오층석탑, 십신사지석비, 원효사소장만수사범종 | 석등, 석탑, 승탑, 오층석탑, 쌍사자, 원효사, 성거사지, 증심사, 중흥산성 | 시대에 공명한 광주 종교 | 린지 |
S2023-209c | 해외 | Understanding Buddhist Art through Gwangju's Masterpieces | Buddhist Temple Architecture | 증심사, 광주 약사암, 자운사, 덕림사, 심신사, 대원정사, 운천사 | 오백전, 대웅전, 지장전, 비로전, 요사채 | 시대에 공명한 광주 종교 | 린지 |
S2023-210 | 해외 | The Taste of Gwangju: Cuisine and Culture | 린지 | ||||
S2023-210a | 해외 | The Taste of Gwangju: Cuisine and Culture | Local Delicacies | 육육전, 오리탕, 광주 주먹밥, 보리밥, 계절한정식, 떡갈비, 상추튀김 | 린지 | ||
S2023-210b | 해외 | The Taste of Gwangju: Cuisine and Culture | Neighborhoods Known for Food | 동명동 카페거리, 동리단길카페거리, 계림동 나무전거리, 광주공원 포장마차 거리, 아시아음식문화의 거리, 송정떡갈비 거리, 금호동 먹자골목, 화정동 서부시장, 수완지구, 용봉동 먹자골목, 상무지구 먹자골목 | 린지 | ||
S2023-210c | 해외 | The Taste of Gwangju: Cuisine and Culture | The Tradition of Cooking | 남도의례음식 | 이연채, 최영자, 이애섭, 전통음식 남도의례연구회, 남도향토음식박물관 | 린지 | |
S2023-211 | 해외 | The Sound of Gwangju: Music and Language | 린지 | ||||
S2023-211a | 해외 | The Sound of Gwangju: Music and Language | Variations on a Theme: Gwangju's Pansori Masters | 남도 판소리, 남도판소리서편제, 남도창동편제, 판소리고법(문화유산), 판소리강산제(심청가), 판소리동편제(춘향가), 판소리춘향가(동초제) | 판소리,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동편제, 서편제, 강산제, 심청가, 춘향가, 동초제, 판소리고법(개념) | 광주의 남도 판소리 | 린지 |
S2023-211b | 해외 | The Sound of Gwangju: Music and Language | Popular Music Under Authoritarianism: Song Festivals and Music Culture of Gwangju in the 1970s | 전일방송, 전일방송 대학가요제, 충장로, 김정호, 김정호 거리, 통기타거리 | 대학가요제 | 광주 로컬 음악 문화 | 린지 |
S2023-211c | 해외 | The Sound of Gwangju: Music and Language | Music Culture in Gwangju Today: K-pop and Beyond | K팝스타의 거리, 스타팬존, K팝스타 핸드프린트, 제이홉, 선미, 청하, 스테이씨, 몸스타엑스, 에이티즈 | 충창로, 광주충장로우체국, 국립아시아문화전단, 아시아식문화거리 | 광주 로컬 음악 문화 | 린지 |
S2023-211d | 해외 | The Sound of Gwangju: Music and Language | Talk Like You're From Gwangju: The Gwangju Dialect | 거시기, 머시기, 귄, 게미 | 역서사소 | 린지 | |
S2023-212 | 해외 | Having Fun in Gwangju: Sport and Leisure | 린지 | ||||
S2023-212a | 해외 | Having Fun in Gwangju: Sport and Leisure | Go Team! Sports Culture in Gwangju | 기아타이거즈, 광주FC, AI페퍼스 배구단, 광주 관덕정 | 린지 | ||
S2023-212b | 해외 | Having Fun in Gwangju: Sport and Leisure | Jungoe Park and the Gwangju Biennale | 광주비엔날레, 광주디자인비엔날레, 중외공원, 중외공원 문화벨트, 5.18민주화운동 | 광주비엔날레전시관, 광주문화예술회관, 광주시립미술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 의재미술관, 무지개다리 | 광주 비엔날레 | 린지 |
S2023-213 | 해외 | Economic Development in Gwangju | 린지 | ||||
S2023-213a | 해외 | Economic Development in Gwangju | Gwangju's Textile Industry | 전남방직, 일신방직, 전방·일신방직 공장부지 | 김형남, 김용주, 이한원, 전방주식회사, 적산기업, 광주 평동공장, 종연방적 | 린지 | |
S2023-213b | 해외 | Economic Development in Gwangju | Gwangju's Automotive Industry | 아세아 자동차 공단, 기아 광주공장, 기아 오토랜드 광주 | 기아의 전신, 특수차량 생산업체, 이란-이라크 전쟁 특수, 5.18, 그랜버드 | 린지 | |
