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한 유적체험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__NOTOC__ == Definition == *마한_유적체험관은 국가사적으로 지정된 광주 신창동 유적을 활성화하고 우리 지역 고대 마한문화의 우수성...)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__NOTOC__  
 
__NOTOC__  
 
== Definition ==
 
== Definition ==
5번째 줄: 4번째 줄:
 
*체험관 내부에는 신창동 유적의 저습지와 중요 출토 유물, 토층을 재현하여 유적 발굴조사 당시의 상황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유적의 발굴 과정을 게임을 통해 쉽게 배워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체험관 내부에는 신창동 유적의 저습지와 중요 출토 유물, 토층을 재현하여 유적 발굴조사 당시의 상황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유적의 발굴 과정을 게임을 통해 쉽게 배워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물고기잡이, 활쏘기, 토기 복원, [[가락바퀴]]를 이용한 실잣기, 현악기 연주 등 체험을 통해 2,000년 전 마한 사람들의 생활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체험 콘텐츠가 마련되어 있어 광주의 문화적 출발점이라 할 수 있는 신창동 유적을 더 이해하고 관심을 갖게 한다.
 
*물고기잡이, 활쏘기, 토기 복원, [[가락바퀴]]를 이용한 실잣기, 현악기 연주 등 체험을 통해 2,000년 전 마한 사람들의 생활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체험 콘텐츠가 마련되어 있어 광주의 문화적 출발점이라 할 수 있는 신창동 유적을 더 이해하고 관심을 갖게 한다.
 
.
 
  
 
== Semantic Data ==
 
== Semantic Data ==

2024년 1월 23일 (화) 16:52 판

Definition

  • 마한_유적체험관은 국가사적으로 지정된 광주 신창동 유적을 활성화하고 우리 지역 고대 마한문화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2022년 12월 개관한 체험관이다.
  • 체험관 내부에는 신창동 유적의 저습지와 중요 출토 유물, 토층을 재현하여 유적 발굴조사 당시의 상황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유적의 발굴 과정을 게임을 통해 쉽게 배워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물고기잡이, 활쏘기, 토기 복원, 가락바퀴를 이용한 실잣기, 현악기 연주 등 체험을 통해 2,000년 전 마한 사람들의 생활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체험 콘텐츠가 마련되어 있어 광주의 문화적 출발점이라 할 수 있는 신창동 유적을 더 이해하고 관심을 갖게 한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마한_유적체험관 Place 마한 유적체험관 마한 유적체험관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마한_유적체험관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마한_유적체험관.jpg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마한_유적체험관 광주_신창동_유적 마한 유적체험관은 광주 신창동 유적을 알리기 위한 체험관이다.
광주_신창동_유적 마한 광주 신창동 유적은 마한의 유적이다.
광주_신창동_유적 가락바퀴 가락바퀴는 광주 신창동 유적의 유물이다.

Spatial Data

id latitude longitude address
마한_유적체험관 35.192732 126.8515526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동 1073-12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광주역사민속박물관 마한 유적체험관 https://www.gwangju.go.kr/gjhfm/contentsView.do?pageId=gjhfm67#
참고 광주매일신문 마한유적체험관서 떠나는 신창동 역사 여행 (2023-03-23, 최명진 기자) www.kjdaily.com/1679568230598288006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Notes


Semantic Network Graph