S2023-213c | 해외 | Economic Development in Gwangju | Gwangju's Neighborhood Revitalization Projects | 남구 백운광장 도시재생, 남구 사직동 도시재생, 동구 충장동 도시재생, 서구 농성동 도시재생, 동구 동명동 도시재생, 서구 양동 도시재생사업, 광산구 송정역세권 재생사업, 남구 양림동 도시재생사업 | 린지 | ||
S2023-213d | 해외 | Economic Development in Gwangju | Gwangju's Next-Generation Industries | 인공지능 산업융합 집적단지, 에너지융복합 종합센터, 미래차 국가산단, 광주 기아오토랜드, 금호타이어 | 린지 | ||
S2023-214 | 해외 | The Faces of Gwangju | 린지 | ||||
S2023-214a | 해외 | The Faces of Gwangju | The People Behind the Place: Streets of Gwangju Named After Historical Figures | 정지, 고경명, 임란의병, 김덕령, 정충신, 허백련 | 경열로, 제봉로, 충장로, 금남로, 의재로 | 린지 | |
S2023-214b | 해외 | The Faces of Gwangju | Diaspora in Gwangju: Gwangju's Goryeoin Community | 광산구 월곡동, 광주 고려인마을, 세계음식 문화거리 | 고려인종합지원센터, 고려인마을 가족카페, GBS고려방송, 새날학교, 월곡 고려인 문화관 결 | 고려인 마을 | 린지 |
S2023-215 | 해외 | The Faces of Gwangju: Artists | 린지 | ||||
S2023-215a | 해외 | The Faces of Gwangju: Artists | The Journey of Renowned Composer Jeong Yul-seong: From Korean Independence Fighter to Chinese Citizen | 정율성, 의열단, 팔로군 행진곡, 연안송. 오월의 노래 | 정율성 거리 전시관, 정율성음악축제 | 린지 | |
S2023-215b | 해외 | The Faces of Gwangju: Artists | The Art and Life of Heo Baek-ryeon, Gwangju's Representative Painter | 허백련, 남종화, 의재미술관, 허백련춘설헌, 농업기술학교 | 김정희, 콘스탄틴 게오르규, 루이제 린저, 춘설차, 연진회, 최흥종, 문향정, 춘설빵, 관풍대, 허백련 묘, 허행면, 허정두, 허달재 | 린지 | |
S2023-215c | 해외 | The Faces of Gwangju: Artists | The Voice of Tradition: Im Bang-ul and Namdo Pansori | 남도 판소리, 임방울, 임방울_생가터 | 김창환, 춘향가, 쑥대머리, 흥보가, 수궁가, 임방울대로, 임방울_국악제, 국창_임방울_선생_전시관 | 광주의 남도 판소리 | 린지 |
S2023-216 | 해외 | The Faces of Gwangju: Western Missionaries | 린지 | ||||
S2023-216a | 해외 | The Faces of Gwangju: Western Missionaries | The Western Missionaries Laid to Rest in Gwangju | 양림동_선교사_묘역 여성 : 서서평, 엄언라, 도슨_헤리엣, 사우스홀_릴리언(2세), 원대마, 레비_제시, 유해진, 길머_캐서린, 챕맨_거트루드, 류애나, 에머슨_아멜리아, 로스_카라 남성 : 오기원, 부란도, 이철원, 유수만 |
양림동 선교사 마을 | 린지 | |
S2023-216b | 해외 | The Faces of Gwangju: Western Missionaries | Gone Too Soon in a Foreign Land: Missionary Children Who Passed Away in Gwangju | 양림동_선교사_묘역, 코잇_토마스(1909년~1913년), 코잇_로베르(1911년~1913년), 크레인_엘리자베스(1917년~1918년), 크레인 존(2세)(1921년), 니스벳_엘리자베스(2세)(1922년~1923년), 코딩턴_필립(1960년~1967년) | 고라복, 코잇_세실, 구보라, 구바울, 크레인_존, 크레인_플로랜스, 류서백, 니스벳_엘리자베스, 코딩턴_허버트, 코딩턴_매리 | 양림동 선교사 마을 | 린지 |
S2023-216c | 해외 | The Faces of Gwangju: Western Missionaries | Eugene Bell and His Family | 배유지, 배로티, 마가렛벨, 줄리아벨, 샬롯벨, 인돈 | 광주 양림동 선교사 마을, 유진벨재단 | 양림동 선교사 마을 | 린지 |
S2023-216d | 해외 | The Faces of Gwangju: Western Missionaries | The Nightingale of Korea: Elisabeth Johanna Shepping and the History of Nursing in Korea | 서서평, 남장로회, 조선간호협회, 이일학교, 한센병자, 광주_제중병원 | 소록도, 서서평, 천천히 평온하게 | 양림동 선교사 마을 | 린지 |
S2023-217 | 해외 | The Faces of Gwangju: Activists | 린지 | ||||
S2023-217a | 해외 | The Faces of Gwangju: Activists | The Mother of Gwangju: Jo A-ra | 조아라, 수피아여학교, 김필례, 광주 YWCA, 이일학교, 5.18민주화운동 | 소심당 조아라 기념관, 국립5.18민주묘지 | 린지 | |
S2023-217b | 해외 | The Faces of Gwangju: Activists | Kim Tae-won and the Donghak Peasant Uprising | 동학농민운동, 의병, 김태원, 김율, 호남창의회맹소 | 어등산, 김태원 의병장 기적비, 양상기, 양진여 | 시대에 공명한 광주 종교 | 린지 |
S2023-217c | 해외 | The Faces of Gwangju: Activists | The Young Women of Speer Girls' School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 수피아여학교, 3.1운동, 광주학생운동, 박애순, 윤형숙, 김필례, 조아라, 백청단 사건 | 유화례, 배유지 | 시대에 공명한 광주 종교 | 린지 |
S2023-218 | 해외 | Foreigners' Takes on Gwangju | ]] | 린지 | |||
S2023-218a | 해외 | Foreigners' Takes on Gwangju | Tales from the Outside: Foreign Witnesses' Accounts of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 Jürgen Hinzpeter, Bradley K. Martin, Paul Courtright, Norman Knute Thorpe, David Dolinger | 《Witnessing Gwangju: A Memoir》 | 린지 | |
S2023-218b | 해외 | Foreigners' Takes on Gwangju | Korea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as Seen by Western Missionaries in Gwangju | 스와인하트_로이스: 영광스러운_삶_서서평(“Elise Johanna Shepping”in Glorious Living), 조선의_아이_사랑이(Sarangie: A Child of Chosen), 한국이_부른다(Korea Calls!: A Story of the Eastern Mission Field) 엄언라: 한국에서_보낸_20년((Two Decades in the Hermit Kingdom) 도마리아: 한국에서_보낸_반평생(Half a Lifetime in Korea), 도마리아,_조선의_길을_묻다 류애나: 한국에서의_하루_하루(Day In and Day Out in Korea) 구보라: 한국의_여성(The Women of Korea) |
양림동 선교사 마을 | 린지 |
해외 한국학 스토리 담당자 린지(한중연)의 참고 메모
- 해외 한국학을 위한 주제 선정 기준
- 해외 한국학에서 관심이 있는 주제 : 근현대 역사, 사회학, 경제학, 문학, 영화학, 여성학, 음악학, 정치학, 종교학 등
- 영어로 된 자료가 있는 주제 : 외국인 선교사나 언론인들이 쓴 저술, 영어로 번역된 소설, 자막이 있는 영화 등
- 외국인들이 즐겨 찾는 한국문화 : 음식, 음악 등
- 광주에서 살거나 여행하러 오는 외국인들에게 유용한 주제 : 관광지, 음식.문화거리, 문화유산 등
- 광주와 경제적으로, 문화적으로 교류하려는 외국인들에게 유용한 주제 : 산업, 무역, 국제행사 등
- 현재 에피소드 주제 = 80건 중 57건, 스토리 주제 = 20건 중 18건 선정
- 스토리 주제 추가 (+2 필요) : 기존 스토리 중에 소속 에피소드가 많은 스토리를 분리하는 방법
- 에피소드 추가(+23 필요) : 1) 기존 에피소드의 항목이 많아 이야기가 복잡해지면 두 개의 에피소드로 나누는 방법; 2) 에피소드 새로 추가하는 벙법
- 광주의 주요 인물 이야기 추가 (철학자, 시인 등 외국인이 접근하기 어려운 인물은 제외; 김홍빈, 박선홍, 오지호, 김필례, 박관현, 박기순, 박효선, 윤상원, 오기원, 최흥종 등)
- 에피소드 중에 여러 스토리와 어울릴 만한 에피소드가 있는데 그 에피소드의 내용을 집필하면서 지금과 다른 스토리와 연결시킬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메타버스
id | 범주 | 스토리라인 | 에피소드 | 관련 핵심항목 | 관련 문맥항목 | 관련 메타버스 Scene | 큐레이터 |
---|---|---|---|---|---|---|---|
S2003-501 | 메타버스 | 광주 로컬 음악 | 음악이 흐르는 충장로 | 광주MBC, 광주MBC_별이빛나는밤에, 소수옥, 별밤가족, 이장순, 국소남, 정오차 | 별이빛나는밤에, 이준용, 김인곤, 정용주, 강용욱, 임인식 | 광주 로컬음악 | 홍혜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